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미나리>를 통한 깨달음

미나리는 아무 데서나 잘 자란다. 미나리는 김치를 해 먹어도 좋고 찌개에 넣어 먹어도 되고 국에 넣어 먹어도 좋다. 미나리라는 영화는 70~ 80년대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 젊은 부부의 생활상을 보여준다.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고 이민을 가지만 결코 녹녹치 않다.

영화 첫 장면에는 이칸소 의 삭막한 농장으로 장착하러 이사하는 젊은 부부의 모습으로 시작한다. 이 부부에게도 갈등이 있다. 아내는 도시 생활을 원하지만 남편은 꿈을 실현시키고자 한다. 기껏 병아리 똥구멍을 들여다보는 감별사로 평생을 살고 싶지는 않다는 것이다. 자기 손으로 직접 농장을 일구어 성공을 자식들에게 보여주고 싶다고 한다. 그 성공이 누굴 위한 것이냐고 아내는 따져 묻는다.

부부에게는 심장이 약해 늘 걱정스런 아들이 있다. 정기검진을 하러 간 날, 부부는 의사면담을 기다리다가 대화를 한다. 결혼을 약속하면서, 어려울 때 서로 힘이 되고 구해주자고 했지만 그 때까지 살아온 걸 보면 그렇지 못했다고 회상한다. 아내에게 아이들과 도시에서 살라고 하면서 자신은 농장에서 지내겠노라고 하며 따로 살자고 제안한다. 아내는 서로가 어려움에서 구해줄 주체가 되질 못하고 결국 돈이 자신들을 구해주는 거냐며 또 다시 따저 묻는다. 병원에서 돌아오는 날 남편은 농장 수확물 납품계약도 성사시켜 기쁘지만 이런 말씨름으로 머리가 복잡하다.

손주를 돌봐줄 겸 딸의 이민 생활을 돕기 위해 아칸소로 왔다가 뜻하지 않게 반신불수가 된 친정어머니가 하필 그 날 농장에 쓰레기를 소각하다가 농산물을 쌓아둔 창고에 큰 불을 낸다. 예상치 못한 역경이 닥치자 불길 속에서 수확물을 창고 밖으로 꺼내는 일에 아내도 목숨을 걸며 혼신의 힘을 다한다. 남편은 그런 아내를 불길에서 꺼낸다. 결국 서로를 구해준 것은 돈이 아니라 역경이자 시련이었다. 아마 감독을 그걸 깨달으라는 메시지를 주는 것 같다. 시련이야말로 서로를 이해하고 도와주는 진정한 삶의 버팀목이라는 설명은 없지만 그런 생각이 든다.

마지막 장면은 너무 조용하다. 그나마 알량하던 것들을 모두 잿더미로 만든 장모님이나 상황을 탓하지 않는다. 아들을 데리고 개울가로 간 애 아빠는 미나리밭을 바라보며 아들에게 미나리는 돌봐주지도 않아도 제가 알아서 잘 큰다며 말해준다. 남편은 미나리를 수확하며 아이 외할머니가 미나리밭 터를 잘 잡았다며 혼잣말을 한다.

성찰질문

1) 당신에게 미나리는 어떤 은유로 다가오나?

2) 당신의 어떤 모습을 보면 미나리 같다고 말 할 수 있나?

3) 주변에 미나리 같이 자기 스스로 잘 헤쳐나가는 사람이 있다면 누구인가?

그 사람으로부터 무엇을 배우고 싶은가?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인식오류를 바로잡는 코칭

​ 피터 드러커는 라는 책에서 ‘우리 사회가 어떻게 지식사회와 지식경제로 이동하게 되었는가?’ 하고 질문합니다. 그리고는 사람들이 “일이 더 복잡 고도화되기 때문이다,”고 하는 답을 듣고는 틀린

수업소감 27

상대방에게 호의적인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 방식에 대해 알게 되었다. 대면으로 바뀌며 새로운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되었는데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 어색했던 경험이

직관의 힘을 믿는 코치

처음 코칭을 배울 때 실습과정에서 실수할 까봐 주저하던 모습을 보고 당시 고참 코치들은 “자신의 직관을 믿으세요!” 라는 말을 여러 번 해주었습니다. ‘상황에 맞는 질문을 할

수업소감 41

누군가와 신뢰를 얻기 위해선 어떤 말하기 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게 되었다. 서로 접촉하는 두 개의 물체가 마찰을 만들어내는 것이 자연법칙이듯이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마찰은 당연하다라는 부분이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짧은 시간에 코칭고객의 인식 변화를 돕는 게 핵심입니다. 인식전환은 세가지 관점에서 접근하면 수월합니다. 철학에서 다루는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 이 세가지 관점에서 고객이 어떻게 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