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편제의 한과 천년학의 비상 -오정근코치

이청준님의 ‘남도사랑’ 소설 책에는 임권택 감독이 영화로 만들어 유명한 ‘서편제’와 ‘선학동 나그네’가 담겨 있다. 책은 ‘서편제’에서 시작하여 ‘소리의 빛’을 거쳐 ‘선학동’으로 이어진다. 세 개의 단편작품들은 하나의 스토리로 엮인 3부작 연작소설형식이다. 사건이 꼬리를 물고 전개되지만 단편마다 화자가 바뀌면서 사건전개의 시각이 달라 읽는 맛이 아주 색다르다.

남도의 구성진 가락에는 한이 스며있다. 소리를 하려면 주인공의 한(恨) 과 소리하는 사람의 한(恨)이 만나야 한다. 나는 <서편제>를 영화로 먼저 만났었다. 한에 절은 곡절이 ‘서편제’의 감성도구라면, 아비가 제 딸의 눈에 청명수를 일부러 넣어 눈을 멀게 했다는 얘기는 중심기둥이다.

그 대목에선 숨이 멎고 눈물마저 고인다. 하지만 딸 송화의 소리가 무척이나 곱고 슬퍼서 아름답기까지 하다. 딸은 그런 아비를 원망하기 보단 용서하고 받아 들기에 가슴 아픈 서편제가 만들어질 수 있었나 보다. 또한 선학동 사람 역시 죽은 아비와 자식이 한 일에 대해 모른 채하며 용서하는 내용이 ‘선학동’의 대미다.

소리를 얻기 위해 자신의 눈을 멀게 한 애비가 원망스럽지 않느냔 물음에 정작 본인은 그렇지 않다고 했다. 그건 말이 아니었다. 제 아비가 세상을 놓아버렸을 때 소릿재 주막 옆에서 3년간 묘를 지킨 효심을 보게 된다. 또 소릿재를 홀연 떠나면서 제 아비의 유골을 수습하여 다시 선학동으로 돌아와 마을 사람 몰래 묻은 일을 보면 그녀의 용서는 갸륵하다 못해 거룩하기까지 하다.

책은 이렇게 말한다. ‘어떤 사람한테는 사는 것이 한을 쌓는 일이고, 한을 쌓는 것이 사는 것이다. 송화가 제 아비를 용서하지 못했다면 그건 바로 원한이지 소리를 위한 한은 될 수 없었을 거다’라고. 그렇다. 한은 자기 안의 에너지다. 우리의 옛 고유정서는 바로 희생과 양보다. 그게 에너지가 되고 감동을 준다. 남을 배척하고 복수하는 것은 우리 정서와 잘 맞지 않는다.

요즘 젊은이들이 많아 아파한다. 청춘을 어떻게 위로해 주어야 할지 모르겠다. 마음이 오래 아픈 사람은 한이 맺히기 쉽다. 대학등록금, 스펙 쌓기 경쟁, 피할 수 없는 청년실업 등…. 한풀이를 화풀이로 내뿜지 않는 젊은 청춘에게 정말 감사하다. 송화가 자신의 한을 소리로 만들어 일구었듯이, 시대를 용서하고 ‘한’을 ‘해냄’으로 승화시키기 바라는 마음이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인식전환의 단서

“안다,의 반대말이 무엇인가요?” 이렇게 질문하면 대부분 뜸을 들인 후 “모른다, 입니다”고 대답합니다. “모른다는 것은 아는 건가요? 모르는 건가요?” 재차 질문하면 모른다는 걸 아는 거네요” 합니다.

수업소감 40

나는 내성적인 사람이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게 쉽지 않다. 그래서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강의를 듣고 관련 정보를 얻고 싶었다. 오늘 강의를 듣고 많은 것을

살면서 얻은 가장 큰 교훈은?

“죽을 뻔 했네” “오래 사세요” 하는 말은 내가 사는 세상이 좋은 세상임을 증명하는 것이고, 우리는 억지로 사는 것이 아니라, 항상 선택지 중 가장 나은 것을

수업소감 49

대화를 하다보면 공감하기 힘들거나 맞장구 쳐주기 힘든 경우나 처음 만난 사이에 무슨 말을 하야할 지 고민이 되는 순간들이 많았다. 그러나 이 강의를 보고나서 굳이 무슨

코로나와 관련하여

Q. 코로나가 자신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 건 어떤 부분인가요? 온리인으로 강의를 하게 되면서 디지털 스킬이 늘었고, Covid 19 덕분에 미래교육 환경을 미리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놀면 뭐하니> 에 등장한 파워 퀘스쳔

에 고등래퍼 이영지가 초대손님으로 출연하여 올해 스무 살이 되었다고 하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갸할지 지혜를 구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같은 초대손님으로 출연한 장항준 감독이 연극영화과 학생들로부터 진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