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If)질문을 활용한 인식전환

리더십코칭이나 라이프 코칭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주제는 대인관계에 관한 것입니다. 마음이 안 통하거나 소통이 잘 안되다는 것인데, 사실과 사실 아닌 것을 구별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만 잘 가려내어도, 즉 명석판명 (clear & distinct)하면 갈등에서 벗어나기 쉽습니다.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로 인힉하는 것을 우리는 오해라고 합니다. 확실하지 않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겉으로 보이는 것이 전부인줄 알고 부정적으로 인식하곤 합니다. 그런 연유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그럴 때 소통이 엇나가기 쉽습니다.

이럴 때 코치가 긍정가정을 전제로 질문해보면 인식전환이 잘 일어납니다.

<사례> 긍정 가정을 전제로 감정전환과 인식전환을 돕는 코칭

코치 : 오늘은 에너지가 다운되어 보이시네요.

코칭고객 : 회사에서 동료 땜에 화가 나서요. 저에게 자꾸 간섭하고 자기 잘난 척하거든요.

코치 : 다정다감한 분이시라 동료의 그런 말과 행동에 상처를 받으셨나 봐요?

코칭고객 : 맞아요.

코치 : 그래서 어떻게 반응하셨나요?

코칭고객 : 저도 모르게 언성이 높아졌고 약간 실랑이를 하다가 대화를 그만두었어요.

코치 : 그러셨군요. 그래서 지금 기분은 어떠세요?

코칭고객 : 씁쓸하고 다시 그 친구 얼굴 보려니까 찝찝하고 뭐라고 해야 할지 막막하네요.

코치 : 그래서 어떻게 되면 좋을까요?

코칭고객 : 제가 제 감정 콘트롤을 잘하면 좋겠어요. 누군가 저를 틀에 가두고 간섭한다고 생각이 들면 저도 모르게 제가 발끈하는 것 같네요.

코치 : 아~ 그러시군요. 감정을 잘 다스리고 소통도 잘하고 싶으신 거네요. 만일 존경하는 어른이 간섭한다면 화가 났을까요?

코칭고객 : 그렇지는 않았겠죠.

코치 : 그러니까 상대에 따라 화가 나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고 그렇게 감정을 선택할 수 있는 분이라는 느낌이 드네요.

코칭고객 : 그런가요?

코치 : 그렇다면 화가 나는 이유가 간섭이라고 받아들였기 때문처럼 들리는데 어떤가요?

코칭고객 : 그런 것 같네요.

코치 : 그렇게 화내는 대상을 구분하고 선택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코칭고객 : 아~! 제 속마음을 들여다보니 제가 그 친구에게 지기 싫은 경쟁심 같은 것이 있었나봐요.

코치 : 아, 예… 지금 그런 마음이 느껴지나 보네요. 그 동료가 만일 순수한 마음으로 고객님을 돕고자 했다면 동료 마음은 어땠을까요?

코칭고객 : 오히려 저에게 상처를 받았겠네요. 코치님 질문을 들어보니 부끄러워지네요. 제가 속이 좁았던 것 같은 생각도 들고요.

코치 : 입장전환도 잘 하시는 분이시네요. 만일 동료가 순수한 마음이 아니었다 해도, 고객님이 순수한 의도로 받아들이면 기분이 어떨까요?

코칭고객 : 일단 제가 기분 좋겠고, 둘 다 기분 망치는 일은 없겠네요. 다른 팀원들에게도 피해를 주지 않을 테고요.

코치 : 그러시군요. 내일 그 동료를 만나면 뭐라고 말씀하시면 서로 기분이 좋겠습니까?

코칭고객 : 일단 제가 오해했다고 사과하고 저에게 도움을 주려고 챙겨주어 고맙다고 하면서 점심을 쏘겠다고 해야겠어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커리어코칭의 기본 질문

아래 그림은 폴 고갱의 ‘우리는 어디서 왔으며. 누구이고. 어디로 가는가?’라는 제목의 작품이다. 이 제목 자체는 우 리에게 큰 울림을 준다. 삶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이기 때문이다.

수업소감 29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고 해서 어떤 특별한 말하기 방법이 있는 줄 알았다. 그러나 그 말하기 방법은 특별한 것이 아닌 먼저 나를 칭찬해주고 사랑해야 된다는 것을 알았다.

셀프코칭1]오늘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인가요?

아침에 깨어 만나는 매일매일의 오늘은 제게 기적과 같은 날입니다. 헬렌 켈러는 ‘사흘만 볼 수 있다면’이라는 수필에서 ‘새벽에 일어나 밤이 낮으로 바뀌는 웅장한 기적을 보고 싶다’고

수업소감 24

마음을 얻는 말하기가 무엇인지 깊게 생각해볼 수 있는 특강이었다. 쉽게 말을 먼저 걸지 못하는 나를 돌아볼 수 있었고, 첫인사와 첫인상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수업에서 배우고

사람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 우리가 사는 환경을 자연 혹은 사회라고도 한다. 자연 세계는 자연의 질서나 원칙에 의해 움직인다. 자연 세계에 대하여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거나, 혹은 “지구가

내가 답이다, 내 안에 답있다

많은 학문이 추구하는 바는 밖에서 구해 안을 채우려 하는데 있습니다. 그 이유는 사람을 결핍한 존재 혹은 결핍한 세상에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쟁을 가르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