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관찰, 성찰, 통찰입니다.

아시다시피 찰(察)은 살핀다는 말입니다.

살피기를 가장 잘 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엄마가 어린 아이 살피기를 잘하듯이

코칭 장면에서 저도 그래야 하는데 아직 부족하고 연습이 더 필요합니다.

관찰은 보면서 살피는 것이고

성찰은 돌아보면서 살피는 것이요

통찰은 꿰뚫어보면서 살피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ICF에서는 2번째 역량 “2. 코칭마인트 셋을 구현한다”에서

마인드셋에 대한 정의 가운데 “호기심이 많으며”라는 표현과 함께

구현하는 핵심요소로 “성찰 훈련을 개발한다(Develop reflective practice) 고 했습니다.

살피기를 잘 해낸 사람의 모델이 있다면 누구를 꼽을 수 있을까요?

바로 순임금입니다.

순임금은 묻기를 즐겨했습니다. 호기심이 아주 많았나 봅니다.

또한 순임금은 살피기를 좋아했습니다.

<중용> 6장을 보면 공자님이 순임금이 엄청 지혜로운 분이라고 일컫습니다.

순임금이 잘 한 것을 3가지 꼽는데,

그 가운데 첫번째 키워드가 호문호찰입니다.

호문(好問-묻기를 좋아함) 호찰(好察-살피기를 좋아함)의 단어를 보고

코칭의 원리가 우리의 고전 속에 있었구나, 하며 반가웠었습니다.

순임금은 무얼 살폈을까요?

이언(邇言)이라 하여, 대수롭지 않은 말조차 살폈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코칭하다가

“지금 한숨을 쉬셨는데 지금 어떤 마음이 느껴지시나요?”

이렇게 말할 때가 바로 이언을 살피는 중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들어보니까 ~”

“제가 보니까~”

와 같은 표현도 코치가 관찰한 바를 나누는 것이어서

코치가 살피고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신호라 생각합니다.

잘 살피면 눈치코치가 있는 사람이겠죠?!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영화 <미나리>를 통한 깨달음

미나리는 아무 데서나 잘 자란다. 미나리는 김치를 해 먹어도 좋고 찌개에 넣어 먹어도 되고 국에 넣어 먹어도 좋다. 미나리라는 영화는 70~ 80년대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

좋은 감정에 머물도록 돕는 감정코칭

「대학」 책에 큰 공부하는 목적으로 세가지를 제시하는 데 마지막 것이 지어지선(止於至善)입니다. 무언가 배웠다면 아주 좋은 상태에 머물러야 한다는 뜻입니다. “알고 보니 나 괜찮은 사람이네, 알고

수업소감 27

상대방에게 호의적인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 방식에 대해 알게 되었다. 대면으로 바뀌며 새로운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되었는데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 어색했던 경험이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짧은 시간에 코칭고객의 인식 변화를 돕는 게 핵심입니다. 인식전환은 세가지 관점에서 접근하면 수월합니다. 철학에서 다루는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 이 세가지 관점에서 고객이 어떻게 말을

가장 빈번히 느끼는 감정은?

단연코 감사입니다. 야구는 인생과 같다고 하는 말이 재미 있습니다. 왜냐하면 둘 다 ‘집에서 출발해서 집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제가 저 혼자만의 힘으로 집으로 돌아오거나 밥을

존재를 알아주는 동기부여 코칭

코칭이나 티칭이나 리더십이나 공통적인 것은 사람을 살리는 일입니다. 사람의 기운을 살아나게 하는 것을 흔히 동기부여라고 합니다. 사람을 살리는 마음을 한자로 생물지심(生物之心)이라고 합니다. 이 말은 인(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