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몸을 사용하도록 돕는 코치

#

팀장 : 코치님! 제가 어떨 때는 리더답게 행동하다가도, 어떨 때는 영 그렇지 못한 데 그 이유가 뭘까요?

코치 : 좋은 질문이네요. 그 질문을 들으니 맹자가 떠오르네요. 맹자 이야기를 잠깐 말씀 드려도 될까요?

맹자가 제자에게 “어떤 사람은 대인 같고, 어떤 사람은 소인 같은 이유가 뭔가요?”라는 질문을 받고는 이렇게 대답합니다.

“큰 몸(大體: 대체)을 따르는 사람은 대인(大人)이라 하고 작은 몸을 따르는 사람은 소인(小人)일세.”

제자가 구체적으로 알려달라고 합니다. 맹자는

“귀나 눈 같은 감각기관은 생각하지 않으니, 외물(外物)에 어두워 끌려 다니기가 쉽다네. 그러나 마음이 하는 일은 생각(思)하는 것이어서 생각하면 얻고 생각하지 않으면 얻지 못하게 되네. 이것은 하늘이 우리에게 준 것이니, 먼저 큰 것(큰 생각)을 세운다면 그 작은 감각 같은 것은 마음의 이해의 자리를 빼앗지 못할 것이요, 이렇게 하는 것이 바로 대인(大人)일세.”

예를 들어보면 부하직원이 보고서가 늦을 때 “보고서 완결성을 높이고 싶었겠지?” 하고 말을 시작하거나, 부하직원이 사고를 치고 보고를 제 때에 하지 않은 것을 보고, “내가 다른 일로 인해 겨를이 없으니 이런 일에 신경을 빼앗길까 봐 자네들끼리 알아서 처리하고 천천히 보고하려고 한 것 아니겠어? 다음에는 일이 커지기 전에 손을 쓸 수 있도록 내게도 시간을 좀 주게!” 라고 말한다면 보이는 것만 보고 말하는 것을 넘어서는 것이 아닐까요?

대인은 말 그대로 큰 사람입니다. 큰 사람은 많은 것을 담는 사람입니다. 리더십의 ‘Ship’은 배를 뜻합니다. 배의 규모가 클수록 용적(容積)량 또한 큽니다. 배는 톤수로 용적량을 표시합니다. 리더십의 ‘Ship’도 배이니 리더십이 큰 사람은 더 많은 사람을 품는 사람입니다. 참고로 한자 용(容)의 훈은 ‘담을 용, 얼굴 용’이라 합니다. 사람을 잘 품는 사람을 보고 포용(包容)력이 크다고 합니다. 관용(寬容)적이라거나 수용(受容)적인 사람 또는 허용(許容)을 잘하는 사람이라고도 말합니다. 이처럼 사람을 담는 공간을 키우도록 돕는 것이 리더십코칭의 출발이라고도 나는 생각합니다.

담는 공간이 크면 여유(space)가 있어서 즉각적인 반응을 하지 않게 됩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대체적으로 조급해지는 경향이 많습니다. 자기가 큰 사람인 것을 알면 능히 여유를 갖고 생각하는 힘이 있습니다. ‘나다운 모습’이 대인의 모습이라는 것을 알면 원래 모습으로 복귀하기가 쉽습니다. 소인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누구나 대인입니다. 하지만 자기가 이미 큰 사람인 줄 모르고 그렇지 않다고 우기면 어쩔 수 없이 그는 계속해서 소인처럼 행동하고 말 것입니다.

성찰질문)

– 당신은 대체(큰 몸), 소체(작은 몸) 중 어느 것을 주로 사용하나요?

– 무엇을 보면 자신이 대인답다고 인식하게 되나요?

– 대인답지 않을 때는 언제인가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가치 있는 삶이란 어떤 것인가요?

가치 있는 삶이란 나답게 사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나는 원래 좋을 수밖에 없는 나이고, 하늘과 같은 천성을 갖고 태어났으니 영성과 지성을 지속적으로 고양시켜 나가는 일이 가치

수업소감 11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를 수강하여 글말교실 글말특강 중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를 듣게 되었습니다. 저는 다른 사람들을 만날 때 먼저 표현하고 약속을 잡는 편입니다.

마음이 힘들 때 어떻게 하나요?

1) 힘들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난능(難能)이란 단어입니다. 어렵고 힘드니까 능해진다, 는 뜻입니다. 2)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은 좋은 질문을 제게 던지는 겁니다. 이런 고난에도

인식전환의 단서

“안다,의 반대말이 무엇인가요?” 이렇게 질문하면 대부분 뜸을 들인 후 “모른다, 입니다”고 대답합니다. “모른다는 것은 아는 건가요? 모르는 건가요?” 재차 질문하면 모른다는 걸 아는 거네요” 합니다.

수업소감 6

강의를 시작하실 때 1학기동안 들었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이 새록새록 생각났습니다.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이 힐링 수업인 이유가 ‘이론수업을 통해서 사람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마음을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4)

네 번째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미리하는 감사도 감사를 부른다는 것이다. 안 좋은 일이 예상될 때였습니다. 아내에게 핀잔을 들을 게 뻔한 일이었습니다. 아내 눈에는 제가 부족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