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라는 주제가 저에게는 매우 와닿는 주제였습니다. 저는 현재 오정근교수님께서 하시는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정말 행복하게 수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오늘 들은 이 수업 또한 매우 행복하게 수강할 수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이 수업에서 배운 교훈들을 제 삶에 적용한다면 정말 좋은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첫 번째로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생각의 전환은 제게 정말 많은 변화를 주었습니다. 단점을 장점으로 또 부정적인 생각을 긍정적인 생각으로 바꿀 수 있는 매우 좋은 방법입니다. 저는 이 방법을 교수님께 배운 후 생활 속에서 정말 많이 적용해 보았고 그 결과 정말 긍정적인 일들이 많이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메타인지 또한 말하기를 하거나 글을 쓸 때 매우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좋은 방법들을 이 수업에서 다시 한번 더 배울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처음 만나는 사람과 대화해야 할 때 보통 어색하게 지나가는 시간이 많은데 그럴 때 사용할 수 있는 질문법도 배울 수 있어 매우 유익했습니다. 이러한 질문을 통해 상대방과 더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고 이것이 또 다른 하나의 경쟁력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삶에서 제일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사람과의 관계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 강의에서는 그 관계 속에서 우리가 어떻게 하면 더 유연하게 잘 나아갈 수 있는지, 또 어떻게 하면 더 자신감 있게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에 대해 정말 잘 배울 수 있는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대학을 졸업한 후의 사회로 나갔을 때 저희가 많이 사용해야 할 설득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가르쳐주셔서 정말 좋았습니다.

저는 사실 사람들과 대화하고 발표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지만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발표할 수 있는지는 잘 알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이 수업을 통해 그 방법을 더 자세히 알게 되고 이로써 제가 어떤 점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어떠한 것을 설득할 때는 득이 되는 점과 실이 되는 점을 이야기하면 더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난 후 실제로 동생에게 학습 관련 설득할 때 사용해 보았는데 정말 효과적으로 동생이 이해하는 것을 보고 뿌듯하기도 하고 정말 보람 있었습니다.

“설득은 논리보다 감정이 먼저다”라는 교수님의 말씀을 잘 새기며 앞으로 설득하는 말하기를 할 때 득과 실의 방법뿐만 아니라 감정을 움직이는 말하기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교수님께서 저희에게 해주신 말씀처럼 저도 나 자신을 먼저 사랑하고 이해하며 선한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 되어 자신 있게 저의 생각을 말하고 또 많은 사람에게 위로와 감동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왜 어린소녀에게 감동하나?

나는 미스트롯 2를 보고 놀랐습니다. 김태연양의 소리에 놀랐고, 내 눈물샘이 흐르면서 느꼈고, 점수를 보면서 또다시 놀랐습니다. 이런 감정은 나만의 것이 아니었습니다. 마스터 심사위원들도 그랬고, 수많은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3)

세 번째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감사는 감사를 부른다는 것이다. 신학기가 되어 학생들에게 혹은 어떤 단체 모임에서 자기 소개를 할 때가 생깁니다. 그 때마다 저는 저의

감정이해와 감정코칭

감정은 인식의 주체입니다. 감정은 스스로 그렇게 될 수밖에 될 수 없는 이치를 압니다. 내가 느끼는 거지 다른 것 때문에 느끼는 게 아닙니다. 감정은 항상 주체이지

수업소감 38

대학교에 신입생으로 입학하여 처음 겪는 사회생활에 어떤 식으로 사람들과 소통해야 할지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사람들과 소통할 때 소통방법을 배우고 싶어 이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세가지의

[오정근 코치의 질문의 힘] 뭐라고 불러드릴까요?

[한국강사신문 오정근 칼럼니스트] 호기심이 많던 둘째 딸아이가 초등학생이던 어느 날 내게 이렇게 물었다. “목사는 목사님, 신부는 신부님이라고 하면서, 왜 중은 중님이라고 부르지 않아?” 그 질문

판매 현장에서 질문의 힘(1)

좋은 질문은 듣는 사람에게 집중하게 만들고, 생각하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사례가 왜 제게 의미가 있을까요? 저는 ‘설득하지 말고 질문으로 납득시켜라’, 는 교훈을 얻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