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치 : 그래서 정말 화가 많이 나셨던 것이군요.

코칭고객 : 예. 그렇죠. 제 이야기를 잘 들어서 아시겠지만, 그 사람이 그렇게 행동하는데 제가 화가 안 날 수 있겠습니까?

감정의 원인은 자기 안에 있지 밖에 있지 않습니다. 납득이 안 되는 상대 행동은 촉발된 요인일 뿐이요, 화가 났다면 그 이유는 자기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논어」에는 생각을 챙기는 말 가운데 ‘분사난(忿思難)’’이란 말이 나옵니다. 화가 날 때는 화풀이로 인해 더 곤란하게 되는 상황을 생각하라고 가르쳐줍니다. 그렇다면 아래 두 가지 중 어느 것이 바람직할까요?

• 화가 나니까 화를 낸다.(A)

• 무엇이 납득이 안 되어 화가 나는지 알아 본다.(B)

감정은 곧 이성입니다. 감정과 이성은 다른 것 아닌가? 싶겠지만, 사실 둘을 나눠서 이야기할 뿐이지 감정과 이상은 원래가 하나인 셈입니다. 감정 속에 이성이 있고, 이성 속에 감정이 있습니다. 감정은 논리에 따르기에 화가 나는 것은 자연스런 일입니다.

위의 코칭 대화사례는 (A)에 해당합니다. 저도 그렇습니다만 화 내고나서 나중에 알고 보면 오해(잘못 알)일 때가 종종 있습니다. 상대가 왜 그랬는지 이해가 되면 화가 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B)와 같이 무얼 몰라서 화가 나는지 그 감정이 더 알아보면 관계를 해치지 않고 보다 지혜롭게 대처할 수 있겠습니다. 모르는 것은 두 가지로 구분해볼 수 있는데 내가 상대를 모르거나 혹은 상대가 나를 모르거나 하는 경우입니다.

<사례> 불편한 감정 상태에서 앎을 확인하는 사례

코치 : 만일 이유를 충분히 안다면 화가 안 나겠죠?

코칭고객 : 그렇죠.

코치 : 그렇다면 지금 무언가 덜 아니까 화가 계속 나는 건 아닐까요?

코칭고객 : 제가 확실히 압니다. 그 사람이 그런 사람이라니까요.

코치 : 그 사람은 이런 상황에서 김선생님이 이렇게까지 싫어한다는 걸 알고 있는 걸까요?

코칭고객 : 글쎄요… 모를 수도 있네요.

코치 : 상대가 모르고 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까 어떠세요?

코칭고객 : 그렇게 생각하니까 제 화가 좀 가라앉네요. 제가 다음에는 의사표현을 분명히 해야겠네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칭에서 다루는 것은 본(本)

# 리더 : “코치님, 구성원이 저를 잘 따르지 않는데 이럴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코치 : “그 문제가 해결되면 팀장님에게 무엇이 좋아지나요?” 리더 : “불편한

세상을 즐기며(낙천樂天) 살도록 돕는 코칭

‘TV 세계여행’이라는 프로그램을 보다가 감동적인 장면을 만났습니다. 서부 아프리카인 세네갈의 일명 조개섬이라고 불리는 조알 파디우트를 방문한 리포터가 섬사람에게 ‘이 섬에 사는 게 왜 좋은가요?” 하는

영화 <미나리>와 <미생> 속 갈등

영화 를 보면 부부 갈등 장면이 여러번 나온다. 부부가 다투는 원인은 아직 살만하니까 그렇다는 점이다. 맞는 말이다. 왜냐하면 영화 후반부를 보면 알 수 있다. 오히려

서편제의 한과 천년학의 비상 -오정근코치

이청준님의 ‘남도사랑’ 소설 책에는 임권택 감독이 영화로 만들어 유명한 ‘서편제’와 ‘선학동 나그네’가 담겨 있다. 책은 ‘서편제’에서 시작하여 ‘소리의 빛’을 거쳐 ‘선학동’으로 이어진다. 세 개의 단편작품들은

경험 세계 이전의 앎을 챙기는 코칭

소크라테스는 앎이 왜 좋은 것인지 개의 비유를 통해 설명합니다. 개가 예전에 한 번도 해코지를 당한 적이 없는데 낯선 사람을 보면 사납게 굴고, 반면에 주인이 알

질문을 통해 피드백을 전하는 코칭

우리는 피드백을 할 때 행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왜냐하면 행동의 변화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상대의 행동에 초점을 두고 변화를 요청하면 상대방은 자칫 간섭이나 통제로 느껴지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