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존경하는 코치선배님의 특강을 들으며 코치다움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 바를 적어봅니다. 그 분은 “코치로서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자기 물음에 「청소부 밥」에 나오는 문구를 소개합니다.

“쏜 살같이 지나가는 시간을 영원히 잡아두는 방법은 내가 깨달은 지혜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방법밖에 없다”

고 하며, 살면서 세상에서 받은 것이 너무 많았다고 회상합니다. 그래서 세상에 무언가 남기는 의미 있는 삶을 살고 싶다고 합니다.

이미 그렇게 충분히 살아오신 분이어서 공감이 갔습니다. 아울러 저 유명한 노래가사 “You raise me up to more than I can be” 를 통해 코치의 미션 – 고객의 손을 잡아 고객 스스로 될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사람이 되도록 돕는 일 – 을 다시 새기게 되었습니다.

코칭은 How(이슈해결, Doing) 보다 Who(존재, Being)에 집중하듯이 코치는 고객에게 고객이 어떠한 존재인지 잘 알아봐줍니다. 그래서 코칭고객이 자기 생각보다 훨씬 더 큰 존재임을 인식하고, 계속 더 큰 존재로 나아가도록 돕습니다. 코칭스킬보다 더 중요한 것이 고객의 잠재력을 이끌어내는 것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퍼거슨 전임감독이 “리더십의 본질은 선수들도 모르는 5%를 끌어내는 것”이라고 말했는데, 코치인 제게도 가르침을 주는 말입니다. 그래서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보려고 하며 이런 말들을 하게 됩니다.

“더 잘할 수 있는데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것은 아닌가요?”

“장점이 많으신데 최근 잘 사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떠신가요?”

“하면 잘 하실 수 있는데 그냥 주저하는 것처럼 보이네요. 어떤 도움이라도 필요하신가요?

고객을 대하는 태도를 떠올리면서 마음 속으로 새기는 말 하나가 있습니다. 「논어」에 나오는 출문여견대빈(出門如見大賓) 입니다. ‘문밖을 나서면 마치 큰 손님(VIP)을 만나듯 하라’는 말입니다.

선배코치님이 “코칭은 고객 내부에 숨어있는 엄청난 가능성을 찾는 여행과 같습니다. 나는 그들의 행복한 동반자이지요” 라고 했던 말이 참 신선하고 좋았습니다.

영화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As Good As It Gets>에서 주인공인 잭 니콜슨이 말을 잘못하여 여자친구로부터 낭패를 봅니다. 여친은 자기 감정을 상하게 했으니, 자신을 칭찬하는 한마디 말을 해보라고 채근합니다. 이제 말을 잘못하면 판이 깨질 상황입니다. 잠시 시간을 끌더니 그는 “당신은 내가 더 좋은 사람이 되고 싶게 만들고 있어요!!(You make me wanna be a better man)” 라며 명대사를 읊조립니다. 여친은 이렇게 멋진 말을 들어본 적이 없노라며 매우 만족해합니다.

코칭도 이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코치인 나 자신도 늘 더 좋은 사람이 되고 싶어 하고, 고객 역시 더 좋은 사람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에 빠져 들곤 합니다.

코치에게 고객이란 무엇인가? 이 답은 영화 <뷰티풀 마인드>의 대사에 있는 것 같습니다. “당신이 있기에 오늘 이 자리에 내가 있어요. 당신은 내 존재의 이유예요(You are the reason I am here today. You are the reason I am)”

성찰질문)

– 내가 지금보다 더 좋은 사람이 되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면 그 마음은 어디 것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하나요?

– 평상 시 내가 존재하는 이유를 딱 하나만 든다면 그것은 무엇일까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2021년 기대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2021년 기대하고 있는 일은 새로운 영역으로 저를 확장하는 것입니다. 피터 드러커는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전쟁의 주체이었던 국가로서는 사회작동이 어렵다고 보고 새로운 축으로

수업소감 18

자신있게 말하기 강의에서도 잠깐 들었던 내용을 더 자세히 들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군대에서 배울 점이 많았던 선임. 후임도 생각이 났습니다. 제가 통신병으로 있을 때, 저는

수업소감 34

디자인학과에 재학하며 저의 생각을 남들에게 설득하고, 마음을 얻는 발표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다. 평소에도 어떻게 하면 남들에게 말을 잘 전달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수업소감 32

자신있게 말하기 첫 수업시간에도 중요하게 생각했던 what why how의 논리구조에 다시 한번 복기할 수 있었고, 메타인지의 중요성 또한 다시 느낄 수 있었습니다. 내가 한 말에

지금 이 순간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요?

​ 소중하지 않은 것은 없겠으나, 지금 이 순간 혼자 있다 보니 나다움으로 머무는 것이 가장 소중합니다. 나다움을 유지한다는 것은 내가 어디에 머물고 있는지 내 상태를

감사일기를 꾸준히 잘 쓰는 방법은?

첫째, 감사일기를 매일 쓰기로 마음 먹고, 일련번호를 부여하면서 만일 하루라도 건너뛰고 쓰지 않으면 다시 1번으로 돌아가는 방식을 사용했었습니다. (앞서 소개한 바 있습니다.) ​ 둘째로 감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