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바로 자각과 자기성찰을 돕는 과정입니다. 그 결과 고객이 자기인식의 전환을 맛보게 되면 내심 변화하고자 하는 의욕을 갖게 됩니다. 코칭과정에서 고객이 이런 전환을 느껴야 스스로 코칭이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인식전환이 그만큼 중요하기에 어떻게 하면 인식전환을 잘 도울까 고민하다가 찾아낸 것이 단서를 활용한 코칭이었습니다.

단서는 이른바 실마리입니다. 실마리는 고객이 하는 말 속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예컨대 고객이 무언가 싫다고 말하면 그것의 좋은 점은 무엇인가요? 로 묻는다거나, 자신감이 없다고 말하면 자신의 강점과 성취의 경험을 찾아주는 식입니다.

이런 것을 생각하게 된 계기는 「중용(中庸」이란 고전을 읽으며 크게 지혜롭다는 순임금이 사용하던 방식을 알고 나서였습니다. 순임금은 집기양단(執其兩端 )이라 하여 양끝을 다 잡았다고 합니다. 일단 소개하고 싶은 사례는 말끝(단端)을 잡아 코칭을 했던 경험이 떠오릅니다.

어느 대학생을 코칭할 때였습니다. 자기 전공이 자기 적성에 맞지 않아 고민을 하던 차에 만났습니다. 유명대학에 진학했다가 전공학과에 회의를 느껴 재수를 하여 국립대에 입학했지만 또다시 마음에 들지 않아 다른 학과수업에 청강을 하러 다니면서 코칭을 받게 된 사례였습니다. 그 학생은 자기 소개 글에 자기는 도피하는 삶을 살아왔다고 여러 가지 사례를 소개하면서 몇 차례 ‘도피’란 글자를 적어 놓았다. 반복된 단어여서 눈에 잘 띄였습니다. 처음 만나 인사를 나눈 후 대화를 이어갔습니다.

#

코치 : “학생은 도피하는 삶을 산 게 아니라 도전하는 삶을 산 것 아니에요?”

흠칫 놀라는 표정이었지만 싫지는 않은 표정이었습니다.

학생 : “유명 대학에 도전했었고, 또 국립대에 입학을 도전했잖아요. 지금도 청강하러 다니는 것도 도전하는 것 아닌가요? 내가 볼 때 가만히 안주하는 사람이 아닌 것 같은데 어때요?”

입가에 미소가 번지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학생 : “그렇게 말씀해주시니까 그런 것 같네요.”

대답하는 목소리에 힘이 들어갔고 마주치는 눈 빛에서 기운이 살아 움직이는 듯했다. 이어서 말을 건넸다.

코치 : “도전하는 삶을 살아왔고 게다가 성취도 잘하는 사람인 것 같은데 자기는 자신을 어떻게 생각해요?”

하고 묻자

학생 : “저는 여태 도피해왔다고 생각했는데 말씀을 듣고 보니 노력도 했고 그런대로 잘 해온 것 같아요.”

코치 : “방향성만 맞으면 그런 도전정신과 성취경험으로 뭐든 더 잘 해나갈 사람이란 생각이 드는데 어때요?”

학생은 맞장구와 함께 한층 단단해진 목소리로 자기가 정말 좋아하는 것이 뭔지를 소개하면서 하고 싶은 것을 시도해보겠다는 의욕을 드러냅니다.

진로코칭을 할 때에는 특히 자신감 회복이 기반이 되어야 하므로 자신에 대한 존재인식을 제대로 하면서 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고객이 자신의 강점이나 미덕 등 못 보던 것을 코치가 거울에 비춰주어 주듯이 자기성찰(reflection)을 하도록 돕는 것이 코칭을 풀어가는 단초(端初)라 하겠습니다.

성찰질문)

– 내가 나를 못 보기에 거울을 봅니다. 나를 거울에 비춰줄 깨끗한 거울과 같은 사람은 누구인가요?

– 자신의 강점을 알기란 쉽지 않습니다. 자신의 감정을 찾기 위해 어디에서부터 실마리를 찾아보면 좋을까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23

사람들 사이에서의 갈등을 손뼉의 마찰로 비유한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저도 사람들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그런 경우가 있을 때 먼저 제 마음을 여는

수업소감26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말하기는 단지 말하는 것만 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청자의 마음이 열리는 것을 확인하고 그들의 마음을 얻는 것까지가 성공적인

코칭의 효과

공부의 효과나 코칭의 효과는 같다. 공부하면 무엇이 달라질까? 유학의 고전인 은 공부의 효과를 파악하는 3가지를 소개했다. 바로 “밝아졌나?” “새로워졌나?” “좋은 상태에 머무 나?”다. 코칭을 마치고

코치의 8가지 생각 챙기기

코칭도 생각과 앎을 다루는 비중이 크므로 공자의 9가지 생각(思)에 대한 내용을 활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를 코칭에 접목하기에 용이하게 아래 그림과 같이 8가지로 재정리하여 도해화하였습니다. [생각

코칭에서 존재와 존재감

제가 존경하는 코치선배님의 특강을 들으며 코치다움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 바를 적어봅니다. 그 분은 “코치로서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자기 물음에 「청소부 밥」에 나오는

원하는 것을 얻도록 돕는 생각 코칭

코칭은 고객 스스로 과제해결을 위한 답을 찾아가는 대화 과정입니다. 코칭은 흔히 마중물로 비유되곤 합니다. 한 바가지의 마중물을 펌프 속으로 들어 붓는 이유는 그 안에 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