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미나리>를 통한 깨달음

미나리는 아무 데서나 잘 자란다. 미나리는 김치를 해 먹어도 좋고 찌개에 넣어 먹어도 되고 국에 넣어 먹어도 좋다. 미나리라는 영화는 70~ 80년대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 젊은 부부의 생활상을 보여준다.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고 이민을 가지만 결코 녹녹치 않다.

영화 첫 장면에는 이칸소 의 삭막한 농장으로 장착하러 이사하는 젊은 부부의 모습으로 시작한다. 이 부부에게도 갈등이 있다. 아내는 도시 생활을 원하지만 남편은 꿈을 실현시키고자 한다. 기껏 병아리 똥구멍을 들여다보는 감별사로 평생을 살고 싶지는 않다는 것이다. 자기 손으로 직접 농장을 일구어 성공을 자식들에게 보여주고 싶다고 한다. 그 성공이 누굴 위한 것이냐고 아내는 따져 묻는다.

부부에게는 심장이 약해 늘 걱정스런 아들이 있다. 정기검진을 하러 간 날, 부부는 의사면담을 기다리다가 대화를 한다. 결혼을 약속하면서, 어려울 때 서로 힘이 되고 구해주자고 했지만 그 때까지 살아온 걸 보면 그렇지 못했다고 회상한다. 아내에게 아이들과 도시에서 살라고 하면서 자신은 농장에서 지내겠노라고 하며 따로 살자고 제안한다. 아내는 서로가 어려움에서 구해줄 주체가 되질 못하고 결국 돈이 자신들을 구해주는 거냐며 또 다시 따저 묻는다. 병원에서 돌아오는 날 남편은 농장 수확물 납품계약도 성사시켜 기쁘지만 이런 말씨름으로 머리가 복잡하다.

손주를 돌봐줄 겸 딸의 이민 생활을 돕기 위해 아칸소로 왔다가 뜻하지 않게 반신불수가 된 친정어머니가 하필 그 날 농장에 쓰레기를 소각하다가 농산물을 쌓아둔 창고에 큰 불을 낸다. 예상치 못한 역경이 닥치자 불길 속에서 수확물을 창고 밖으로 꺼내는 일에 아내도 목숨을 걸며 혼신의 힘을 다한다. 남편은 그런 아내를 불길에서 꺼낸다. 결국 서로를 구해준 것은 돈이 아니라 역경이자 시련이었다. 아마 감독을 그걸 깨달으라는 메시지를 주는 것 같다. 시련이야말로 서로를 이해하고 도와주는 진정한 삶의 버팀목이라는 설명은 없지만 그런 생각이 든다.

마지막 장면은 너무 조용하다. 그나마 알량하던 것들을 모두 잿더미로 만든 장모님이나 상황을 탓하지 않는다. 아들을 데리고 개울가로 간 애 아빠는 미나리밭을 바라보며 아들에게 미나리는 돌봐주지도 않아도 제가 알아서 잘 큰다며 말해준다. 남편은 미나리를 수확하며 아이 외할머니가 미나리밭 터를 잘 잡았다며 혼잣말을 한다.

성찰질문

1) 당신에게 미나리는 어떤 은유로 다가오나?

2) 당신의 어떤 모습을 보면 미나리 같다고 말 할 수 있나?

3) 주변에 미나리 같이 자기 스스로 잘 헤쳐나가는 사람이 있다면 누구인가?

그 사람으로부터 무엇을 배우고 싶은가?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동적인 공부에서 벗어나 AI를 직접 체험해보자!

안녕하세요. 저는 오정근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수동적인 공부만으로만 한계에 부딪혀왔다면, 오늘은 AI를 직접 체험해보는 새로운 경험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AI는 우리 생활의 여러 분야에서 점점 더

판매현장에서 질문의 힘(2)

경우의 수를 구분하여 질문함으로써 상대방이 자기생각을 점검하도록 하는 질문법도 좋겠습니다. == 엄마와 딸이 휴대폰 매장에 방문하여 딸이 최신형 휴대폰을 만지작거립니다. 판매사원이 딸에게 묻습니다. “이걸로 하시겠습니까?”

완전한 존재로 인식하는 코칭

# “코치님, 저는 문제가 많은 사람인가 봐요?” “무슨 말씀이세요?” “구성원이 시키는 대로 하지 않으면 화가 나고 화 내고 나면 후회스러우면서도 이런 일이 반복되니 감정 조절하지

수업소감 32

자신있게 말하기 첫 수업시간에도 중요하게 생각했던 what why how의 논리구조에 다시 한번 복기할 수 있었고, 메타인지의 중요성 또한 다시 느낄 수 있었습니다. 내가 한 말에

『오정근의 커리어 코칭』 출판사 리뷰

■ 출판사 리뷰 저자의 커리어 코칭 강의 이론, 실제 커리어 코칭 경험으로 집대성한, 커리어 코칭 바이블! 코칭이 대세다. 코칭은 티칭, 컨설팅, 멘토링과 다르다. 코치는 참가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