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기양단으로 코칭주제 전환(2)

이상은 양단(양쪽 끝)을 잡아서 이야기한 사례입니다. 수업 중 대놓고 조는 학생을 형편없는 학생으로 보는 것은 왜곡된 시각일 수 있습니다. 대놓고 졸았다고 판단하는 것은 나 중심 생각입니다. 질문해보면 그럴만한 사정이 있습니다. 집기양단을 생각하면서 나도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만일 부정적 시각의 한쪽 극단으로 몰고 간다면 몰고 가는 사람이나 당하는 사람이나 모두 불편하기 마련입니다. 이 사례는 머리 속에 집기양단이란 단어를 염두에 두고 대화를 했던 경우입니다. 앞의 은악이양선 사례에서도 ‘공부도 하면서 돈도 벌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질문 역시 양단을 붙잡고 물었던 사례였습니다.

공자도 집기양단했다고 논어에서 밝힌 바 있습니다. 공자가 말하길 “내가 아는 것이 있는가? 나는 아는 것이 없다. 누군가 내게 물어 오더라도 나도 잘 몰라서 멍 때릴 것입니다. 나는 이것인가 저것인가 양쪽 끝을 두들겨 보고 최선을 다 할 뿐입니다.”

<사례> 집기양단을 접목하여 주제를 확장한 사례

코칭고객 : 새로운 사업을 해야 할 타임인데 시도하려니 겁이 나네요

코치: 겁이 난다고 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규사업을 구상하는 의도는 무언가요?

코칭고객 : 지금 사업은 정체되어 돌파구가 필요해서 신규사업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코치: 그럼에도 선뜻 움직이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언가요?

코칭고객 : 성장은 정체되어 있지만 하던 사업이라 스트레스 덜 받고 좀 안주하고 싶다는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해서요.

코치: 이대로 가면 어떨까요?

코칭고객 : 마진이 갈수록 적어져서 생존에 대한 문제가 있을 것 같습니다.

코치: 고민이 많으시겠습니다. 신규사업을 추진하는 데에 대한 선한 의도는 정체된 사업의 돌파구 마련하고 싶다고 하셨는데 맞나요?

코칭고객 : 예.

코치: 기존사업을 그대로 운영하는 것에 대한 선한 의도는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싶다고 하셨는데 제가 맞게 들었나요?

코칭고객 : 예.

코치: 선택지를 넓혀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예컨대 신규사업을 하면서도 심리적 안정을 찾기, 다른 하나는 기존사업을 그대로 운영하면서도 경제적 안정을 찾기. 두 가지 중에서 어떤 선택을 하고 싶으세요?

코칭고객 : 신규사업을 하면서도 심리적 안정을 찾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는 생각이 올라오네요.

고객이 진정 원하는 방향에 맞추어 코칭을 전개하여 잘 마친 기억이 납니다. 돈도 벌면서 구성원이 행복을 느끼는 직장을 만들 수는 없을까? 이런 질문도 집기양단에 해당합니다. ‘그런 게 가능이나 하겠어?’하고 물으면 불가능한 답이 나오겠지만, 질문이 훌륭하면 훌륭한 답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상과 같이 『중용』에서 언급한 호문호찰, 은악이양선, 집기양단은 모두 생각의 틀을 바꾸는 방법이자 지혜를 얻는 방법입니다. 지혜를 얻는다는 것은 의심에서 벗어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또한 인간의 존재를 바라보는 인간관이 담겨있기도 합니다. 인간의 존재를 온전 혹은 완전하게 바라보는 코칭철학과 부합되기에 순임금의 지혜를 얻는 방법은 코칭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존재와 본성에 초점을 두는 코칭

「대학」 책에 보면 본本과 말末에 대한 말이 나오는데 본(本)은 존재(being)에 해당합니다. 코칭은 존재와 사고방식에 집중합니다. 이것은 철학이 존재론과 인식론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것과 유사합니다. 코칭에는 [삼중고리헉습

좋은 피드백과 더 좋은 피드 포워드 코칭

성과평가를 마치고 나면 성과면담코칭을 반드시 하도록 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종의 피드백을 하라는 취지입니다만 저항이 만만치 않습니다. 고과에 대해 만족해 할 사람은 최고 고과를 받은

수업소감 39

말할 떄는 나의 표현을 보고, 들을 때는 선한 의도를 들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선한 마음으로 선하게 바라보면 선함이 유지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말을

살면서 얻은 가장 큰 교훈은?

“죽을 뻔 했네” “오래 사세요” 하는 말은 내가 사는 세상이 좋은 세상임을 증명하는 것이고, 우리는 억지로 사는 것이 아니라, 항상 선택지 중 가장 나은 것을

<놀면 뭐하니> 에 등장한 파워 퀘스쳔

에 고등래퍼 이영지가 초대손님으로 출연하여 올해 스무 살이 되었다고 하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갸할지 지혜를 구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같은 초대손님으로 출연한 장항준 감독이 연극영화과 학생들로부터 진로에

<미스 트롯 2>와 감동스토리

저는 대학 교양수업에서 자기 스토리, 그 중에서도 자기를 사랑할만한 스토리를 말하도록 기회를주고 있고, 대학원 철학수업에서도 이론 자체보다 학습주체자인 자기이야기를 더 많이 하도록 합니다. TV조선의 미스트롯2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