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몸을 사용하도록 돕는 코치

#

팀장 : 코치님! 제가 어떨 때는 리더답게 행동하다가도, 어떨 때는 영 그렇지 못한 데 그 이유가 뭘까요?

코치 : 좋은 질문이네요. 그 질문을 들으니 맹자가 떠오르네요. 맹자 이야기를 잠깐 말씀 드려도 될까요?

맹자가 제자에게 “어떤 사람은 대인 같고, 어떤 사람은 소인 같은 이유가 뭔가요?”라는 질문을 받고는 이렇게 대답합니다.

“큰 몸(大體: 대체)을 따르는 사람은 대인(大人)이라 하고 작은 몸을 따르는 사람은 소인(小人)일세.”

제자가 구체적으로 알려달라고 합니다. 맹자는

“귀나 눈 같은 감각기관은 생각하지 않으니, 외물(外物)에 어두워 끌려 다니기가 쉽다네. 그러나 마음이 하는 일은 생각(思)하는 것이어서 생각하면 얻고 생각하지 않으면 얻지 못하게 되네. 이것은 하늘이 우리에게 준 것이니, 먼저 큰 것(큰 생각)을 세운다면 그 작은 감각 같은 것은 마음의 이해의 자리를 빼앗지 못할 것이요, 이렇게 하는 것이 바로 대인(大人)일세.”

예를 들어보면 부하직원이 보고서가 늦을 때 “보고서 완결성을 높이고 싶었겠지?” 하고 말을 시작하거나, 부하직원이 사고를 치고 보고를 제 때에 하지 않은 것을 보고, “내가 다른 일로 인해 겨를이 없으니 이런 일에 신경을 빼앗길까 봐 자네들끼리 알아서 처리하고 천천히 보고하려고 한 것 아니겠어? 다음에는 일이 커지기 전에 손을 쓸 수 있도록 내게도 시간을 좀 주게!” 라고 말한다면 보이는 것만 보고 말하는 것을 넘어서는 것이 아닐까요?

대인은 말 그대로 큰 사람입니다. 큰 사람은 많은 것을 담는 사람입니다. 리더십의 ‘Ship’은 배를 뜻합니다. 배의 규모가 클수록 용적(容積)량 또한 큽니다. 배는 톤수로 용적량을 표시합니다. 리더십의 ‘Ship’도 배이니 리더십이 큰 사람은 더 많은 사람을 품는 사람입니다. 참고로 한자 용(容)의 훈은 ‘담을 용, 얼굴 용’이라 합니다. 사람을 잘 품는 사람을 보고 포용(包容)력이 크다고 합니다. 관용(寬容)적이라거나 수용(受容)적인 사람 또는 허용(許容)을 잘하는 사람이라고도 말합니다. 이처럼 사람을 담는 공간을 키우도록 돕는 것이 리더십코칭의 출발이라고도 나는 생각합니다.

담는 공간이 크면 여유(space)가 있어서 즉각적인 반응을 하지 않게 됩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대체적으로 조급해지는 경향이 많습니다. 자기가 큰 사람인 것을 알면 능히 여유를 갖고 생각하는 힘이 있습니다. ‘나다운 모습’이 대인의 모습이라는 것을 알면 원래 모습으로 복귀하기가 쉽습니다. 소인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누구나 대인입니다. 하지만 자기가 이미 큰 사람인 줄 모르고 그렇지 않다고 우기면 어쩔 수 없이 그는 계속해서 소인처럼 행동하고 말 것입니다.

성찰질문)

– 당신은 대체(큰 몸), 소체(작은 몸) 중 어느 것을 주로 사용하나요?

– 무엇을 보면 자신이 대인답다고 인식하게 되나요?

– 대인답지 않을 때는 언제인가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판매현장에서 질문의 힘(2)

경우의 수를 구분하여 질문함으로써 상대방이 자기생각을 점검하도록 하는 질문법도 좋겠습니다. == 엄마와 딸이 휴대폰 매장에 방문하여 딸이 최신형 휴대폰을 만지작거립니다. 판매사원이 딸에게 묻습니다. “이걸로 하시겠습니까?”

원하는 끝그림을 먼저 챙기는 코칭

모든 일에는 끝과 시작이 있습니다. 차를 운전할 때에도 목적지를 먼저 정하고 풀발합니다. 차를 운전하면서 뒤를 보고 운행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대화도 마찬가지입니다. 대인관계에서도 함께 좋은 관계유지가

말하지 않은 것조차 들을 줄 아는 코칭

코칭을 하면서 고객이 스스로 인식전환을 하는 말을 하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책을 보면 시이불견하고 청이불문하다 (視而不見 聽而不聞)는 말이 있습니다. 코칭고객이 큰사람(大人)답게 상대에게서 보이지 않는 것을

수업소감 23

사람들 사이에서의 갈등을 손뼉의 마찰로 비유한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저도 사람들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그런 경우가 있을 때 먼저 제 마음을 여는

살면서 얻은 가장 큰 교훈은?

“죽을 뻔 했네” “오래 사세요” 하는 말은 내가 사는 세상이 좋은 세상임을 증명하는 것이고, 우리는 억지로 사는 것이 아니라, 항상 선택지 중 가장 나은 것을

수업소감 8

말하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자 모든 시작점은 마음에서 나온다가 수업의 가장 중요한 주제였던 것 같습니다. 상대방에게 꾸며진 자신의 모습을 유려한 말솜씨로 꾸며내는 게 아니라 평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