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어린소녀에게 감동하나?

나는 미스트롯 2를 보고 놀랐습니다. 김태연양의 소리에 놀랐고, 내 눈물샘이 흐르면서 느꼈고, 점수를 보면서 또다시 놀랐습니다.

이런 감정은 나만의 것이 아니었습니다. 마스터 심사위원들도 그랬고, 수많은 시청자들도 그랬습니다.

김태연양은 여러 칭찬의 말 가운데 장윤정마스터님이 해준 말이 가장 가슴에 와 닿았다고 산문기사를 보고 알았습니다.

“네가 옳았다!” 는 그 말은 내 마음에도 쏙 들었고요.

어찌 그리 곡 해석을 잘하여 자기만의 색깔로 노래를 풀어냈는지 장윤정마스터는 “태연이처럼 그렇게 불렀어야 했다”, 며 모든 것을 인정합니다.

가사 중 [꺼내든 사진 속에 빛바랜 “기억들이”]를 “기억드으리이” 하며 절절하고도 가슴 미어지는 호소력에 듣는 내내 정신이 혼미해지는 걸 느낍니다.

신동이란 이것 것이구나 싶었습니다.

6살에 판소리를 시작했다고 합니다. <홍보가>를 완창하려면 대개 5년에서 10년 걸리는데 김태연양은 3년만에 마스터했다는 박정아스승의 덕담도 그녀가 어떤 존재인지 알게 해줍니다.

재능은 노력을 못따라 간다고 했으니 재능만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닐 겁니다.

김태연양이 준결승전 선곡을 위해 오래 고민하고 애쓰던 모습에서도 그런 것이 느껴졌습니다.

잘 해내고 싶어 하는 마음이 전해지기에

계속 좋은 노래를 들려줄 것을 기대하며, 사랑스럽고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행동을 문제 삼지 않는 코칭

수업 중에 학생들에게 “행동에 잘못이 있을까 없을까?” 하며 의도된 질문을 해보면 대다수는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대답을 합니다. 저 역시도 그랬습니다. 그만큼 반전을 일으키는 질문입니다. 행동에

세종의 독서코칭 -오정근코치

​ 세종 초기에 당시 어전회의 분위기는 오늘날 많은 조직과 크게 다르지 않았나 보다. 세종은 신하들이 좀처럼 입을 열지 않아 속마음 알기도 어려웠고, 누군가 의견을 개진하면

원하는 것을 얻도록 돕는 코칭

이슈를 지닌 코칭고객들은 자기가 당면한 문제가 해결하려면 내가 아닌 상대방이 변해야 한다고 생각을 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코치는 이슈 당사자를 만나고 있을 뿐이므로 코칭 장면에 없는

코치의 철학과 코칭의 원리

수업참여 소감은 프로그램 소개 아래에 있습니다. ​ 수업은 Zoom으로 진행이 되었고 37명의 코치님이 참석하셨는데 마치면서 수업 소감을 아래와 같이 작성해주셨습니다. ​ – 오늘 좋았던 걸

수업소감 19

글말특강을 듣고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으로서 한 학기 동안 배운 내용이 상기 되었다. 내가 생각하고 있는 나의 단점을 장점으로 바꿔서 설명해주시는 교수님의 말씀과

감정이해와 감정코칭

감정은 인식의 주체입니다. 감정은 스스로 그렇게 될 수밖에 될 수 없는 이치를 압니다. 내가 느끼는 거지 다른 것 때문에 느끼는 게 아닙니다. 감정은 항상 주체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