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가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에 대한 일화다용인에 위치한 그룹 연수원은 현대그룹 가족 휴양지이기도 했다휴양지에는 동물원에 있을법한 커다란 조류장과 목장 등이 있었다. 45만평에 대한 총괄관리책임을 연수원장이 맡고 있었기에 정 회장이 휴양지에 들르면 원장은 부리나케 수행을 해야 했다정 회장은 늘 현장을 직접 관찰하며 이것저것 물었다.

어떤 걸 물을지 모르기에 항상 긴장했다엘크와 꽃사슴을 비롯해 공작새오리호로조 등이 몇 마리씩 있는지 늘 외우고 다녔다.어느 날 정 회장은 목장을 향해 가면서 원장에게 젖소가 몇 마리 있나?”하고 물었다원장은 스무 네 마리 있습니다하고 얼른 대답했다정 회장은 그럼 암소는 몇 마리야?” 하고 다시 물었다원장은 암수 구분해서 암기하지 않았기에 그 질문에 당황해 하면서 짐작으로 열 두 마리입니다고 대답했다정 회장은 못마땅한 목소리로 말했다. “젖소가 전부 암소지 숫소가 어디 있어?!”  현장 파악의 꼼꼼함을 요구하여 정 회장이 던진 질문이라 짐작해본다.

소크라테스는 젊은이들에게 늘 질문을 했다질문을 통해 안다의 범주를 깨닫게 했다질문을 던져 모르는 것이 무언지 일깨워줌으로써 스스로 지식을 채워 넣도록 했다그리하여 이른바 너 자신을 알라!’고 설파했다연수원장이 질문을 접하자 비로소 얼마만큼 아는지무엇을 모르는지를 깨닫게 된 것과 비슷하다 하겠다동양에서는 지식을 얻는 방법으로 가르친다(teaching)’는 개념을 사용했다지식을 갖춘 선생이 가르친다는 방식이다하지만 서구에서는 끄집어낸다(ex+duce=education)’ 는 개념에서 출발한다.

원래 완벽한 지식을 지닌 생명의 혼이 몸을 빌어 태어나기 직전 망각(레테)의 강물을 마시는 바람에 모두 잊었다 한다따라서 잊었던 기억을 끄집어내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질문이라는 거다코칭도 고객의 잠재된 능력을 끄집어낸다.

마치 마중물과 같다소크라테스의 엄마는 산파였고아버지가 석공이었다고 전해진다이웃집에 어제까지 없던 아이가 생긴 것을 이상하게 여겨 소크라테스가 질문을 하면 엄마는 그 아줌마 뱃속에 원래 아이가 있었는데 엄마가 꺼내어 아이가 나온 거야하고 답을 해주었다저번 때까지 없었던 돌 사자상이 나타난 걸 보고 묻자 그의 아버지는 원래 돌 속에 사자가 들어 있던 것을 아빠가 도와주어 끄집어 낸 것이란다” 하고 답을 해주었다고 한다뭔가 꺼내어 돕는다는 개념은 코칭의 기본 철학이다.

지식을 끄집어낸다는 개념 안에는 인간존재의 완전함을 받아들인다인간중심의 사고다그래서 좋다사람을 부족한 존재로 인식하고 채워나간다고 보는 동양의 접근과는 다르다필자가 코칭의 매력에 크게 빠진 이유도 이 때문이다. ‘부족한 존재라는 인식에서 출발한다면 굳이 고객에게 질문할 필요가 어디 있으랴코칭은 아름다운 동행이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좋은 피드백과 더 좋은 피드 포워드 코칭

성과평가를 마치고 나면 성과면담코칭을 반드시 하도록 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종의 피드백을 하라는 취지입니다만 저항이 만만치 않습니다. 고과에 대해 만족해 할 사람은 최고 고과를 받은

인식오류를 바로잡는 코칭

​ 피터 드러커는 라는 책에서 ‘우리 사회가 어떻게 지식사회와 지식경제로 이동하게 되었는가?’ 하고 질문합니다. 그리고는 사람들이 “일이 더 복잡 고도화되기 때문이다,”고 하는 답을 듣고는 틀린

자신을 나타내는 키워드 3개는?

나의 강점은? 3가지 이상 써볼까요? ​ 1) 통찰 – 단순화하거나 꿰뚫어 보려합니다. 관점전환도 잘하여 예컨대 학생들이 자신을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오늘

수업소감26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말하기는 단지 말하는 것만 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청자의 마음이 열리는 것을 확인하고 그들의 마음을 얻는 것까지가 성공적인

수업소감 50

다른 이들에게 마음을 주거나 받기 위해서는 우선 자신을 아끼는 마음이 필요하지만 그 외에 다른 기술 들도 필요하다. 우선 우리가 다른 이들의 마음을 얻어야 하는 이유는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2)

두 번쩨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감사는 당연했던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저는 그동안 제 힘으로 사는 줄 알았습니다. 세상 돌아가는 모든 것을 당연하게 생각해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