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칭도 생각과 앎을 다루는 비중이 크므로 공자의 9가지 생각(思)에 대한 내용을 활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를 코칭에 접목하기에 용이하게 아래 그림과 같이 8가지로 재정리하여 도해화하였습니다.

[생각 다루기 영역]

그림에는 4가지 상황, 즉 앎에 이르기 위해 관찰할 때, 사람들과 관계할 때, 곤궁할 때, 일을 할 때로 구분하였습니다. 각기 상황마다

2개씩 짝을 지어 대응행동을 언급하였습니다.

8가지 상황에서 생각을 챙기도록 돕는 질문세트를 아래와 같이 만들어보았습니다.

① 들을 때에는 귀 밝게 듣자.

à 질문 예) 그렇게 하신 좋은 이유가 무언가요?

② 볼 때에는 긍정적으로 밝게 보자

à 질문 예) 이 사건이 주는 긍정적인 면은 무엇일까요?

③사람을 대할 때에는 부드러운 표정과 공손한 자세로 대하자

à 질문 예) 상대방이 자신을 어떻게 대해주기를 바랄까요?

④사람을 대할 때에는 경건한 자세로 상대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마음으로 대하자

à 질문 예)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의 어떤 점을 인정할 수 있을까요?

⑤화가 날 때에는 분풀이를 하고 났을 때 겪는 어려움의 결과를 생각하자

à 질문 예) 이런 상태가 계속된다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까요?

⑥잘 모를 때에는 묻도록 하자. 좋지 않은 쪽으로 추측하지 말자.

à 질문 예) 그리하신 것은 어떤 점을 고려하신 건가요?

⑦말할 때에는 핵심과 요점에 맞추어 표현이 충실한지 살펴보자

à 질문 예) 목표와 방향이 원하시는 것과 일치하나요?

⑧이득이 눈에 보이면 올바른지(義로운지) 먼저 살피자

à 질문 예) 지금 이 결정을 모든 사람들에게 공개한다면 어떻게 인식할까요?

<사례> 생각을 다루는 코칭사례

코칭고객 : 사람이 어디 쉽게 변하나요? 아무리 해봐도 안되거든요!!

코치 : 구성원이 좋게 변하도록 그동안 애를 많이 쓰셨군요. 어떻게든 문제가 사라지고 변화되기 바라시는 거 아닌가요?

코칭고객 : 그야 그렇죠!!

코치 : 그렇다면 상대가 변하는 게 쉬울까요? 아니면 팀장님이 지금과 다른 방식으로 해보시는 게 쉬울까요?

코칭고객 : 나도 바꾸기 어려운데 상대를 바꾼다는 건 더 어렵겠네요.

코치 : 하나만 더 여쭤볼게요. 그러면 팀장님이 자기 생각을 바꾸는 게 쉬울까요? 자기자신을 바꾸는 게 쉬울까요?

코칭고객 : 생각을 바꾸는 게 더 쉽겠네요! 제가 어떤 생각을 바꿔야하나요?

코치 : 구성원이 무언가 지금보다 더 잘 알면 더 잘 하거나 좋아지지 않을까요?

코칭고객 : 그렇겠네요.

코치 : 성장할 가능성이 전혀 없는 사람이 따로 있을까요? 아니면 아직 때가 덜 되어 그렇고, 어떤 계기가 되면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다고 보시나요?

코칭고객 : 그렇게 밝게 생각하는 게 저에게도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35

비교과 활동 6주차 강의 수강신청을 통해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강의를 신청하여 듣게 되었습니다. 사람을 만나는 것을 좋아하고, 인간관계를 잘 유지하기 위해 매우 노력하는

수업소감 4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라는 주제가 저에게는 매우 와닿는 주제였습니다. 저는 현재 오정근교수님께서 하시는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정말 행복하게 수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겉말보다 속말에 집중하는 코칭

「대학」 책 서두에 물유본말 (物有本末)이란 말이 나옵니다. 만물에는 본(本이 있고 말(末)이 있다는 뜻입니다. 본은 사람이고 말과 행동은 말에 해당합니다. 말은 끝이어서 흔히 조직에서 말단사원이라는 표현을

세상을 즐기며(낙천樂天) 살도록 돕는 코칭

‘TV 세계여행’이라는 프로그램을 보다가 감동적인 장면을 만났습니다. 서부 아프리카인 세네갈의 일명 조개섬이라고 불리는 조알 파디우트를 방문한 리포터가 섬사람에게 ‘이 섬에 사는 게 왜 좋은가요?” 하는

원하는 것을 얻도록 돕는 생각 코칭

코칭은 고객 스스로 과제해결을 위한 답을 찾아가는 대화 과정입니다. 코칭은 흔히 마중물로 비유되곤 합니다. 한 바가지의 마중물을 펌프 속으로 들어 붓는 이유는 그 안에 물이

긍정 인생태도로 전환을 돕는 코칭

있는 것을 없다고 하거나 좋을 것을 싫다고 하는 것은 일종의 태도 문제일 수 있습니다. 태도란 어떤 대상을 향한 마음가짐이나 자세를 말합니다. 우리가 세상을 크게 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