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은 2022-1학기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What, Why, How의 절차에 걸쳐 말하기, 상황에 따른 말하기 등의 내용이 13주차에 걸친 수업에서 익숙하게 들어왔던 말씀과 동일하여 편하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쉽게 말문을 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 초창기가 생각납니다. Zoom 소모임에서 처음 만나는 학우분과 어떤 얘기를 해야 할지, 누가 먼저 얘기를 시작할지에 대해 고민하며 어렵사리 말문을 틀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도 매 수업 마다 교수님께서 정해주시는 주제에 대해 얘기를 꺼내다보니 어느새 매번 새로이 바뀌는 소모임에서의 대화가 꽤나 익숙해짐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핵심전달을 잘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에 대해선, 수업 초창기엔 따로 말할 내용을 글로 써서 준비를 하지 않고 큰 주제만을 생각한 채로 전달하려다보니, 말하고픈 내용은 많은데 정리가 되지 않아 듣는 이로 하여금 핵심이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을 품게 했습니다. 이러한 부분도 수업을 거듭하며 제한된 시간 동안의 말하기를 연습하다보니 학기가 끝나가는 요즘에 들어선 꽤나 정돈된 핵심적인 내용을 전달할 수 있게 됐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해야 호감을 얻는 말하기를 할 수 있을까. 처음의 저는 비대면 대화를 고려하여 상대방이 저와 마주보는 느낌이 들 수 있도록 카메라를 응시하며 말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시선이 자꾸만 흔들려 보는 이가 편치 못한 발표를 했던 것 같습니다. 또한 조용한 환경이 아닌 학교 내의 공공장소와 같이 주변소음이 있는 장소에서 발표를 하다 보니 듣는 사람도 부드럽게 들을 수 없을뿐더러 저 또한 저의 목소리와 저의 발표를 듣는 다른 학우 분들의 현 상태를 점검하지 못하여 깔끔하지 못한, 저 스스로도 만족스럽지 않은 발표를 했었습니다. 그래서 수업을 거듭하며 카메라를 응시하며 말하는 연습을 하고, 집에서 발표를 함으로써 주변 소음이 없어지고 온전히 듣는 이와 발표자만이 함께 하는 발표를 하게 됐습니다.

“원하는 일이 절실하고, 사람에게 진실하고, 자신에게 성실하면 자기 삶이 충실해집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는 자신감을 갖게 될 것이고 저는 이를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통해 얻게 된 것 같습니다. 한 학기 동안의 수업을 마무리 짓는 좋은 특강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11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를 수강하여 글말교실 글말특강 중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를 듣게 되었습니다. 저는 다른 사람들을 만날 때 먼저 표현하고 약속을 잡는 편입니다.

수업소감 32

자신있게 말하기 첫 수업시간에도 중요하게 생각했던 what why how의 논리구조에 다시 한번 복기할 수 있었고, 메타인지의 중요성 또한 다시 느낄 수 있었습니다. 내가 한 말에

원하는 것을 얻도록 돕는 코칭

이슈를 지닌 코칭고객들은 자기가 당면한 문제가 해결하려면 내가 아닌 상대방이 변해야 한다고 생각을 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코치는 이슈 당사자를 만나고 있을 뿐이므로 코칭 장면에 없는

수업소감 7

사람들에게 마음을 얻는 말하기는 정말 어려운 것인 것 같다. 하나부터 열까지 쉽지 않다. 사람들에게 호감을 얻으려면 말을 할 때 눈을 맞추거나 끄덕여주거나 공감을 해주는 등

10년 후 어떤 모습이면 좋을까?

‘다 좋은 세상’이라는 인문철학과 코칭을 함께 공부하는 모임을 만들고 싶습니다. 각자 자기 삶을 이야기하면서 지혜와 사랑을 확충하는 학당을 운영하여 누군가에게 기여하는 삶에 기여하고, 세계시민정신으로 살아가는

가정(If)질문을 활용한 인식전환

​ 리더십코칭이나 라이프 코칭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주제는 대인관계에 관한 것입니다. 마음이 안 통하거나 소통이 잘 안되다는 것인데, 사실과 사실 아닌 것을 구별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