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를 돌파하도록 돕는 코칭

어느 날 염구라는 제자가 공자에게 “선생님의 가르침이 싫어서가 아니라 제가 실행하기에 역부족(力不足)인가 봅니다”라고 합니다. 이 말을 듣자 공자가 한 마디 합니다.

“힘이 부족한 사람은 해보다가 중간에 그만두는데, 지금 너는 스스로의 한계를 긋고 있구나(역부족자力不足者 중도이페中道而廢, 금여획今女劃)”

금여획이란 “지금 당신이 금을 긋는다”, 라는 뜻입니다. 리더십 코칭을 하다 보면 금을 긋는 리더를 만나게 됩니다. 깨달음(인식전환)이 생기면 내적인 동기가 강화되어 행동이 뒤따르기가 보다 쉽습니다.

<사례> 직원의 능력 한계로 고민하는 리더

코칭고객 : 일을 시켜도 매번 반복적으로 실수를 하는데 답답하네요. 벌써 몇 번째 인지 모르겠어요.

코치 : 그러시군요. 실수가 반복되어 답답하시군요. 다른 업무를 시켜봐도 마찬가지라는 말씀 같이 들리네요?

코칭고객 : 그렇죠. 능력이 안되는 직원이에요.

코치 : 그렇다면 고민도 많이 되시고 때로는 화도 나시겠네요.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팀장님이 무얼 새롭게 해보실 건가요?

코칭고객 : 예? 저는 지금 거의 포기한 상태입니다.

코치 : 그 정도로 실망이 크신 거네요. 제가 하나 여쭤볼게요. 팀장님이 유능한 리더라는 소리를 듣는다면 그것은 유능한 팀원 덕분 아닌가요?

코칭고객 : 그렇죠. 팀원들이 성과를 내는 것이니까요.

코치 : 그렇다면 구성원이 무능하다면 팀장님도 무능하다는 소리를 듣게 되는 것 아닌가요?

코칭고객 : 아~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저도 무능한 리더라는 소리를 듣고 싶지 않은 건데, 제가 그 직원 탓만 하고 있었네요. 유능하게 만드는 것이 유능한 리더인데, 제가 한계를 느꼈나 봅니다.

코치 : 그 직원을 성장시키는 것은 팀장님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코칭고객 : 그렇죠. 의미가 있네요. 저의 리더십도 성장하는 계기가 되는 것이구요. 이 이슈에 대해 좀 더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집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커리어 코칭 모델

​ 커리어 코칭 모델은 주요 요소뿐 아니라 코칭 전개의 프로세스 와도 밀접한 연결성을 보여준다. 1. Love myself.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분석 2. Love

영화 <미나리>를 통한 깨달음

미나리는 아무 데서나 잘 자란다. 미나리는 김치를 해 먹어도 좋고 찌개에 넣어 먹어도 되고 국에 넣어 먹어도 좋다. 미나리라는 영화는 70~ 80년대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

[오정근 코치의 질문의 힘] 뭐라고 불러드릴까요?

[한국강사신문 오정근 칼럼니스트] 호기심이 많던 둘째 딸아이가 초등학생이던 어느 날 내게 이렇게 물었다. “목사는 목사님, 신부는 신부님이라고 하면서, 왜 중은 중님이라고 부르지 않아?” 그 질문

AI와 함께하는 미래의 글쓰기

안녕하세요. 오정근입니다. 요즘은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우리 일상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죠. 그 중에서도 글쓰기에도 AI가 도움을 주고 있는데요. 오늘은 저희가 어떻게 AI와 함께 글을 쓸

수업소감 20

50분이 넘는 짧지 않는 강의였음에도 대부분이 내가 살아가며 말하고 행동함에 있어 갖추어야 할 태도를 알려 주는 아주 유용한 정보들이었다. 특히 내가 가장 기억에 남았던 구절은

커리어코칭의 기본 질문

아래 그림은 폴 고갱의 ‘우리는 어디서 왔으며. 누구이고. 어디로 가는가?’라는 제목의 작품이다. 이 제목 자체는 우 리에게 큰 울림을 준다. 삶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