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얻는 말하기가 무엇인지 깊게 생각해볼 수 있는 특강이었다. 쉽게 말을 먼저 걸지 못하는 나를 돌아볼 수 있었고, 첫인사와 첫인상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수업에서 배우고 소그룹 활동으로 자주 해왔던 small talk에 대해 한번 더 들으며 정리할 수 있는 기회였다. 추가적으로 말문을 여는 것에 대한 다양하고 구체적 방법들을 예시를 통해 설명해주셔서 막연하기만 했던 말하기에 도움이 정말 많이 되었다. 말을 많이 하지 않더라도 표정과 눈 맞춤 등의 제스처들로 사람들의 말에 공감하는 것의 중요성을 느꼈고, 말을 잘 하지 않는 내가 실천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되었다. 또한 공감은 좋은 것라는 당연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공감을 어떻게 하고 어떤 것이 공감인지 잘 알지 못했는데 다양한 예시와 방법을 통해 자세히 알게 되었고, 앞으로 더 적극적인 감정 표현을 해야겠다고 느꼈다.

자신감 있게 말하기 수업에서 늘 강조하신 부분인, 핵심을 전달하는 what, why, how의 말하기를 한번 더 들으며 복습할 수 있었고, 핵심만 골라 말하기가 어려웠는데 체계적으로 정리가 잘 되었다. 또한what, why, how를 사용하여 말할 때 구체적 방법과 예시를 통해 많이 알려주셔서 실생활에서 적용을 많이 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좋은 말하기는 나의 선한 의도가 오해를 불러 일으키지 않게 말하기 전에 명확하게 의도를 표현할 수 있는 표현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듣는 사람도 상대방의 서툰 표현에 담긴 진실된 의도를 알려고 노력해야 한다. 설득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구체적 예시를 통해서 우리가 실천할 수 있도록 잘 설명해주셔서 부족했던 말하기가 많이 채워졌다. 특강을 통해 서툴러도 좋은 말하기가 무엇인지, 말 한마디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또한 나의 취약한 부분이 무엇인지 생각해볼 수 있었고, 그 부분을 어떻게 보완할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정말 늘 힐링되며 얻어가는 것이 많은 수업인 것 같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행동을 문제 삼지 않는 코칭

수업 중에 학생들에게 “행동에 잘못이 있을까 없을까?” 하며 의도된 질문을 해보면 대다수는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대답을 합니다. 저 역시도 그랬습니다. 그만큼 반전을 일으키는 질문입니다. 행동에

수동적인 공부에서 벗어나 AI를 직접 체험해보자!

안녕하세요. 저는 오정근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수동적인 공부만으로만 한계에 부딪혀왔다면, 오늘은 AI를 직접 체험해보는 새로운 경험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AI는 우리 생활의 여러 분야에서 점점 더

수업소감 18

자신있게 말하기 강의에서도 잠깐 들었던 내용을 더 자세히 들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군대에서 배울 점이 많았던 선임. 후임도 생각이 났습니다. 제가 통신병으로 있을 때, 저는

생의 마지막 날에 무슨 말을 남길 것인가?

가족에게는 “부족하여 미안하고, 참아주어 고맙다.”는 말을 할 것 같고, ​ “나는 육체의 옷을 벗게 되어 홀가분하다. 이제 영혼을 가꿀 수 있게 되어 너무 좋다. ​

한계를 돌파하도록 돕는 코칭

어느 날 염구라는 제자가 공자에게 “선생님의 가르침이 싫어서가 아니라 제가 실행하기에 역부족(力不足)인가 봅니다”라고 합니다. 이 말을 듣자 공자가 한 마디 합니다. “힘이 부족한 사람은 해보다가

보이지 않는 것을 보도록 돕는 코칭

우리가 욕구불만이나 스트레스에 빠지는 이유는 대체로 지각에 의존할 때 그렇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인줄 착각하면 그렇습니다. 그럴 리가 없다, 그런 사람이 아니다는 믿음이 앞서 있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