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감정을 알아차리게 돕는 감정코칭

우리는 감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자기 감정을 오래하고 그 감정에 속기도 합니다. 예컨대 미움이 진짜 감정이 아니라는 겁니다. 왜 미운가? 미움이란 것이 어떻게 생겼는지 들여다보면 이내 사랑과 만나게 됩니다.

세상을 살리는 것은 사랑입니다. 사람을 살아나게 하는 것도 사랑입니다. 사랑을 놓치는 순간 스스로 어두워져서 세상을 좁게 보게 됩니다. 그 순간은 바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입니다. 원래는 누구나 사랑 덩어리인데, 자기 욕망이나 욕구가 좌절되면 거기에 생각을 놓치면 자기다움에서 멀어지게 됩니다.

<사례> 미운 게 진짜 미운 게 아니라는 걸 알아차린 사례

코칭고객 : 딸아이가 말도 안 듣고 고집 피워서 미워 죽겠네요.

코치 : 많이 실망스러운가 보네요.

코칭고객 : 예. 우리 아이는 좀 특이해요. 아니 아주 별난 것 같아요.

코치 : 아이를 잘 키우고 싶은 마음이 그만큼 크신가 보네요.

코칭고객 : 그렇죠. 그런데 그게 마음대로 안되니…

코치 : 아이가 밉다고 하셨는데 그 미움이 어디에서 왔을까요?

코칭고객 : 그 거야 그 아이가 하는 행동들 때문에 그렇죠.

코치 : 그러니까 어머니 마음에 들지 않아 밉다고 하시는 것 아닌가요?

코칭고객 : 마찬가지 이야기 아닌가요?

코치 : 제 이야기에 동의가 되시는지 잠깐 들어보시겠어요?

코칭고객 : (끄덕끄덕)

코치 : 따님에게 사랑을 주고 싶은데 그것이 작동이 안되어 미움이 생긴 것 아닐까요?

코칭고객 : 예. 그렇죠.

코치 : 그러니까 원래 미운 것이 아니라 지금 밉다고 하는 것이 어머니의 사랑에서 온 것 아닐까요?

코칭고객 : 그건 그렇네요.

코치 : 미움이 사랑에서 온 것이다,라는 말에 동의하시니 감사하구요, 어떤 느낌이 드세요?

코칭고객 : 무슨 말인지 알겠어요.

코치 : 만일 따님이 문제가 되는 행동을 하지 않으면 그래도 미울까요? 어떨 것 같나요?

코칭고객 : 그러면 좋겠어요. 저도 잔소리를 안 하게 되고 웃으며 대할 수 있죠.

코치 : 아까 미워 죽겠다는 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코칭고객 : 진심은 아니네요. 제가 스트레스 때문에 그런 말을 했나봐요.

코치 : 그렇다면 따님도 스트레스를 받아서 삐뚜로 나간 건 아닐까요?

코칭고객 : 제가 아이에게 바라는 게 강할수록 저도 세게 말했었네요.

코치 : 엄마가 잔소리하고 싫은 표정으로 대할 때 따님은 어떤 생각이나 느낌을 갖게 될까요?

코칭고객 : 딸아이도 엄마가 밉다고 생각했겠네요.

코치 : 그렇다면 따님이 자기 생각을 바르게 전환하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코칭고객 : 저도 말로 자극하지 말아야 하겠네요.

코치 :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코칭고객 : 화가 나가나 짜증이 나도 아이가 미워서 그런 게 아니라 사랑해서 그런 것이다, 라는 생각을 하면 저도 참을 수 있겠어요. 좀 기다려줄 수 있겠네요.

코치 : 하하 마음에 여유가 좀 생기시나 봅니다.

코칭고객 : 예. ㅎㅎ

코치 : 따님이 엄마 말을 잘 받아들이도록 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코칭고객 : 제가 이제부터 조급하게 생각하지 않으려고 해요. 아이도 공부하느라 스트레스가 많을 텐데 제가 제 방식대로 하려고 했던 것 같네요. 저도 공감해주고 위로나 격려의 말을 해주어야 한다는 걸 알면서도 제가 그런 것들을 놓쳤었네요.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10

저는 낯을 별로 가리지 않고 어색한 분위기를 싫어하지만 말주변이 뛰어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상대가 이야기를 하면 경청을 하는 편입니다. 오늘도 마침 처음 만나는 사람들과 자리를 함께하게

손흥민 선수에게 던진 질문들

손흥민하면 어떤 감정 단어가 떠오르나요? 저는 기쁨, 자랑스러움, 뿌듯함, 안심, 기대감, 놀라움, 행복, 감사, 열정과 같은 단어가 떠오릅니다. 손흥민 선수를 좋아하는 팬들이 전세계적으로 넓어지면서 팬들은

생의 마지막 날에 무슨 말을 남길 것인가?

가족에게는 “부족하여 미안하고, 참아주어 고맙다.”는 말을 할 것 같고, ​ “나는 육체의 옷을 벗게 되어 홀가분하다. 이제 영혼을 가꿀 수 있게 되어 너무 좋다. ​

수업소감 44

언젠가부터 타인과 나누는 대부분의 대화가 노동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좋지 않은 변화였다. 모든 대화가 즐겁고 편안할 수만은 없다는 걸 잘 알지만, 문제는 내가 진정으로 사랑하고 세상에

선후를 챙기도록 돕는 코칭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생각이 좁아지고 위축감이 들면서 자신감도 약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럴 때 누군가 그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주면 마음이 열리고 편안해집니다. 코칭의 목적이 힐링은 아니지만

수업소감 37

이 수업은 일상생활에서 말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는 수업이어서 낯을 많이 가리는 나에게 매우 도움이 되는 수업이었다. 또, 이런 내용의 수업을 들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수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