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 인생태도로 전환을 돕는 코칭

있는 것을 없다고 하거나 좋을 것을 싫다고 하는 것은 일종의 태도 문제일 수 있습니다. 태도란 어떤 대상을 향한 마음가짐이나 자세를 말합니다. 우리가 세상을 크게 둘로 나눈다면 두뇌안의 세상과 두뇌밖의 세상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자기자신과 세상에 대하여 긍정적 혹은 부정적 성향을 인생태도라고 합니다. 사람이 하는 말을 들어보면 자신과 세상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나는 하는 일마다 제대로 풀리는 게 없네. (자기부정)

-너는 생각이 그 정도밖에 안되는 사람이니? (타인부정)

-내가 어려움에 빠질 때마다 주변에 도와주는 사람들이 있어서 나는 운이 좋은 사람이다(자타긍정)

-그렇게 몸바쳐 열심히 해봐야 누가 알아주는 것도 아니니까 대충하자.(자타부정)

코치는 고객의 인생태도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습니다. 코치입장에서는 코칭고객이 표현하는 말 속에 담긴 인생태도가 OK(긍정) 혹은 부정(Not OK)의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것은 아닌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코칭을 통해 고객이 자타긍정 관점으로 인식이 전환된다면 매우 바람직하다 하겠습니다.

다음은 아르바이트 학생인 코칭고객과 코칭대화를 나눈 사례입니다.

<사례> 감정-생각-행동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사례

코칭고객 : 제가 아르바이트하는 곳의 매니저가 말을 함부로 하는데 기분이 나빠도 참아야 하나요?

코치 : 그 매니저에게 어떤 말을 하고 싶나요?

코칭고객 : 으음, 제가 아직 미숙하더라도 더 잘 할 수 있게 기분 좋게 말해주세요, 라구요.

코치 : 지금 하고 싶은 말을 못하는 심정은 어떠한가?

코칭고객 : 그 분이 무섭기도 하고 내 처지가 서럽기도 해요.

코치 : 어떤 마음으로 그 매니저를 대하나요?

코칭고객 : 마주치면 어떻게 해서든 피하고 싶어져요.

코치 : 그렇게 행동할 때 매니저는 학생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볼까요?

코칭고객 : 소극적이라는 생각을 할 것 같네요.

코치 : 거리를 두거나 피하려 든다면 그 매니저가 맘에 안 들어 하고 더 푸쉬하지는 않을까요?

코칭고객 : 예, 그럴 것 같네요.

코치 : 나름대로 일하면서 애를 쓸 텐데 매니저가 그걸 충분히 아나요?

코칭고객 : 아니요. 못한 것만 지적하는 걸 보면 잘 모르는 것 같아요.

코치 : 그 매니저와 관련하여 어떻게 되기를 원하나요?

코칭고객 : 내가 수고한 것을 알아주기도 하고 소통도 잘 되면서 기분 좋게 일하고 싶어요.

코치 : 그렇게 되면 기분이 어떨 것 같아요?

코칭고객 : 정말 그렇게 되면 좋겠어요. 그러면 출근하면서 발걸음도 가벼울 것 같아요.

코치 : 그렇다면 이제부터 무얼 달리 하면 좋을까요?

코칭고객 : 아무래도 제가 손님들을 싹싹하게 대하면서 일도 빨리빨리 처리하면 좋아할 것 같네요. 그러고 보니 매니저님이 그런 말을 자주했었네요.

코치 : 그렇게 하면 어떤 반응을 보일 것 같나요?

코칭고객 : 어, 좀 달라졌네, 하면서 웃을 것 같아요.

코치 : 얼굴 표정이 밝아졌는데 지금 기분은 어때요?

코칭고객 : 그런가요? 좋은 상상을 해서 그런가 봐요.

코치 : 언제부터 그렇게 되면 좋을까요?

코칭고객 : 내일부터는 달리 해보고 싶네요.

사례에서 보듯이 학생이 매니저를 피하려 하는 모습에서 타인부정의 태도가 보이며, 자신의 감정상태에 기반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코치는 오직 질문을 통해 자신을 되돌아보도록 도움을 주었을 뿐입니다. 학생이 다른 방식으로 매니저를 대하고자 인식이 바뀐 것을 보면 자신에 대한 믿음도 커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20

50분이 넘는 짧지 않는 강의였음에도 대부분이 내가 살아가며 말하고 행동함에 있어 갖추어야 할 태도를 알려 주는 아주 유용한 정보들이었다. 특히 내가 가장 기억에 남았던 구절은

진짜 감정을 알아차리게 돕는 감정코칭

우리는 감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자기 감정을 오래하고 그 감정에 속기도 합니다. 예컨대 미움이 진짜 감정이 아니라는 겁니다. 왜 미운가? 미움이란 것이 어떻게 생겼는지 들여다보면

가장 빈번히 느끼는 감정은?

단연코 감사입니다. 야구는 인생과 같다고 하는 말이 재미 있습니다. 왜냐하면 둘 다 ‘집에서 출발해서 집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제가 저 혼자만의 힘으로 집으로 돌아오거나 밥을

감정이 원하는 것

대부분 사람들은 걱정을 키우며 삽니다. “돈 없으면 어떻게 살지?” 하며 가난하면 살 수 없을 것같이 생각합니다. 애 낳기도 두려워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조건이 충족되어만 행복해진다 생각으로

질문을 통해 피드백을 전하는 코칭

우리는 피드백을 할 때 행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왜냐하면 행동의 변화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상대의 행동에 초점을 두고 변화를 요청하면 상대방은 자칫 간섭이나 통제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판매 현장에서 질문의 힘(1)

좋은 질문은 듣는 사람에게 집중하게 만들고, 생각하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사례가 왜 제게 의미가 있을까요? 저는 ‘설득하지 말고 질문으로 납득시켜라’, 는 교훈을 얻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