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기양단으로 코칭주제 전환(2)

이상은 양단(양쪽 끝)을 잡아서 이야기한 사례입니다. 수업 중 대놓고 조는 학생을 형편없는 학생으로 보는 것은 왜곡된 시각일 수 있습니다. 대놓고 졸았다고 판단하는 것은 나 중심 생각입니다. 질문해보면 그럴만한 사정이 있습니다. 집기양단을 생각하면서 나도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만일 부정적 시각의 한쪽 극단으로 몰고 간다면 몰고 가는 사람이나 당하는 사람이나 모두 불편하기 마련입니다. 이 사례는 머리 속에 집기양단이란 단어를 염두에 두고 대화를 했던 경우입니다. 앞의 은악이양선 사례에서도 ‘공부도 하면서 돈도 벌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질문 역시 양단을 붙잡고 물었던 사례였습니다.

공자도 집기양단했다고 논어에서 밝힌 바 있습니다. 공자가 말하길 “내가 아는 것이 있는가? 나는 아는 것이 없다. 누군가 내게 물어 오더라도 나도 잘 몰라서 멍 때릴 것입니다. 나는 이것인가 저것인가 양쪽 끝을 두들겨 보고 최선을 다 할 뿐입니다.”

<사례> 집기양단을 접목하여 주제를 확장한 사례

코칭고객 : 새로운 사업을 해야 할 타임인데 시도하려니 겁이 나네요

코치: 겁이 난다고 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규사업을 구상하는 의도는 무언가요?

코칭고객 : 지금 사업은 정체되어 돌파구가 필요해서 신규사업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코치: 그럼에도 선뜻 움직이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언가요?

코칭고객 : 성장은 정체되어 있지만 하던 사업이라 스트레스 덜 받고 좀 안주하고 싶다는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해서요.

코치: 이대로 가면 어떨까요?

코칭고객 : 마진이 갈수록 적어져서 생존에 대한 문제가 있을 것 같습니다.

코치: 고민이 많으시겠습니다. 신규사업을 추진하는 데에 대한 선한 의도는 정체된 사업의 돌파구 마련하고 싶다고 하셨는데 맞나요?

코칭고객 : 예.

코치: 기존사업을 그대로 운영하는 것에 대한 선한 의도는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싶다고 하셨는데 제가 맞게 들었나요?

코칭고객 : 예.

코치: 선택지를 넓혀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예컨대 신규사업을 하면서도 심리적 안정을 찾기, 다른 하나는 기존사업을 그대로 운영하면서도 경제적 안정을 찾기. 두 가지 중에서 어떤 선택을 하고 싶으세요?

코칭고객 : 신규사업을 하면서도 심리적 안정을 찾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는 생각이 올라오네요.

고객이 진정 원하는 방향에 맞추어 코칭을 전개하여 잘 마친 기억이 납니다. 돈도 벌면서 구성원이 행복을 느끼는 직장을 만들 수는 없을까? 이런 질문도 집기양단에 해당합니다. ‘그런 게 가능이나 하겠어?’하고 물으면 불가능한 답이 나오겠지만, 질문이 훌륭하면 훌륭한 답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상과 같이 『중용』에서 언급한 호문호찰, 은악이양선, 집기양단은 모두 생각의 틀을 바꾸는 방법이자 지혜를 얻는 방법입니다. 지혜를 얻는다는 것은 의심에서 벗어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또한 인간의 존재를 바라보는 인간관이 담겨있기도 합니다. 인간의 존재를 온전 혹은 완전하게 바라보는 코칭철학과 부합되기에 순임금의 지혜를 얻는 방법은 코칭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살필 찰(察)과 코칭

찰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관찰, 성찰, 통찰입니다. 아시다시피 찰(察)은 살핀다는 말입니다. ​ 살피기를 가장 잘 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엄마가 어린 아이 살피기를 잘하듯이 코칭 장면에서

사람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 우리가 사는 환경을 자연 혹은 사회라고도 한다. 자연 세계는 자연의 질서나 원칙에 의해 움직인다. 자연 세계에 대하여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거나, 혹은 “지구가

선후를 챙기도록 돕는 코칭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생각이 좁아지고 위축감이 들면서 자신감도 약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럴 때 누군가 그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주면 마음이 열리고 편안해집니다. 코칭의 목적이 힐링은 아니지만

수업소감 38

대학교에 신입생으로 입학하여 처음 겪는 사회생활에 어떤 식으로 사람들과 소통해야 할지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사람들과 소통할 때 소통방법을 배우고 싶어 이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세가지의

순임금의 지혜탐구 방법과 코칭

코칭고객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정답을 제공하는 컨설팅과 달리 코칭은 코치의 질문에 의해 코칭고객 스스로 최적의 답을 찾아내어 실천하도록 돕는 지혜를 다루는 대화과정입니다. 학문이라는 뜻은 원래

지금 이 순간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요?

​ 소중하지 않은 것은 없겠으나, 지금 이 순간 혼자 있다 보니 나다움으로 머무는 것이 가장 소중합니다. 나다움을 유지한다는 것은 내가 어디에 머물고 있는지 내 상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