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의 효과나 코칭의 효과는 같다. 공부하면 무엇이 달라질까? 유학의 고전인 <대학(大學)>은 공부의 효과를 파악하는 3가지를 소개했다. 바로 “밝아졌나?” “새로워졌나?” “좋은 상태에 머무 나?”다. 코칭을 마치고 위의 3가지 질문에 “그렇다.”라고 답한다 면 효과를 거둔 것이다. 이 책을 읽은 답도 “그렇다.” 이길 바란다. 이제 편안한 마음으로 하나씩 살펴보자.

첫째, 명명덕(明明德). 자기 안의 강점(미덕)으로 스스로 밝아 졌는가? 총명, 현명의 명(明)이다. 커리어 코칭은 자기 존재에 대 한 의미를 확장시킨다. 수도 없이 많은 자신의 강점을 확인하게 된다. 자신감과 자존감이 커지면서 자신과 세상을 다른 관점으로 본다,

둘째, 신민(新民). 새로워졌는가? 배웠으니 밝아진다. 밝아졌으 니 다른 사람을 대할 때 새로워진다. 주어진 과제 혹은 관계 속에 서 자기답게, 자신감 있게 행동한다면 그것처럼 좋은 것이 또 있 을까? 커리어의 성장은 일이나 과제를 통해 일어난다. 남들이 달 라졌다고 느낀다면 바람직하다.

셋째, 지선(止善). 좋은 상태에 머무는가? “알고 보니 다 좋은 것인데,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인 줄 알았네.”, 혹은 “역경은 나 를 성장시키고, 배움을 얻게 하는 기회였네.”라는 깨달음이 온다. 마음이 평온한 상태에 머문다. 상황이나 문제에 대해 스스로 이 해하는 힘이 생기면 잘 배운 것이라 하겠다.

코칭의 효과는 이렇게 단계별로 3가지를 꼽는다. 시간 단계별 로 그 효과를 파악하면 된다. 코칭 세션 중 참가자가 인식의 변화 를 말하면 잘된 코칭이다. “아하! 그렇구나.”, “맞아요. 제가 알고 있었는데 까마득히 잊고 있었네요.”처럼 의식의 확장, 깨달음, 통 찰을 얻으면 밝아지는 것이 된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행동을 문제 삼지 않는 코칭

수업 중에 학생들에게 “행동에 잘못이 있을까 없을까?” 하며 의도된 질문을 해보면 대다수는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대답을 합니다. 저 역시도 그랬습니다. 그만큼 반전을 일으키는 질문입니다. 행동에

영화 <미나리>를 통한 깨달음

미나리는 아무 데서나 잘 자란다. 미나리는 김치를 해 먹어도 좋고 찌개에 넣어 먹어도 되고 국에 넣어 먹어도 좋다. 미나리라는 영화는 70~ 80년대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

코칭, 그 아름다운 동행

돌아가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에 대한 일화다. 용인에 위치한 그룹 연수원은 현대그룹 가족 휴양지이기도 했다. 휴양지에는 동물원에 있을법한 커다란 조류장과 목장 등이 있었다. 45만평에 대한 총괄관리책임을 연수원장이 맡고

기분 좋게 주고 받는 피드백 코칭

흔히 피드백을 하다가 상처를 주고 받는 일이 생깁니다. 그런 일을 몇 차례 겪다 보면 피드백을 주고 싶은 사람은 망설이게 되고, 주변사람의 성장을 돕고자 하는 의욕이

수업소감 18

자신있게 말하기 강의에서도 잠깐 들었던 내용을 더 자세히 들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군대에서 배울 점이 많았던 선임. 후임도 생각이 났습니다. 제가 통신병으로 있을 때, 저는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4)

네 번째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미리하는 감사도 감사를 부른다는 것이다. 안 좋은 일이 예상될 때였습니다. 아내에게 핀잔을 들을 게 뻔한 일이었습니다. 아내 눈에는 제가 부족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