강의를 통해 지금까지 저의 말하기를 돌아보며 가장 크게 느낀 것은 제가 저의 마음을 전하는 말하기를 하는 데 급급해서 상대의 마음을 얻는 것을 놓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타인이 아닌 스스로에게 초점을 두어 말하기를 하다 보니 공감의 방법이나 말의 방향이 잘못되었음을 깨달았습니다. 오해를 낳는 소통 방식이 저의 고민거리 중 하나였는데 강의를 통해 선한 의도를 전달하기 위해 표현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깨달았습니다. 더불어 상대의 말을 들을 때는 선한 의도를 듣고 읽자고 다짐했습니다.

최근 주변 사람들과 대화할 때 부정적인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다 보니 이전보다 친구들과 진솔한 이야기를 하는 범위나 횟수가 확연히 줄어드는 게 느껴졌습니다. 자존감이 낮아 스스로를 사랑하지 못해서 건강하지 못한 표현이 상대에게 고스란히 전해지고 심지어는 격한 표현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강의를 통해 스스로를 먼저 인정하고 사랑할 줄 알아야 타인의 마음도 얻을 수 있기에 ‘나를 사랑하자’는 자기 암시문을 정하여 늘 마음속에 새기며 살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설명이나 소감 등 다양한 말하기 유형에 적용할 수 있는 What-Why-How 말하기 형식에 대한 내용이 인상 깊습니다. 특히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어떻게 적용하고 실천할지에 대한 How, 즉 어떻게의 부분이 좋은 말하기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말하기 형식, 전략도 물론 중요하지만 시선 처리, 표정이 말하기에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도 깨달았습니다. 더불어 강의의 내용처럼 인정, 지지, 격려 등 상대에게 호감을 줄 수 있는 말을 많이 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상대의 마음을 얻는 말하기 방법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방법에 대해서도 배우게 된 매우 도움이 되는 강의였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세종의 독서코칭 -오정근코치

​ 세종 초기에 당시 어전회의 분위기는 오늘날 많은 조직과 크게 다르지 않았나 보다. 세종은 신하들이 좀처럼 입을 열지 않아 속마음 알기도 어려웠고, 누군가 의견을 개진하면

정체성에서 출발하는 코칭

코치들은 대개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뜻을 두고 코칭에 입문합니다. 코치로서 정체성이나 가치관이 확고할수록 자신의 역할이나 상황에 대한 판단을 제대로 하는 것인지 의심이 적어집니다. 왜냐하면

수업소감 7

사람들에게 마음을 얻는 말하기는 정말 어려운 것인 것 같다. 하나부터 열까지 쉽지 않다. 사람들에게 호감을 얻으려면 말을 할 때 눈을 맞추거나 끄덕여주거나 공감을 해주는 등

원하는 끝그림을 먼저 챙기는 코칭

모든 일에는 끝과 시작이 있습니다. 차를 운전할 때에도 목적지를 먼저 정하고 풀발합니다. 차를 운전하면서 뒤를 보고 운행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대화도 마찬가지입니다. 대인관계에서도 함께 좋은 관계유지가

코칭과 은악이양선

2) 은악이양선 순임금은 은악이양선(隱惡而揚善)하는 사람입니다. 나쁜 것은 감추고 선한 것을 드러내는 분입니다. 예컨대 빅토르 위고의 명저인 『레비제라블』에서 성당의 물건을 훔쳐간 장 발장이 경찰에 의해 주교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