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 코칭은 시각적 혹은 서술적 결과물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커리어 준비 과정은 실제 커리어 실행과 연결된다. 취업이나 이직 등에는 자기 확신이나 자신감이 필요하다. 충분한 준비 과 정과 가시적 결과물을 통해 원하는 바를 얻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계별로 어떤 결과물이 도출되는지 인지하는 게 좋다.

코칭 세션 시간을 절약하면서도 효과를 높이는 방법을 알아보 자. 먼저, 코칭할 내용을 사전과제 형식으로 참가자에게 주는 방 법이다. 그리고 코치가 결과물 양식을 미리 준비해서 제공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코칭 산출물들은 결국 스토리텔링과 자기표현과 연결된다. 즉 스토리텔링이 중요하다. 아무리 좋은 과정을 거쳤다 하더라도 자 기표현을 잘못하면 낭패를 볼 수 있다. 따라서 탐색과정에서 자기 이야기를 충분히 할 기회를 제공한다. 모든 단계마다 결과물을 말 로 표현하게 하고, 잘 정리해 두도록 요청한다. 그것이 바로 그림 2의 커리어 코칭 Stage 3 실행 촉진 단계와 바로 연결이 된다.

코칭 과정을 한 단어로 정의한다면 결국 스토리텔링이다. 이슈도 스토리요, 풀어가는 과정에서 “그 순간 어떤 기분이었나요? 그래서 어떻게 반응했나요?”와 같은 질문도 스토리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세션과 세션 사이에서 어떤 시도를 했는지, 반응은 어쨌는지를 스토리텔링으로 묻고 답한다.

그 다음 세 션을 시작하면 또 스토리텔링을 하게 된다. 따라서 참가자가 변 화와 성취를 이룬 스토리를 말하지 않는다면, 코치 역시 성취를 얻기 어렵다. 코칭 과정에서는 이렇게 끊임없이 스토리를 나누 게 되므로, 나는 참가자에게 스토리텔링 공식을 알려준다. 스토리에 빠진 부분이 있으면 공식에 따라 질문하며 채우기도 한다. Chapter 3 ‛스토리텔링의 공식’을 참조하자.

– <오정근의 커리어코칭> 중에서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살면서 잘 한 일을 꼽는다면?

감사일기 쓰기가 가장 꾸준히 잘 해온 일입니다. 9년째 매일 감사일기를 쓰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래 쓰게 된 배경은 두가지인데, 하나는 저와의 원칙을 갖고 시작했었습니다. 오늘의 감사일기

집기양단과 코칭 주제 전환 (1)

3) 집기양단 (순임금의 지혜 중 세번째) 순임금은 집기양단(執其兩端)하는 사람입니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양쪽을 다 취한다는 말입니다. 양단(兩端)이라 함은 한쪽 끝을 잡으면 반대편 쪽 끝을

완전한 존재로 인식하는 코칭

# “코치님, 저는 문제가 많은 사람인가 봐요?” “무슨 말씀이세요?” “구성원이 시키는 대로 하지 않으면 화가 나고 화 내고 나면 후회스러우면서도 이런 일이 반복되니 감정 조절하지

자신을 나타내는 키워드 3개는?

나의 강점은? 3가지 이상 써볼까요? ​ 1) 통찰 – 단순화하거나 꿰뚫어 보려합니다. 관점전환도 잘하여 예컨대 학생들이 자신을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오늘

코칭의 효과

공부의 효과나 코칭의 효과는 같다. 공부하면 무엇이 달라질까? 유학의 고전인 은 공부의 효과를 파악하는 3가지를 소개했다. 바로 “밝아졌나?” “새로워졌나?” “좋은 상태에 머무 나?”다. 코칭을 마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