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가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에 대한 일화다용인에 위치한 그룹 연수원은 현대그룹 가족 휴양지이기도 했다휴양지에는 동물원에 있을법한 커다란 조류장과 목장 등이 있었다. 45만평에 대한 총괄관리책임을 연수원장이 맡고 있었기에 정 회장이 휴양지에 들르면 원장은 부리나케 수행을 해야 했다정 회장은 늘 현장을 직접 관찰하며 이것저것 물었다.

어떤 걸 물을지 모르기에 항상 긴장했다엘크와 꽃사슴을 비롯해 공작새오리호로조 등이 몇 마리씩 있는지 늘 외우고 다녔다.어느 날 정 회장은 목장을 향해 가면서 원장에게 젖소가 몇 마리 있나?”하고 물었다원장은 스무 네 마리 있습니다하고 얼른 대답했다정 회장은 그럼 암소는 몇 마리야?” 하고 다시 물었다원장은 암수 구분해서 암기하지 않았기에 그 질문에 당황해 하면서 짐작으로 열 두 마리입니다고 대답했다정 회장은 못마땅한 목소리로 말했다. “젖소가 전부 암소지 숫소가 어디 있어?!”  현장 파악의 꼼꼼함을 요구하여 정 회장이 던진 질문이라 짐작해본다.

소크라테스는 젊은이들에게 늘 질문을 했다질문을 통해 안다의 범주를 깨닫게 했다질문을 던져 모르는 것이 무언지 일깨워줌으로써 스스로 지식을 채워 넣도록 했다그리하여 이른바 너 자신을 알라!’고 설파했다연수원장이 질문을 접하자 비로소 얼마만큼 아는지무엇을 모르는지를 깨닫게 된 것과 비슷하다 하겠다동양에서는 지식을 얻는 방법으로 가르친다(teaching)’는 개념을 사용했다지식을 갖춘 선생이 가르친다는 방식이다하지만 서구에서는 끄집어낸다(ex+duce=education)’ 는 개념에서 출발한다.

원래 완벽한 지식을 지닌 생명의 혼이 몸을 빌어 태어나기 직전 망각(레테)의 강물을 마시는 바람에 모두 잊었다 한다따라서 잊었던 기억을 끄집어내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질문이라는 거다코칭도 고객의 잠재된 능력을 끄집어낸다.

마치 마중물과 같다소크라테스의 엄마는 산파였고아버지가 석공이었다고 전해진다이웃집에 어제까지 없던 아이가 생긴 것을 이상하게 여겨 소크라테스가 질문을 하면 엄마는 그 아줌마 뱃속에 원래 아이가 있었는데 엄마가 꺼내어 아이가 나온 거야하고 답을 해주었다저번 때까지 없었던 돌 사자상이 나타난 걸 보고 묻자 그의 아버지는 원래 돌 속에 사자가 들어 있던 것을 아빠가 도와주어 끄집어 낸 것이란다” 하고 답을 해주었다고 한다뭔가 꺼내어 돕는다는 개념은 코칭의 기본 철학이다.

지식을 끄집어낸다는 개념 안에는 인간존재의 완전함을 받아들인다인간중심의 사고다그래서 좋다사람을 부족한 존재로 인식하고 채워나간다고 보는 동양의 접근과는 다르다필자가 코칭의 매력에 크게 빠진 이유도 이 때문이다. ‘부족한 존재라는 인식에서 출발한다면 굳이 고객에게 질문할 필요가 어디 있으랴코칭은 아름다운 동행이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30

강의를 통해 지금까지 저의 말하기를 돌아보며 가장 크게 느낀 것은 제가 저의 마음을 전하는 말하기를 하는 데 급급해서 상대의 마음을 얻는 것을 놓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코치다움과 코칭다움

나는 코치다운가? 이런 질문을 해보며 두 가지 상황을 생각해보게 됩니다. 하나는 코치라는 모자를 썼을 때이고, 다른 하나는 그렇지 않을 때입니다. 코칭을 하러 기업에 가면 사람들이

발생된 미래를 다루는 코칭

피터 드러커는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자신을 미래학자라고 부르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았다. 그는 오직 관찰할 뿐이라고 하며 사회생태학자로 불리길 좋아했다. 미래는 아직

손흥민 선수에게 던진 질문들

손흥민하면 어떤 감정 단어가 떠오르나요? 저는 기쁨, 자랑스러움, 뿌듯함, 안심, 기대감, 놀라움, 행복, 감사, 열정과 같은 단어가 떠오릅니다. 손흥민 선수를 좋아하는 팬들이 전세계적으로 넓어지면서 팬들은

‘나다울 때’는 언제였나요?

​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나다울 때를 회상해본다면 어떤 기억이 떠오르나요? ~~~*~~~ ‘나 답다’라는 말은 참 듣기 좋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의 존재를 의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 나다울 때는

[오정근 코치의 질문의 힘] 뭐라고 불러드릴까요?

[한국강사신문 오정근 칼럼니스트] 호기심이 많던 둘째 딸아이가 초등학생이던 어느 날 내게 이렇게 물었다. “목사는 목사님, 신부는 신부님이라고 하면서, 왜 중은 중님이라고 부르지 않아?” 그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