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 코칭의 효과는 인식의 변화다. 다음은 학교와 전공을 세 차례 옮긴 대학생과의 대화다.

사례 1 인식의 변화

참가자 저는 부족한 게 많고 도피하는 사람이에요.

코치 다른 학교로 옮긴 걸 도피라고 생각하나요?

참가자 예.

코치 저는 도전하는 사람으로 보이는데요? 마음에 들지 않으면 도 전하고 또 도전하면서 어려움을 계속 이겨내는 사람 같은데요?

참가자 아! 코치님의 질문을 받고 보니 제 관점이 열려요. 생각해 보니 그러네요. 저는 왜 그런 관점을 갖지 못했을까요? 맞아요. 전 만족할 때까지 도전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두 번째 효과는 행동의 변화다. 코칭은 대개 1~2주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행동의 변화는 그 세션과 세션의 사이에서 일어난 다. 코칭 세션 종료 직전, 코치는 참가자에게 세션과 세션 사이 에 어떤 것을 실행할지 묻는다. 그리고 실행 약속을 응원한다. 혼 자서 하는 다짐보다 타인과 약속을 하면, 지킬 가능성이 훨씬 커 진다. 코치는 지난 세션에서 약속했던 실행이 어떠했는지 꼭 묻 는다. 그 가운데 무엇을 느꼈고, 무엇을 얻었는지, 주변 사람들의 반응은 어떠했는지 물어가며 성찰을 돕는다.

사례 2 세션과 세션 간 변화 행동에 대한 성찰

코치 지난 일주일 동안 실행했던 것을 들려줄 수 있나요?

참가자 지난번 코치님과 약속한 강점 리스트를 만들었어요. 친구 3명에게 카톡으로 강점에 관한 이야기를 주고받았어요.

코치 해 보니 소감이 어떤가요?

참가자 친구들이 저도 잘 몰랐던 강점을 말해서 깜짝 놀랐어요. 왜 그런지 이야기를 듣고 보니 저 자신에 대해 더 알게 됐습니다. 코치 그 강점을 어떤 상황에서 활용하면. 삶에 도움이 될까요? 참가자 음……. 그것까지 생각 못 해봤는데요. 맞아요. “설득력과 표현력이 좋다.”는 말을 들었죠. 앞으로 팀플레이에서 제가 발표 자 역할을 맡으면 좋겠어요.

세 번째 효과는 주변 사람들에게 주는 영향력이다. 참가자의 모습을 보고, 따라 하거나 배우려 한다면 좋은 역할 모델을 한 셈이 다. 영향력을 확산시킨 부수효과를 얻었기에 코칭 효과라고 말할 수 있다. 코칭 시작할 때 참가자에게 “주변 사람들에게 코칭에 참 여 중이라고 알리면 좋겠다.”라고 권한다. 시간과 노력, 비용을 투자하는 만큼 효과를 얻기 위해서다. 주변인의 지지나 응원을 받는 것은 새로운 습관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외부에 공표 하면 할수록 실행에 대한 책임 의식은 커진다. 참가자의 커리어 설계 과정이나 결과물을 보고, 주변 사람이 자신도 저렇게 준비 하겠다는 마음을 갖는다면 좋은 효과임에 틀림없다.

사례 3 참가자의 변화에 대한 주변인의 반응

코치 코칭 시작한 지 4주가 지났어요. 그간 주변 친구들이 어떤 피드백을 해주던가요?

참가자 제가 변하긴 했나 봐요. 의식적으로 한 건 아니지만, 코치 님이 해주시는 질문이 효과적이라는 생각이 들어 질문을 자주 했 나 봐요. 서로 고민거리를 나누는 친구가 있는데 제가 하는 질문 을 들으면 자극이 된다고 해요. 친구도 저처럼 커리어 설계를 하 고 싶다며 도움을 청하네요.

코치 좋은 소식이네요. 도움을 줄 수 있는 입장이 이미 된 것 같아 요. 축하합니다. 질문할 줄 아는 사람이 된 것 같은데, 그런 강점 을 어떤 상황에서 더 활용하면 좋을까요?

– <오정근의 커리어코칭> 중에서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3

이번 특강은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에서 배웠던 것의 연장선이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특강 주제가 ‘마음을 얻는 말하기’인 만큼 특강의 모든 부분에서 많은 공감을

코치로서 가치와 소명은 무엇?

코칭은 앎을 다룹니다. 코치다운 코치로서 앎이 소중하기에 배움을 귀하게 여깁니다. 저도 그렇지만 누구나 더 잘 알면 더 잘 할 수 있습니다. ‘앎을 사랑’하기에 ‘배워서 남

서편제의 한과 천년학의 비상 -오정근코치

이청준님의 ‘남도사랑’ 소설 책에는 임권택 감독이 영화로 만들어 유명한 ‘서편제’와 ‘선학동 나그네’가 담겨 있다. 책은 ‘서편제’에서 시작하여 ‘소리의 빛’을 거쳐 ‘선학동’으로 이어진다. 세 개의 단편작품들은

존재-인식-행동을 다루는 코칭

문제가 생기면 외부환경이나 남 탓하는 사람도 있고, 자기 비하 혹은 자책을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둘 다 바람직한 모습은 아닙니다. 가장 좋은 모습은 그런 상황에서 하나라도

오정근의 감정 코칭

AI 시대, AI는 위기이면서 기회다. AI보다 인간이 더 잘 할 수 있는 영역이 코칭이며, 그 중 감정을 다루는 일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사회적으로도 우울증,

완전한 존재로 인식하는 코칭

# “코치님, 저는 문제가 많은 사람인가 봐요?” “무슨 말씀이세요?” “구성원이 시키는 대로 하지 않으면 화가 나고 화 내고 나면 후회스러우면서도 이런 일이 반복되니 감정 조절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