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은 2022-1학기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What, Why, How의 절차에 걸쳐 말하기, 상황에 따른 말하기 등의 내용이 13주차에 걸친 수업에서 익숙하게 들어왔던 말씀과 동일하여 편하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쉽게 말문을 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 초창기가 생각납니다. Zoom 소모임에서 처음 만나는 학우분과 어떤 얘기를 해야 할지, 누가 먼저 얘기를 시작할지에 대해 고민하며 어렵사리 말문을 틀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도 매 수업 마다 교수님께서 정해주시는 주제에 대해 얘기를 꺼내다보니 어느새 매번 새로이 바뀌는 소모임에서의 대화가 꽤나 익숙해짐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핵심전달을 잘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에 대해선, 수업 초창기엔 따로 말할 내용을 글로 써서 준비를 하지 않고 큰 주제만을 생각한 채로 전달하려다보니, 말하고픈 내용은 많은데 정리가 되지 않아 듣는 이로 하여금 핵심이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을 품게 했습니다. 이러한 부분도 수업을 거듭하며 제한된 시간 동안의 말하기를 연습하다보니 학기가 끝나가는 요즘에 들어선 꽤나 정돈된 핵심적인 내용을 전달할 수 있게 됐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해야 호감을 얻는 말하기를 할 수 있을까. 처음의 저는 비대면 대화를 고려하여 상대방이 저와 마주보는 느낌이 들 수 있도록 카메라를 응시하며 말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시선이 자꾸만 흔들려 보는 이가 편치 못한 발표를 했던 것 같습니다. 또한 조용한 환경이 아닌 학교 내의 공공장소와 같이 주변소음이 있는 장소에서 발표를 하다 보니 듣는 사람도 부드럽게 들을 수 없을뿐더러 저 또한 저의 목소리와 저의 발표를 듣는 다른 학우 분들의 현 상태를 점검하지 못하여 깔끔하지 못한, 저 스스로도 만족스럽지 않은 발표를 했었습니다. 그래서 수업을 거듭하며 카메라를 응시하며 말하는 연습을 하고, 집에서 발표를 함으로써 주변 소음이 없어지고 온전히 듣는 이와 발표자만이 함께 하는 발표를 하게 됐습니다.

“원하는 일이 절실하고, 사람에게 진실하고, 자신에게 성실하면 자기 삶이 충실해집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는 자신감을 갖게 될 것이고 저는 이를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통해 얻게 된 것 같습니다. 한 학기 동안의 수업을 마무리 짓는 좋은 특강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가정(If)질문을 활용한 인식전환

​ 리더십코칭이나 라이프 코칭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주제는 대인관계에 관한 것입니다. 마음이 안 통하거나 소통이 잘 안되다는 것인데, 사실과 사실 아닌 것을 구별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수업소감 9

자신 있게 말하기를 수강하면서, 그리고 이 글말 교실 특강을 들으면서 들었던 생각이 있다. 나는 내가 게으르다는 성격과 함께, 꾸준함 없이 작심삼일을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수업소감 21

상대방과의 대화에서 공감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특히나 요즘 사회관계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만 하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정작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2)

두 번쩨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감사는 당연했던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저는 그동안 제 힘으로 사는 줄 알았습니다. 세상 돌아가는 모든 것을 당연하게 생각해왔지

순임금의 지혜탐구 방법과 코칭

코칭고객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정답을 제공하는 컨설팅과 달리 코칭은 코치의 질문에 의해 코칭고객 스스로 최적의 답을 찾아내어 실천하도록 돕는 지혜를 다루는 대화과정입니다. 학문이라는 뜻은 원래

행동을 문제 삼지 않는 코칭

수업 중에 학생들에게 “행동에 잘못이 있을까 없을까?” 하며 의도된 질문을 해보면 대다수는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대답을 합니다. 저 역시도 그랬습니다. 그만큼 반전을 일으키는 질문입니다. 행동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