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답이다, 내 안에 답있다

많은 학문이 추구하는 바는 밖에서 구해 안을 채우려 하는데 있습니다. 그 이유는 사람을 결핍한 존재 혹은 결핍한 세상에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쟁을 가르칩니다. 반면에 스스로를 완전자임을 깨닫도록 돕는 학문은 베푸는 사람으로 혹은 사랑을 주며 살아가도록 돕습니다. 하지만 자신이 왠지 부족해 보이고 불완전하다고 생각들기도 할 겁니다. 만일 그런 생각이 든다면 그것이 바로 완전의 증거입니다. 완전자이기에 더 알고 더 채우고 싶어하는 것이 아닐까요?

학문이란 자신에게 문제가 있을 때, 또는 막다른 골목에 몰려 있을 때 알아보며 물어보는 과정입니다. 학(學)이란 글자는 알아본다는 뜻이며 문(問)은 묻는다는 뜻입니다. “내가 왜 이러고 있지? 왜 이렇게 안 풀리지? 왜 기분이 안 좋지? 어떻게 하면 좋지?” 이런 답을 밖에서만 찾을 것인지 아니면 내 안에서 나를 돌아보고 찾을 일인지 자기가 결정할 문제입니다. 혹은 어떤 일의 실패를 나 전체의 실패로 간주할 것인지, 잘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답은 내 안에 있습니다.

<인식 전환 사례>

코칭고객 : 왜 이렇게 일이 안 풀리는지 모르겠습니다.

코치 : 의도대로 풀리지 않아 답답하신가 보네요.

코칭고객 : 이 일을 더 한다는 것이 아무래도 한계이고 무리인가 보네요.

코치 : 뭔가 부족함을 느끼시나 보네요. 전에 일이 잘 풀릴 때와는 무엇이 다른가요?

코칭고객 : 글쎄요. 환경이 달라진 것 같네요.

코치 : 그때는 어려운 환경이 아니었나요?

코칭고객 : 그건 아니죠. 이 일을 시작할 때도 쉽지는 않았습니다.

코치 : 그동안 많은 경험이 쌓였을 텐데 그렇다면 어떤 능력이 줄어들었나요?

코칭고객 : 생각해보니 그것도 아니네요. 하는 만큼 실적이 안 나오니 위축감이 들었나보네요.

코치 : 한계이고 무리라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는 말씀이군요. 이것을 시련이라고 할 때 이런 시련은 사장님만 겪는 것일까요?

코칭고객 : 누구나 겪는 일입니다.

코치 : 그렇다면 자신이 부족하다는 생각이나 위축감은 어떤 긍정적 신호일까요?

코칭고객 : 그렇네요. 부진의 원인을 돌아보고 새롭게 시도하라는 신호겠네요.

코치 : 아~ 그렇게 볼 수 있네요. 혹시 가지고 있는 강점 가운데 아직 덜 사용하고 있는 강점을 꼽는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코칭고객 : 음… 끈기와 추진력이네요. 한 번 마음 먹으면 물고 늘어지는 성격인데, 그 질문을 들으니 제가 반성이 되네요.

그동안 너무 안일했고, 나태했다는 생각이 밀려옵니다.

코치 : 말씀하시면서 이를 꽉 깨무시던데, 어떤 마음이신지 여쭤봐도 될까요?

코칭고객 : 다시 시작하려구요. 부진한 데는 그럴 이유가 있었던 것인데, 그에 앞서 제 정신력이 무너져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저를 다시 찾게 되어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23

사람들 사이에서의 갈등을 손뼉의 마찰로 비유한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저도 사람들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그런 경우가 있을 때 먼저 제 마음을 여는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2)

두 번쩨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감사는 당연했던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저는 그동안 제 힘으로 사는 줄 알았습니다. 세상 돌아가는 모든 것을 당연하게 생각해왔지

한계를 돌파하도록 돕는 코칭

어느 날 염구라는 제자가 공자에게 “선생님의 가르침이 싫어서가 아니라 제가 실행하기에 역부족(力不足)인가 봅니다”라고 합니다. 이 말을 듣자 공자가 한 마디 합니다. “힘이 부족한 사람은 해보다가

수업소감 16

나는 말을 많이 하지 않는 내 성격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고 어떻게 고쳐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다. 이번 특강을 듣고 나서 꼭 그렇게 여기지 않아도 되겠다고

세종의 독서코칭 -오정근코치

​ 세종 초기에 당시 어전회의 분위기는 오늘날 많은 조직과 크게 다르지 않았나 보다. 세종은 신하들이 좀처럼 입을 열지 않아 속마음 알기도 어려웠고, 누군가 의견을 개진하면

수업소감 25

일단 기본적으로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들으면서 알게 되었던 말하기 방법 혹은 글쓰는 방법에 대해서 한 번 더 확실하게 정리를 해주는 강의였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