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몸을 사용하도록 돕는 코치

#

팀장 : 코치님! 제가 어떨 때는 리더답게 행동하다가도, 어떨 때는 영 그렇지 못한 데 그 이유가 뭘까요?

코치 : 좋은 질문이네요. 그 질문을 들으니 맹자가 떠오르네요. 맹자 이야기를 잠깐 말씀 드려도 될까요?

맹자가 제자에게 “어떤 사람은 대인 같고, 어떤 사람은 소인 같은 이유가 뭔가요?”라는 질문을 받고는 이렇게 대답합니다.

“큰 몸(大體: 대체)을 따르는 사람은 대인(大人)이라 하고 작은 몸을 따르는 사람은 소인(小人)일세.”

제자가 구체적으로 알려달라고 합니다. 맹자는

“귀나 눈 같은 감각기관은 생각하지 않으니, 외물(外物)에 어두워 끌려 다니기가 쉽다네. 그러나 마음이 하는 일은 생각(思)하는 것이어서 생각하면 얻고 생각하지 않으면 얻지 못하게 되네. 이것은 하늘이 우리에게 준 것이니, 먼저 큰 것(큰 생각)을 세운다면 그 작은 감각 같은 것은 마음의 이해의 자리를 빼앗지 못할 것이요, 이렇게 하는 것이 바로 대인(大人)일세.”

예를 들어보면 부하직원이 보고서가 늦을 때 “보고서 완결성을 높이고 싶었겠지?” 하고 말을 시작하거나, 부하직원이 사고를 치고 보고를 제 때에 하지 않은 것을 보고, “내가 다른 일로 인해 겨를이 없으니 이런 일에 신경을 빼앗길까 봐 자네들끼리 알아서 처리하고 천천히 보고하려고 한 것 아니겠어? 다음에는 일이 커지기 전에 손을 쓸 수 있도록 내게도 시간을 좀 주게!” 라고 말한다면 보이는 것만 보고 말하는 것을 넘어서는 것이 아닐까요?

대인은 말 그대로 큰 사람입니다. 큰 사람은 많은 것을 담는 사람입니다. 리더십의 ‘Ship’은 배를 뜻합니다. 배의 규모가 클수록 용적(容積)량 또한 큽니다. 배는 톤수로 용적량을 표시합니다. 리더십의 ‘Ship’도 배이니 리더십이 큰 사람은 더 많은 사람을 품는 사람입니다. 참고로 한자 용(容)의 훈은 ‘담을 용, 얼굴 용’이라 합니다. 사람을 잘 품는 사람을 보고 포용(包容)력이 크다고 합니다. 관용(寬容)적이라거나 수용(受容)적인 사람 또는 허용(許容)을 잘하는 사람이라고도 말합니다. 이처럼 사람을 담는 공간을 키우도록 돕는 것이 리더십코칭의 출발이라고도 나는 생각합니다.

담는 공간이 크면 여유(space)가 있어서 즉각적인 반응을 하지 않게 됩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대체적으로 조급해지는 경향이 많습니다. 자기가 큰 사람인 것을 알면 능히 여유를 갖고 생각하는 힘이 있습니다. ‘나다운 모습’이 대인의 모습이라는 것을 알면 원래 모습으로 복귀하기가 쉽습니다. 소인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누구나 대인입니다. 하지만 자기가 이미 큰 사람인 줄 모르고 그렇지 않다고 우기면 어쩔 수 없이 그는 계속해서 소인처럼 행동하고 말 것입니다.

성찰질문)

– 당신은 대체(큰 몸), 소체(작은 몸) 중 어느 것을 주로 사용하나요?

– 무엇을 보면 자신이 대인답다고 인식하게 되나요?

– 대인답지 않을 때는 언제인가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칭, 피할 수 없는 매력

코치들끼리 친해지면 어떻게 해서 코칭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는지 진솔하게 얘기를 나눈다. 강의를 하다가 코칭으로 영역을 넓히거나, 전혀 색다른 동기로 입문하기도 한다. 예컨대 코칭을 배운

세종의 독서코칭 -오정근코치

​ 세종 초기에 당시 어전회의 분위기는 오늘날 많은 조직과 크게 다르지 않았나 보다. 세종은 신하들이 좀처럼 입을 열지 않아 속마음 알기도 어려웠고, 누군가 의견을 개진하면

수업소감 28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으로서 이전부터 항상 해오던 고민이 있다. 바로 어떻게 하면 상대방이 공감을 하면서 내 마음을 상대방에게 온전히 전달하여 상대방의

선한 의도 읽기로 인식을 전환하는 코칭

「대학」 책에는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라는 말이 나옵니다.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중 평천하라는 말 뜻을 풀이한 내용을 보면 윗사람 모시면서

내가 답이다, 내 안에 답있다

많은 학문이 추구하는 바는 밖에서 구해 안을 채우려 하는데 있습니다. 그 이유는 사람을 결핍한 존재 혹은 결핍한 세상에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쟁을 가르칩니다.

한계를 돌파하도록 돕는 코칭

어느 날 염구라는 제자가 공자에게 “선생님의 가르침이 싫어서가 아니라 제가 실행하기에 역부족(力不足)인가 봅니다”라고 합니다. 이 말을 듣자 공자가 한 마디 합니다. “힘이 부족한 사람은 해보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