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마음 속에는 무엇이 있나?

맹자는 마음의 움직임을 보면 자기 안의 네 가지 덕이 원래부터 있음을 알게 된다고 하였습니다. 인, 의, 예, 지 네 가지 덕은 마치 자기 몸에 4 지체가 있는 것과 같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자기 안에 4가지 덕(미덕, 명덕)이 있음을 알고 확대하여 충족시킬 줄 알면 천하를 보존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맹자는 우물에 빠지는 아이(유자입정, 孺子入井)의 예로써 이것을 설명합니다. 사람들에게는 참을 수 없는 마음을 지니고 있다고 하면서 그 까닭은 문득 어떤 어린아이가 우물 속으로 빠져 들어가려 하는 것을 보는 사람들은 누구나 깜짝 놀라지 않을 수 없고 그걸 바라보자마자 측은한 생각으로 아이를 구하려 한다고 하였습니다. 이것은 그 어린아이의 부모와 친하게 지내고 싶어하는 까닭도 아니며 마을 사람들이나 친구들로부터 칭찬을 들으려 하는 것도 아니며 나쁜 소문이 날까 봐 그것을 싫어해서 마지 못해 아이를 구하려 하는 것도 아니라고 했습니다.

이렇게 즉각 반응하는 것을 보면 측은하게 생각하는 마음(측은지심), 싫다고 하는 것을 부끄러워하는 마음(수오지심), 양보하면서도 만족해 하는 마음(사양지심), 아닌 것을 바로잡고자 하는 마음(시비지심)이 없을 수 없다며 이 4가지 마음을 누구나 지니고 있음을 알려주었습니다. 측은한 마음이 생기는 것을 통해 자기 본성에 ‘인’이 있음을 아는 단서인 것처럼 나머지 마음도 본래의 본성이 어떠한지 알게 하는 단서라 하였습니다.

톨스토이의 소설인 <사람들은 무엇으로 사는가?>에 보면 주인공이 아내로부터 핀잔을 듣는 장면이 나업니다. 집안 살림도 궁핍하기 짝이 없는데, 외출한 남편이 어디서 헐벗은 남자를 데리고 와서 저녁밥을 달라고 하니 아내는 화가 머리끝까지 난 것입니다. 그리고 그 손님은 안중에도 없이 남편에게 온갖 바가지를 긁습니다.

잠시 후 남편이 아내에게 조용히 “당신 안에는 하느님이 살아 계시지 않소?” 하고 묻자, 아내는 이내 순해지면서 밥을 차리기 시작합니다. 저는 이 대목에서 강한 인상을 받았습니다. 질문 하나가 인식전환을 도운 것입니다.

코칭을 전개하면서 코칭고객의 인식을 전환한다는 의미는 코치는 옳고 코칭고객은 틀렸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코칭고객이 잘 못 보거나 혹은 잘못 인식하고 있는 영역을 찾아내어 거울로 비춰주듯이 자기탐색을 돕는 것입니다. 저도 코치자격시험을 준비하면서 코칭고객의 인식전환을 돕는 부분이 쉽지 않았습니다. 많은 코치들이 이 부분에 대해 가장 어려워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즉 인식전환 부분을 잘 다루면 실력이 부쩍 늘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코칭고객도 아하! 하는 느낌을 통해 만족감이 늘어나기도 합니다. 따라서 코치가 코칭고객의 어떤 말이나 시각에 주목하여 코칭접근을 하느냐 하는 것은 특히 초보 코치에게 관건이라 하겠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칭의 효과

공부의 효과나 코칭의 효과는 같다. 공부하면 무엇이 달라질까? 유학의 고전인 은 공부의 효과를 파악하는 3가지를 소개했다. 바로 “밝아졌나?” “새로워졌나?” “좋은 상태에 머무 나?”다. 코칭을 마치고

에너지 저장소에 모인 아이들.

 “여기에 저에 대해 좋은 말을 써 주세요.”명찰을 보니 혁이었다. 청소년 비전캠프에 도착하자마자 키가 제법 큰 중학생이 불쑥 꺼낸 말이었다. 갑작스런 요청에 살짝 당황했으나 아이의 요구가

수업소감 5

다시 한 번 지난 수업들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영상이기에 유익하였다. 마음을 얻는 말하기를 해야 하는 이유에 인간은 사회적이기 때문이라는 말에 매우 공감하였고 내가 느끼기에도

수업소감 28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으로서 이전부터 항상 해오던 고민이 있다. 바로 어떻게 하면 상대방이 공감을 하면서 내 마음을 상대방에게 온전히 전달하여 상대방의

수업소감 16

나는 말을 많이 하지 않는 내 성격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고 어떻게 고쳐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다. 이번 특강을 듣고 나서 꼭 그렇게 여기지 않아도 되겠다고

수업소감 3

이번 특강은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에서 배웠던 것의 연장선이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특강 주제가 ‘마음을 얻는 말하기’인 만큼 특강의 모든 부분에서 많은 공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