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방에게 호의적인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 방식에 대해 알게 되었다. 대면으로 바뀌며 새로운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되었는데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 어색했던 경험이 많이 있었다. 스몰토크의 주제에 대해 알 수 있었고 편하게 상대방에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게 된 것 같다. 경청과 타인의 말에 대한 반응이 인간관계 소통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가진다는 것에 크게 공감했다. 내가 타인과 대화할 때 어떠한 유형의 사람과 대화할 때 마음이 편했고 상대방에게 호감을 갖는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이 생각을 통해 나도 타인과 대화할 때 어떠한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 알 수 있었다.

소감을 말할 때 what – why – how 의 방식을 이용하고 좋은 점을 먼저 말한 후 아쉬운 점을 말하는 것이 좋은 말하기란 것을 깨닫게 되었다.

친구와 대화를 하다 오해를 하게 되어 갈등을 갖게 된 경우가 있었는데 나의 어떠한 점 때문에 오해가 생기게 되었는지 알게 되었다. 내가 표현을 하기 위해 선택하는 단어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또한 오해를 가지지 않기 위해서는 충분한 소통을 통해 상대방의 선한 의도를 알아차는 것이 좋다는 것을 깨달았다.

설득은 논리보다 감정이 먼저라는 사실을 처음 깨닫게 되었다. 나는 설득하는 데 있어서는 항상 상대방을 설득시킬 논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감정을 기초로 두고 논리를 결합시켜야 설득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압박을 가하기보다는 자신의 생각만 전하고 상대방이 생각에 대해 듣고 그들이 자발적으로 사고하도록 돕는 것이 좋은 설득이 된다는 것을 알았다.

긍정적이고 호감이 가는 말이 인정, 지지, 격려, 칭찬, 응원, 축하와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생각하는 긍정적인 말은 형식적이고 좁은 범위였는데 다양한 긍정적인 말을 알게 되어 좋았다. 특히, 칭찬과 이성이 결합된 말이 상대방에게 줄 수 있는 시너지가 굉장히 클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단순한 칭찬보다 이성이 합쳐진 칭찬을 했을 때 더욱 진실되었다는 생각이 들고 기분이 좋을 거 같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32

자신있게 말하기 첫 수업시간에도 중요하게 생각했던 what why how의 논리구조에 다시 한번 복기할 수 있었고, 메타인지의 중요성 또한 다시 느낄 수 있었습니다. 내가 한 말에

수업소감 49

대화를 하다보면 공감하기 힘들거나 맞장구 쳐주기 힘든 경우나 처음 만난 사이에 무슨 말을 하야할 지 고민이 되는 순간들이 많았다. 그러나 이 강의를 보고나서 굳이 무슨

세상을 즐기며(낙천樂天) 살도록 돕는 코칭

‘TV 세계여행’이라는 프로그램을 보다가 감동적인 장면을 만났습니다. 서부 아프리카인 세네갈의 일명 조개섬이라고 불리는 조알 파디우트를 방문한 리포터가 섬사람에게 ‘이 섬에 사는 게 왜 좋은가요?” 하는

2021년 기대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2021년 기대하고 있는 일은 새로운 영역으로 저를 확장하는 것입니다. 피터 드러커는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전쟁의 주체이었던 국가로서는 사회작동이 어렵다고 보고 새로운 축으로

지금 이 순간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요?

​ 소중하지 않은 것은 없겠으나, 지금 이 순간 혼자 있다 보니 나다움으로 머무는 것이 가장 소중합니다. 나다움을 유지한다는 것은 내가 어디에 머물고 있는지 내 상태를

코치다움과 코칭다움

나는 코치다운가? 이런 질문을 해보며 두 가지 상황을 생각해보게 됩니다. 하나는 코치라는 모자를 썼을 때이고, 다른 하나는 그렇지 않을 때입니다. 코칭을 하러 기업에 가면 사람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