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의 독서코칭 -오정근코치

세종 초기에 당시 어전회의 분위기는 오늘날 많은 조직과 크게 다르지 않았나 보다. 세종은 신하들이 좀처럼 입을 열지 않아 속마음 알기도 어려웠고, 누군가 의견을 개진하면 ‘그 말이 옳사옵니다’, 하는 식으로 영향력 있는 사람의 의견에 동조하기 일쑤이고 소신껏 말하기 보다는 눈치를 보는 일이 많았다. 세종은 참여적인 분위기로 심도있게 토론하여 국정을 이끌어가고자 했으나 회의는 그렇지 못했다.

세종은 이런 분위기를 개선하여 토론을 활발하게 만들기 위해 시도한 것이 바로 경연회의였다. 왕과 신하들이 한자리 모여 고전을 읽으면서 함께 나랏 일을 토론하는 방식이었다. 회의에서 고전을 읽도록 한 이유는 책을 소재로 말문을 열기가 비교적 편했기 때문이었다. 이른바 제 3자적 관점에서 신하들이 이야기하기가 편했고, 그런 분위기에 편승하여 자연스레 국정에 관한 문제점이나 의견을 개진하기 쉽다고 보았다. 국정을 맡은 재상들도 함께 참석했기 때문에 경연회의가 단순한 독서 토론으로만 끝나지 않고, 정책에 관한 사안까지 자연스레 주제가 되어 토론이 깊어질 수 있었다.

세종이 경연에서 채택한 첫 번째 교재는 <대학 연의> 였다. 4서3경과 같은 경서를 택하지 않은 이유는 이론을 다룬 책을 교재로 사용하면 맞고 틀리고의 논쟁으로 흐를까 염려했기 때문이다. <대학연의>는 역사 즉 스토리를 다룬 책이어서 이른바 케이스 스터디하기가 용이했다.

세종이 경연 회의를 이끌어 간 예를 살펴보면 바로 독서코칭의 방식이라 하겠다. 첫 경연에서 세종은 책을 읽으면서 다음과 같이 질문했다. “과거제도는 참다운 인재를 얻고자 함인데, 선비들이 들뜨고 화려한 것만 좋아하는 버릇이 있다. 어떻게 이런 것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을까?” 이렇게 발제된 질문을 하나의 토론 주제로 삼아 이야기를 나누고 결국 ‘과거시험이 종래의 암기식에서 벗어나, 특히 종장에서 대책을 서술하도록 논술식을 강화하자’는 아이디어를 얻게 된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인식전환의 단서

“안다,의 반대말이 무엇인가요?” 이렇게 질문하면 대부분 뜸을 들인 후 “모른다, 입니다”고 대답합니다. “모른다는 것은 아는 건가요? 모르는 건가요?” 재차 질문하면 모른다는 걸 아는 거네요” 합니다.

수업소감 46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라는 수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교수님께서 자신의 단점, 즉 약점은 다른 관점에서 보면 자신의 강점일 수도 있다고 하신 점이 굉장히 인상깊다.

성의가 잘 드러나도록 돕는 코칭

아마 격물치지라는 말과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대학」 책에는 ‘격물 치지’ 와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라는 단어 사이에 ‘성의’와 ‘정심’이란 단어가 위치합니다. 이 8가지를 합하여

수업소감 3

이번 특강은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에서 배웠던 것의 연장선이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특강 주제가 ‘마음을 얻는 말하기’인 만큼 특강의 모든 부분에서 많은 공감을

코치로서 가치와 소명은 무엇?

코칭은 앎을 다룹니다. 코치다운 코치로서 앎이 소중하기에 배움을 귀하게 여깁니다. 저도 그렇지만 누구나 더 잘 알면 더 잘 할 수 있습니다. ‘앎을 사랑’하기에 ‘배워서 남

가정(If)질문을 활용한 인식전환

​ 리더십코칭이나 라이프 코칭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주제는 대인관계에 관한 것입니다. 마음이 안 통하거나 소통이 잘 안되다는 것인데, 사실과 사실 아닌 것을 구별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