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정답을 제공하는 컨설팅과 달리 코칭은 코치의 질문에 의해 코칭고객 스스로 최적의 답을 찾아내어 실천하도록 돕는 지혜를 다루는 대화과정입니다. 학문이라는 단어는 원래 배우고(학-學) 묻는다(문-問)는 글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지혜를 사랑하는 학문을 이른바 철학이라고 하며 동서양에서 각기 공자(BC 551~479)와 소크라테스(BC 469~399)를 시조로 꼽습니다. 두 사상가가 출현한 시기를 보면 동서양의 철학사상의 출발시기는 거의 비슷했으며, 사상가가 살던 배경은 전쟁이 심하던 시기였습니다.

지혜를 탐구하는 방법으로 동서양에서 공통으로 사용된 것은 질문이었습니다. 소크라테스 는 산파술이라 하여 자신이 직접 상대방에게 질문을 통해 스스로 깨닫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공자나 맹자인 경우 제자나 왕이 궁금한 것이나 답을 찾지 못하는 문제에 대한 답을 나누면서 지혜를 구하도록 했습니다. 따라서 앎에 이르는 방법으로 질문이 매우 효과적인 것이라는 것입니다. 「중용」 책을 보면 공자는 순임금을 일컬어 크게 지혜로운 사람임을 밝히고 있으므로, 순임금을 통해 지혜에 다가가는 방법을 터득하는 것은 또한 지혜로운 일이라 생각합니다.

순임금이 어떤 방식으로 지혜를 구했는지 방법을 보면 코칭적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왜냐하면 순임금은 첫째로 묻기를 즐겨 했습니다. 이것을 호문(好問)이라 합니다. 이러서 살피기를 즐겨했다고 합니다. 이른바 호찰(好察)입니다. 질문의 전제조건은 경청하겠다는 마음가짐이다. 따라서 호찰(好察) 이란 단어가 뒤따릅니다. 무엇을 살폈는가 하니 대수롭지 않은 말(이언, 邇言)조차 살폈다고 합니다. 그래서 순임금은 호문호찰이언(好察邇言)하는 사람이라 합니다.

예컨대 코칭 대화 도중 코칭고객이 한숨을 내쉰다면 이것조차 놓치지 않고 살피는 것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호문이나 호찰을 행동지침으로 이해해서는 곤란합니다. 고객의 존재를 존중한다면 호문호찰은 저절로 되는 것입니다. 이른바 본립도생(本立道生)입니다. 본(존재, 고객)이 서도록 도우면 길(코칭, 인식전환)이 납니다. 코칭을 하면서 코칭고객의 미세한 반응도 살피면 아래와 같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됩니다.

코치 : “지금 대답하기 전에 한 숨을 먼저 쉬셨는데 그건 어떤 의미인가요?”(코치의 호문 + 호찰이언)

코칭고객 : “아! 제가 그랬나요? 아마 이런 상황에서 제가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는 것 같아 그랬나 봐요”

코치 :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다는 말은 지금, 해결 가능성이 전혀 없다는 건 아니라는 말씀이시죠?

코칭고객 : “예”

코치 :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다는 것은 지금 이 순간 그렇게 생각이 든다는 뜻인가요? 아니면 앞으로 영원히 그럴 것 같다고 생각하나요?”

코칭고객 : “영원히는 아니겠죠?”

코치 : “그렇다면 ‘언젠가 해결이 된다’ (대화 시 한 박자 쉬고) 는 말씀이겠네요?”

코칭고객 : “예”

코치 : “오늘이 그런 계기가 되면 어떨 것 같나요?

코칭고객 : “그러면 좋겠습니다.”

코치 : “그렇게 해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자신은 어떤 존재입니까?”

코칭고객 : “내 문제는 어떻게 하든 해결해 내는 사람이라고 하고 싶네요”

코치 : 맞습니다, 목소리를 들으니 그럴 분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성찰질문)

– 지금 자신에게 가장 필요한 질문은 어떤 질문일까요?

– 관찰을 즐겨하는 것은 삶에 어떤 유익을 가져다 줄까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당신에게 행복은 어떻게 다가오나요?

내게 행복을 전해주는 주체는 ‘나’입니다. 왜냐하면 행복은 내 안에 있고 나 스스로 꺼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행복이 다가와도 내가 인식하지 못하면 행복감에 머물지 못할 겁니다.

수업소감26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말하기는 단지 말하는 것만 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청자의 마음이 열리는 것을 확인하고 그들의 마음을 얻는 것까지가 성공적인

수업소감 22

‘표현이 적다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라고 하셨던 말씀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한 친목 모임에서 ‘말수가 적다, 대답이 느리다’ 정도의 말을 들어본 적이

수업소감 12

처음 초반에 교수님께서는 ‘상대 마음을 얻는 것이 쉬울까, 내 마음을 주는 것이 쉬울까’에 대한 질문을 하셨다. 나는 내 마음을 주는 것이 조금 더 쉽겠지만 이것이

수업소감 36

가장 처음 예시를 들어주셨던 유럽으로 여행 간 학생의 이야기가 인상 깊었다. 나라면 부모님이 더 이상 갚지 않아도 괜찮다고 하셨다면 감사합니다라고 하고 약속을 저버렸을 것 같았기

코로나와 관련하여

Q. 코로나가 자신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 건 어떤 부분인가요? 온리인으로 강의를 하게 되면서 디지털 스킬이 늘었고, Covid 19 덕분에 미래교육 환경을 미리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