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다,의 반대말이 무엇인가요?” 이렇게 질문하면 대부분 뜸을 들인 후 “모른다, 입니다”고 대답합니다. “모른다는 것은 아는 건가요? 모르는 건가요?” 재차 질문하면 모른다는 걸 아는 거네요” 합니다. 그렇습니다. 모른다고 하는 것은 이미 모른다는 것을 안다는 뜻입니다. 그러니까 안다는 것은 안다는 것을 알거나 모른다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논어』 위정편을 보면 공자가 이런 말을 합니다.

“유(由)야! 안다고 하는 것이 무엇인지 가르쳐 주마. 알면 안다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아는 것이다. ”

코칭은 앎을 다룹니다. 코칭을 해보면 문제가 되는 상황은 ‘잘못 알면서 바로 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코칭고객이 힘들어 하는

이유는 대체로 잘못 알고 있는 것을 자기가 제대로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인식의 오류에서 비롯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제가 겪어봐서 아는데, 그 사람은 능력도 안되고 더 이상 구제불능이거든요” 라든가

“제가 많이 기회도 주어 왔는데 그 사람은 적응도 못하고 사회성도 떨어지고 아마 열등감 때문에 그런 것 같아요.”

대체적으로 현상으로 보면 그런 말들이 맞을지 몰라도, 사람의 가능성 대신 한계를 단정해버린다면 우리는 육성이나 코칭에서 어떤 희망도 갖기 어렵습니다. 만일 리더가 바라본 그 사람이 가능성이 없다면, 리더십도 성공할 가능성이 없는 것입니다. 자녀교육도 마찬가지입니다.

코칭장면에서 극적인 변화를 많이 경험했었기에 자신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면 성공하지 못한 방법을 배운 것입니다. 성공 기회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사례> 부지(不知)를 챙겨 인식이 전환된 사례

코칭고객 : “예약이 밀리니까 당일 예약을 받지 못하는 것인데, 적어도 하루 전에 예약을 해야지, 당일 예약을 안 받아준다고 문자로 거친 표현을 하니 속상하네요.”

코치 : “그러시겠네요. 손님에게 정성껏 대하는 입장에서 그런 말을 들으면 많이 서운하셨겠어요. 손님이 많은 걸 보니 쉴 틈도 없어 보이네요. “

코칭고객 : “그런 한 마디에 기분이 상해서 오늘 아침부터 일할 의욕이 떨어지네요.”

코치 : “말 한 마디가 힘이 될 텐데, 손님의 말씨에 신경 쓰일 때가 많겠습니다.”

코칭고객 : “맞아요. 왜 저렇게 밖에 말을 못하나 싶을 때가 있어요.”

코치 : “그렇죠? 말을 할 줄 아는 분이니까 더 잘 느끼겠네요. 그런데 상대가 잘 모르고 실수한 말에 대해서는 평소 너그러우신 편 아닌가요?”

코칭고객 : “그렇긴 한데 무슨 말씀이죠?”

코치 : “오늘 고객이 내 입장을 잘 모르고 한 말일 수 있는데, 너무 민감해하고 불편해한다면 자기자신만 억울하지 않을까요?”

코칭고객 : “그거 말이 되네요. 내 상황을 알고 한 말이 아닐 수 있네요. 그 사람은 그저 자기 입장에서 말을 한 것뿐일 텐데, 내가 공연히 신경이 곤두서서 기분 나빠 하고 있는 거네요.”

코치 : “갑자기 드는 생각이 있는데 나눠도 될까요?”

코칭고객 : “예”

코치 : “문제 아닌 걸 문제 삼으면 문제가 되고, 문제를 문제삼지 않으면 문제가 안되겠죠?”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치다움과 코칭다움

나는 코치다운가? 이런 질문을 해보며 두 가지 상황을 생각해보게 됩니다. 하나는 코치라는 모자를 썼을 때이고, 다른 하나는 그렇지 않을 때입니다. 코칭을 하러 기업에 가면 사람들이

에너지 저장소에 모인 아이들.

 “여기에 저에 대해 좋은 말을 써 주세요.”명찰을 보니 혁이었다. 청소년 비전캠프에 도착하자마자 키가 제법 큰 중학생이 불쑥 꺼낸 말이었다. 갑작스런 요청에 살짝 당황했으나 아이의 요구가

생의 마지막 날에 무슨 말을 남길 것인가?

가족에게는 “부족하여 미안하고, 참아주어 고맙다.”는 말을 할 것 같고, ​ “나는 육체의 옷을 벗게 되어 홀가분하다. 이제 영혼을 가꿀 수 있게 되어 너무 좋다. ​

커리어코칭의 기본 질문

아래 그림은 폴 고갱의 ‘우리는 어디서 왔으며. 누구이고. 어디로 가는가?’라는 제목의 작품이다. 이 제목 자체는 우 리에게 큰 울림을 준다. 삶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이기 때문이다.

호문호찰과 공감적 경청

​ 『논어』의 가장 마지막 구절이 부지언(不知言)으로 끝을 맺는데, ‘사람의 말을 못 알아들으면 사람을 안다고 할 수 없다’고 했다. 이처럼 말(言)을 알아야 그 사람에 대해 바로

수업소감 13

‘겉만 보지 말고 속을 보자’라는 문구가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상대방과 대화를 할 때 내가 불편하다고 생각했던 부분을 선하게 되돌아보는 것이 중요한 일임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교수님이 예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