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를 시작하실 때 1학기동안 들었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이 새록새록 생각났습니다.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이 힐링 수업인 이유가 ‘이론수업을 통해서 사람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마음을 열게 되어 힐링 되었다’. 이 말씀이 강의를 들으면서 저에게 미소를 짓게 만들었습니다.

what why how 의 방식을 통해서 초안을 쓰면 대본을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하게 쓰지 않더라도 잘 정리된 개요만으로도 이야기를 잘 이끌어 나갈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관계적 대화라는 것이 이번 글말특강의 핵심 포인트였는데, 상대방의 상황을 이해하고 거기에 진심으로 공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점이었습니다. 수업 초창기에 교수님이 자말 수업에서 자신에게 부족한 점, 이번 수업을 통해서 어떤 점이 나아졌으면 하는지에 대해서 채팅창에 올리라고 하셨던 적이 있었습니다. 저는 사람들과 말하기는 좋아하지만 친구들이 저에게 진담 반 농담 반으로 늘 ‘말에 영혼이 없다. 공감이 그게 다냐.’ 라고 말했기 때문에 그것이 저의 개선점이었습니다.

사실 수업을 진행하면서 가장 재미있었고 기다렸던 시간이 소회의실에 들어가 사람들과 주제에 대해 토론하게 되는 것이었습니다. 때문에 15주차 수업을 진행하고 여러 학우들과 소통하면서 실제로 SNS친구가 되기도 하고 내 이야기를 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아닌 다른 사람들의 얘기에도 집중하며 또 꼬리에 꼬리를 물어서 그 얘기에 대해서 서로 공감하면서 토론했던 점이 수업을 넘어서 저에게 좋은 경험이고 기회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제서야 저는 친구들과 이야기할 때 남의 얘기를 듣고는 있지만 이 다음에 내가 무슨 이야기를 해서 주도권을 갖고 올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했다는 것이 저의 문제점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존재와 본성에 초점을 두는 코칭

「대학」 책에 보면 본本과 말末에 대한 말이 나오는데 본(本)은 존재(being)에 해당합니다. 코칭은 존재와 사고방식에 집중합니다. 이것은 철학이 존재론과 인식론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것과 유사합니다. 코칭에는 [삼중고리헉습

직관의 힘을 믿는 코치

처음 코칭을 배울 때 실습과정에서 실수할 까봐 주저하던 모습을 보고 당시 고참 코치들은 “자신의 직관을 믿으세요!” 라는 말을 여러 번 해주었습니다. ‘상황에 맞는 질문을 할

수업소감 30

강의를 통해 지금까지 저의 말하기를 돌아보며 가장 크게 느낀 것은 제가 저의 마음을 전하는 말하기를 하는 데 급급해서 상대의 마음을 얻는 것을 놓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오정근 코치의 질문의 힘] 뭐라고 불러드릴까요?

[한국강사신문 오정근 칼럼니스트] 호기심이 많던 둘째 딸아이가 초등학생이던 어느 날 내게 이렇게 물었다. “목사는 목사님, 신부는 신부님이라고 하면서, 왜 중은 중님이라고 부르지 않아?” 그 질문

영화 <미나리>와 <미생> 속 갈등

영화 를 보면 부부 갈등 장면이 여러번 나온다. 부부가 다투는 원인은 아직 살만하니까 그렇다는 점이다. 맞는 말이다. 왜냐하면 영화 후반부를 보면 알 수 있다. 오히려

발생된 미래를 다루는 코칭

피터 드러커는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자신을 미래학자라고 부르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았다. 그는 오직 관찰할 뿐이라고 하며 사회생태학자로 불리길 좋아했다. 미래는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