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미나리>를 통한 깨달음

미나리는 아무 데서나 잘 자란다. 미나리는 김치를 해 먹어도 좋고 찌개에 넣어 먹어도 되고 국에 넣어 먹어도 좋다. 미나리라는 영화는 70~ 80년대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 젊은 부부의 생활상을 보여준다.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고 이민을 가지만 결코 녹녹치 않다.

영화 첫 장면에는 이칸소 의 삭막한 농장으로 장착하러 이사하는 젊은 부부의 모습으로 시작한다. 이 부부에게도 갈등이 있다. 아내는 도시 생활을 원하지만 남편은 꿈을 실현시키고자 한다. 기껏 병아리 똥구멍을 들여다보는 감별사로 평생을 살고 싶지는 않다는 것이다. 자기 손으로 직접 농장을 일구어 성공을 자식들에게 보여주고 싶다고 한다. 그 성공이 누굴 위한 것이냐고 아내는 따져 묻는다.

부부에게는 심장이 약해 늘 걱정스런 아들이 있다. 정기검진을 하러 간 날, 부부는 의사면담을 기다리다가 대화를 한다. 결혼을 약속하면서, 어려울 때 서로 힘이 되고 구해주자고 했지만 그 때까지 살아온 걸 보면 그렇지 못했다고 회상한다. 아내에게 아이들과 도시에서 살라고 하면서 자신은 농장에서 지내겠노라고 하며 따로 살자고 제안한다. 아내는 서로가 어려움에서 구해줄 주체가 되질 못하고 결국 돈이 자신들을 구해주는 거냐며 또 다시 따저 묻는다. 병원에서 돌아오는 날 남편은 농장 수확물 납품계약도 성사시켜 기쁘지만 이런 말씨름으로 머리가 복잡하다.

손주를 돌봐줄 겸 딸의 이민 생활을 돕기 위해 아칸소로 왔다가 뜻하지 않게 반신불수가 된 친정어머니가 하필 그 날 농장에 쓰레기를 소각하다가 농산물을 쌓아둔 창고에 큰 불을 낸다. 예상치 못한 역경이 닥치자 불길 속에서 수확물을 창고 밖으로 꺼내는 일에 아내도 목숨을 걸며 혼신의 힘을 다한다. 남편은 그런 아내를 불길에서 꺼낸다. 결국 서로를 구해준 것은 돈이 아니라 역경이자 시련이었다. 아마 감독을 그걸 깨달으라는 메시지를 주는 것 같다. 시련이야말로 서로를 이해하고 도와주는 진정한 삶의 버팀목이라는 설명은 없지만 그런 생각이 든다.

마지막 장면은 너무 조용하다. 그나마 알량하던 것들을 모두 잿더미로 만든 장모님이나 상황을 탓하지 않는다. 아들을 데리고 개울가로 간 애 아빠는 미나리밭을 바라보며 아들에게 미나리는 돌봐주지도 않아도 제가 알아서 잘 큰다며 말해준다. 남편은 미나리를 수확하며 아이 외할머니가 미나리밭 터를 잘 잡았다며 혼잣말을 한다.

성찰질문

1) 당신에게 미나리는 어떤 은유로 다가오나?

2) 당신의 어떤 모습을 보면 미나리 같다고 말 할 수 있나?

3) 주변에 미나리 같이 자기 스스로 잘 헤쳐나가는 사람이 있다면 누구인가?

그 사람으로부터 무엇을 배우고 싶은가?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존재를 알아주는 동기부여 코칭

코칭이나 티칭이나 리더십이나 공통적인 것은 사람을 살리는 일입니다. 사람의 기운을 살아나게 하는 것을 흔히 동기부여라고 합니다. 사람을 살리는 마음을 한자로 생물지심(生物之心)이라고 합니다. 이 말은 인(仁)

수업소감 7

사람들에게 마음을 얻는 말하기는 정말 어려운 것인 것 같다. 하나부터 열까지 쉽지 않다. 사람들에게 호감을 얻으려면 말을 할 때 눈을 맞추거나 끄덕여주거나 공감을 해주는 등

좋은 피드백과 더 좋은 피드 포워드 코칭

성과평가를 마치고 나면 성과면담코칭을 반드시 하도록 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종의 피드백을 하라는 취지입니다만 저항이 만만치 않습니다. 고과에 대해 만족해 할 사람은 최고 고과를 받은

수업소감 11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를 수강하여 글말교실 글말특강 중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를 듣게 되었습니다. 저는 다른 사람들을 만날 때 먼저 표현하고 약속을 잡는 편입니다.

사람은 연결을 통해 성장한다

커리어 코칭은 스토리를 발굴하고 가공하여 말이나 글로 준비하는 과정이다. 하나의 샘플로서 나의 커리어 스토리를 소개한다. 나의 커리 어를 돌아보면, 감사가 가득하다. 나는 대기업에 입사하여 인사와

집기양단으로 코칭주제 전환(2)

이상은 양단(양쪽 끝)을 잡아서 이야기한 사례입니다. 수업 중 대놓고 조는 학생을 형편없는 학생으로 보는 것은 왜곡된 시각일 수 있습니다. 대놓고 졸았다고 판단하는 것은 나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