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편제의 한과 천년학의 비상 -오정근코치

이청준님의 ‘남도사랑’ 소설 책에는 임권택 감독이 영화로 만들어 유명한 ‘서편제’와 ‘선학동 나그네’가 담겨 있다. 책은 ‘서편제’에서 시작하여 ‘소리의 빛’을 거쳐 ‘선학동’으로 이어진다. 세 개의 단편작품들은 하나의 스토리로 엮인 3부작 연작소설형식이다. 사건이 꼬리를 물고 전개되지만 단편마다 화자가 바뀌면서 사건전개의 시각이 달라 읽는 맛이 아주 색다르다.

남도의 구성진 가락에는 한이 스며있다. 소리를 하려면 주인공의 한(恨) 과 소리하는 사람의 한(恨)이 만나야 한다. 나는 <서편제>를 영화로 먼저 만났었다. 한에 절은 곡절이 ‘서편제’의 감성도구라면, 아비가 제 딸의 눈에 청명수를 일부러 넣어 눈을 멀게 했다는 얘기는 중심기둥이다.

그 대목에선 숨이 멎고 눈물마저 고인다. 하지만 딸 송화의 소리가 무척이나 곱고 슬퍼서 아름답기까지 하다. 딸은 그런 아비를 원망하기 보단 용서하고 받아 들기에 가슴 아픈 서편제가 만들어질 수 있었나 보다. 또한 선학동 사람 역시 죽은 아비와 자식이 한 일에 대해 모른 채하며 용서하는 내용이 ‘선학동’의 대미다.

소리를 얻기 위해 자신의 눈을 멀게 한 애비가 원망스럽지 않느냔 물음에 정작 본인은 그렇지 않다고 했다. 그건 말이 아니었다. 제 아비가 세상을 놓아버렸을 때 소릿재 주막 옆에서 3년간 묘를 지킨 효심을 보게 된다. 또 소릿재를 홀연 떠나면서 제 아비의 유골을 수습하여 다시 선학동으로 돌아와 마을 사람 몰래 묻은 일을 보면 그녀의 용서는 갸륵하다 못해 거룩하기까지 하다.

책은 이렇게 말한다. ‘어떤 사람한테는 사는 것이 한을 쌓는 일이고, 한을 쌓는 것이 사는 것이다. 송화가 제 아비를 용서하지 못했다면 그건 바로 원한이지 소리를 위한 한은 될 수 없었을 거다’라고. 그렇다. 한은 자기 안의 에너지다. 우리의 옛 고유정서는 바로 희생과 양보다. 그게 에너지가 되고 감동을 준다. 남을 배척하고 복수하는 것은 우리 정서와 잘 맞지 않는다.

요즘 젊은이들이 많아 아파한다. 청춘을 어떻게 위로해 주어야 할지 모르겠다. 마음이 오래 아픈 사람은 한이 맺히기 쉽다. 대학등록금, 스펙 쌓기 경쟁, 피할 수 없는 청년실업 등…. 한풀이를 화풀이로 내뿜지 않는 젊은 청춘에게 정말 감사하다. 송화가 자신의 한을 소리로 만들어 일구었듯이, 시대를 용서하고 ‘한’을 ‘해냄’으로 승화시키기 바라는 마음이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다 좋은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

– 다 좋은 세상은 평천하를 이루는 세상이다. 내 감정이 평안해지면 그것이 곧 평천하다. 내가 변하면 세상은 이미 변한 것이다. – 다 좋은 세상은 너와 내가 소중한 세상이다. 하나라도 없으면 우주에

진짜 원하는 것을 찾아내는 코칭

우리가 음식점에 가서 무얼 먹을까 하며 망설이듯이 사실 코칭고객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잘 모를 때가 많습니다. 다루고 싶은 이슈가 있기는 하지만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순임금의 지혜탐구 방법과 코칭

코칭고객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정답을 제공하는 컨설팅과 달리 코칭은 코치의 질문에 의해 코칭고객 스스로 최적의 답을 찾아내어 실천하도록 돕는 지혜를 다루는 대화과정입니다. 학문이라는 뜻은 원래

수업소감 36

가장 처음 예시를 들어주셨던 유럽으로 여행 간 학생의 이야기가 인상 깊었다. 나라면 부모님이 더 이상 갚지 않아도 괜찮다고 하셨다면 감사합니다라고 하고 약속을 저버렸을 것 같았기

수업소감 22

‘표현이 적다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라고 하셨던 말씀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한 친목 모임에서 ‘말수가 적다, 대답이 느리다’ 정도의 말을 들어본 적이

수업소감 9

자신 있게 말하기를 수강하면서, 그리고 이 글말 교실 특강을 들으면서 들었던 생각이 있다. 나는 내가 게으르다는 성격과 함께, 꾸준함 없이 작심삼일을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