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방에게 호의적인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 방식에 대해 알게 되었다. 대면으로 바뀌며 새로운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되었는데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 어색했던 경험이 많이 있었다. 스몰토크의 주제에 대해 알 수 있었고 편하게 상대방에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게 된 것 같다. 경청과 타인의 말에 대한 반응이 인간관계 소통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가진다는 것에 크게 공감했다. 내가 타인과 대화할 때 어떠한 유형의 사람과 대화할 때 마음이 편했고 상대방에게 호감을 갖는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이 생각을 통해 나도 타인과 대화할 때 어떠한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 알 수 있었다.

소감을 말할 때 what – why – how 의 방식을 이용하고 좋은 점을 먼저 말한 후 아쉬운 점을 말하는 것이 좋은 말하기란 것을 깨닫게 되었다.

친구와 대화를 하다 오해를 하게 되어 갈등을 갖게 된 경우가 있었는데 나의 어떠한 점 때문에 오해가 생기게 되었는지 알게 되었다. 내가 표현을 하기 위해 선택하는 단어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또한 오해를 가지지 않기 위해서는 충분한 소통을 통해 상대방의 선한 의도를 알아차는 것이 좋다는 것을 깨달았다.

설득은 논리보다 감정이 먼저라는 사실을 처음 깨닫게 되었다. 나는 설득하는 데 있어서는 항상 상대방을 설득시킬 논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감정을 기초로 두고 논리를 결합시켜야 설득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압박을 가하기보다는 자신의 생각만 전하고 상대방이 생각에 대해 듣고 그들이 자발적으로 사고하도록 돕는 것이 좋은 설득이 된다는 것을 알았다.

긍정적이고 호감이 가는 말이 인정, 지지, 격려, 칭찬, 응원, 축하와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생각하는 긍정적인 말은 형식적이고 좁은 범위였는데 다양한 긍정적인 말을 알게 되어 좋았다. 특히, 칭찬과 이성이 결합된 말이 상대방에게 줄 수 있는 시너지가 굉장히 클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단순한 칭찬보다 이성이 합쳐진 칭찬을 했을 때 더욱 진실되었다는 생각이 들고 기분이 좋을 거 같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41

누군가와 신뢰를 얻기 위해선 어떤 말하기 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게 되었다. 서로 접촉하는 두 개의 물체가 마찰을 만들어내는 것이 자연법칙이듯이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마찰은 당연하다라는 부분이

가정 불화를 평화로 전환시킨 코칭

코치는 경청을 하되 맥락적 경청에 신경 쓸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기 생각을 100% 완벽히 표현하는 사람은 드뭅니다. 생략도 되고 왜곡도 된 상태로 전달이 됩니다. 따라서

행동을 문제 삼지 않는 코칭

수업 중에 학생들에게 “행동에 잘못이 있을까 없을까?” 하며 의도된 질문을 해보면 대다수는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대답을 합니다. 저 역시도 그랬습니다. 그만큼 반전을 일으키는 질문입니다. 행동에

당신에게 행복은 어떻게 다가오나요?

내게 행복을 전해주는 주체는 ‘나’입니다. 왜냐하면 행복은 내 안에 있고 나 스스로 꺼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행복이 다가와도 내가 인식하지 못하면 행복감에 머물지 못할 겁니다.

수업소감 16

나는 말을 많이 하지 않는 내 성격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고 어떻게 고쳐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다. 이번 특강을 듣고 나서 꼭 그렇게 여기지 않아도 되겠다고

보이지 않는 것을 보도록 돕는 코칭

우리가 욕구불만이나 스트레스에 빠지는 이유는 대체로 지각에 의존할 때 그렇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인줄 착각하면 그렇습니다. 그럴 리가 없다, 그런 사람이 아니다는 믿음이 앞서 있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