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을 나타내는 키워드 3개는?

나의 강점은? 3가지 이상 써볼까요?

1) 통찰 – 단순화하거나 꿰뚫어 보려합니다. 관점전환도 잘하여 예컨대 학생들이 자신을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오늘 학생으로부터 이메일을 받았는데 ’제가 일을 벌여 놓고 실천력이 부족한 게 늘 저의 문제’라고 말을 했더니 교수님께서 그것은 제가 신중하고 그냥은 일을 못 넘어가는 성향이라서 그런 거라고, 그리고 저처럼 일을 벌이는 성향의 사람은 단체에서 꼭 필요한 사람이라고 말씀을 하실 때, 저는 마냥 단점이라고 보이는 게 이렇게 장점이 될 수 있음을 알았고 그때부터 모든 일들의 일장일단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고 하더군요.

2)학습력 – 문제상황에서 비판하기 보다는 배울 점을 찾으려 하고 문제를 성장의 기회로 생각하는 편입니다. 예컨대 상대의 행동이 이해가 안되는 상황에서 ‘상대방이 그렇게 한 좋은 이유가 무얼까?’를 자문자답하면 납득이 되거나 수용이 되기도 하고요.

3)감사 – 가급적 “덕분에~”라는 말과 “감사”라는 말을 자주 떠올리고 말하려고 합니다. 9년째 감사일기를 꾸준히 이어가는 모습에서 감사가 저의 강점(미덕)이라 생각합니다. 감사일기를 매일 쓰다 보니 9년째 이르러 3,300일 넘게 쓰고 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칭에서 존재와 존재감

제가 존경하는 코치선배님의 특강을 들으며 코치다움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 바를 적어봅니다. 그 분은 “코치로서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자기 물음에 「청소부 밥」에 나오는

수업소감 38

대학교에 신입생으로 입학하여 처음 겪는 사회생활에 어떤 식으로 사람들과 소통해야 할지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사람들과 소통할 때 소통방법을 배우고 싶어 이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세가지의

수업소감 29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고 해서 어떤 특별한 말하기 방법이 있는 줄 알았다. 그러나 그 말하기 방법은 특별한 것이 아닌 먼저 나를 칭찬해주고 사랑해야 된다는 것을 알았다.

거리와 거리감, 어떻게 줄일까? – 오정근코치

동물원의 동물은 우리 안에 갇혀 있는 자신을 불행이라 생각할까 아니면 포획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는 걸 다행이라 생각할까? 이런 평소 의문은 ‘파이이야기’란 소설을 읽으며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발생된 미래를 다루는 코칭

피터 드러커는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자신을 미래학자라고 부르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았다. 그는 오직 관찰할 뿐이라고 하며 사회생태학자로 불리길 좋아했다. 미래는 아직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바로 자각과 자기성찰을 돕는 과정입니다. 그 결과 고객이 자기인식의 전환을 맛보게 되면 내심 변화하고자 하는 의욕을 갖게 됩니다. 코칭과정에서 고객이 이런 전환을 느껴야 스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