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방과의 대화에서 공감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특히나 요즘 사회관계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만 하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정작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듣지 않게 되는 것이죠. 사실 말하고 듣는 것 자체는 정말 어렸을 때부터 많이 해오던 정말 기본적인 것들이지만 정작 성인이 되어서 사람들의 대화를 살펴보면 아직까지도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사실 저는 저의 이야기를 하기보다는 상대방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데, 이것이 큰 강점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오늘 깨닫게 되었습니다. 상대방의 이야기를 잘 듣는 것과 더불어 적절하게 공감하는 말과 호감이 가는 말을 해준다면 사람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더욱 큰 빛을 발하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소통하면서 지녀야 할 자세에 관하여, 말할 때는 선한 의도를 잘 담아낼 수 있는 표현을 사용하는 데 집중하고, 들을 때는 상대방의 표현에 집중하기보다 상대방이 전달하고자 하는 선한 의도를 찾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에 깊이 공감하였습니다. 사실 제 경우만 보더라도, 제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가 표현에 잘 담기지 않았음에도 상대방이 나의 의도를 알아주기를 바라고, 듣는 입장에서는 상대방의 표현 그 자체에 집중합니다. 그래서 때로는 의도치 않은 다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오늘 이러한 제 태도가 정말 이기적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아무리 선한 의도를 가졌다고 하더라도 표현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상대방에게는 아무런 쓸모가 없습니다. 그리고 상대방이 나에게 하는 표현 그 자체에만 집중한다면 결코 상대방의 의도를 깨닫지 못합니다. 그래서 소통에 있어서 이러한 자세를 지니는 것은 일종의 배려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를 최대한 상대방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하고, 상대방이 나에게 하고자 하는 말이 뭔지를 파악함으로써 표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진정한 의도를 깨닫는 것이죠. 이러한 자세를 가지고 소통한다면 사람들과의 관계 맺음에 있어서 매우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매우 어렵겠지만 앞으로 이러한 자세를 지니고자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성의가 잘 드러나도록 돕는 코칭

아마 격물치지라는 말과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대학」 책에는 ‘격물 치지’ 와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라는 단어 사이에 ‘성의’와 ‘정심’이란 단어가 위치합니다. 이 8가지를 합하여

거리와 거리감, 어떻게 줄일까? – 오정근코치

동물원의 동물은 우리 안에 갇혀 있는 자신을 불행이라 생각할까 아니면 포획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는 걸 다행이라 생각할까? 이런 평소 의문은 ‘파이이야기’란 소설을 읽으며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수업소감 4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라는 주제가 저에게는 매우 와닿는 주제였습니다. 저는 현재 오정근교수님께서 하시는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정말 행복하게 수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수업소감 19

글말특강을 듣고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으로서 한 학기 동안 배운 내용이 상기 되었다. 내가 생각하고 있는 나의 단점을 장점으로 바꿔서 설명해주시는 교수님의 말씀과

살필 찰(察)과 코칭

찰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관찰, 성찰, 통찰입니다. 아시다시피 찰(察)은 살핀다는 말입니다. ​ 살피기를 가장 잘 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엄마가 어린 아이 살피기를 잘하듯이 코칭 장면에서

터놓고 말하고 싶은 주제는 무엇인가요?

코칭의 구분 코칭은 크게 비즈니스 코칭과 라이프 코칭으로 구분합니다. 쉽게 말하면 비즈니스 코칭을 의뢰하고 비용을 지급하는 대상이 회사이고 라이프코칭은 개인이라고 하겠습니다. 따라서 다루는 주제가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