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감정을 알아차리게 돕는 감정코칭

우리는 감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자기 감정을 오래하고 그 감정에 속기도 합니다. 예컨대 미움이 진짜 감정이 아니라는 겁니다. 왜 미운가? 미움이란 것이 어떻게 생겼는지 들여다보면 이내 사랑과 만나게 됩니다.

세상을 살리는 것은 사랑입니다. 사람을 살아나게 하는 것도 사랑입니다. 사랑을 놓치는 순간 스스로 어두워져서 세상을 좁게 보게 됩니다. 그 순간은 바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입니다. 원래는 누구나 사랑 덩어리인데, 자기 욕망이나 욕구가 좌절되면 거기에 생각을 놓치면 자기다움에서 멀어지게 됩니다.

<사례> 미운 게 진짜 미운 게 아니라는 걸 알아차린 사례

코칭고객 : 딸아이가 말도 안 듣고 고집 피워서 미워 죽겠네요.

코치 : 많이 실망스러운가 보네요.

코칭고객 : 예. 우리 아이는 좀 특이해요. 아니 아주 별난 것 같아요.

코치 : 아이를 잘 키우고 싶은 마음이 그만큼 크신가 보네요.

코칭고객 : 그렇죠. 그런데 그게 마음대로 안되니…

코치 : 아이가 밉다고 하셨는데 그 미움이 어디에서 왔을까요?

코칭고객 : 그 거야 그 아이가 하는 행동들 때문에 그렇죠.

코치 : 그러니까 어머니 마음에 들지 않아 밉다고 하시는 것 아닌가요?

코칭고객 : 마찬가지 이야기 아닌가요?

코치 : 제 이야기에 동의가 되시는지 잠깐 들어보시겠어요?

코칭고객 : (끄덕끄덕)

코치 : 따님에게 사랑을 주고 싶은데 그것이 작동이 안되어 미움이 생긴 것 아닐까요?

코칭고객 : 예. 그렇죠.

코치 : 그러니까 원래 미운 것이 아니라 지금 밉다고 하는 것이 어머니의 사랑에서 온 것 아닐까요?

코칭고객 : 그건 그렇네요.

코치 : 미움이 사랑에서 온 것이다,라는 말에 동의하시니 감사하구요, 어떤 느낌이 드세요?

코칭고객 : 무슨 말인지 알겠어요.

코치 : 만일 따님이 문제가 되는 행동을 하지 않으면 그래도 미울까요? 어떨 것 같나요?

코칭고객 : 그러면 좋겠어요. 저도 잔소리를 안 하게 되고 웃으며 대할 수 있죠.

코치 : 아까 미워 죽겠다는 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코칭고객 : 진심은 아니네요. 제가 스트레스 때문에 그런 말을 했나봐요.

코치 : 그렇다면 따님도 스트레스를 받아서 삐뚜로 나간 건 아닐까요?

코칭고객 : 제가 아이에게 바라는 게 강할수록 저도 세게 말했었네요.

코치 : 엄마가 잔소리하고 싫은 표정으로 대할 때 따님은 어떤 생각이나 느낌을 갖게 될까요?

코칭고객 : 딸아이도 엄마가 밉다고 생각했겠네요.

코치 : 그렇다면 따님이 자기 생각을 바르게 전환하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코칭고객 : 저도 말로 자극하지 말아야 하겠네요.

코치 :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코칭고객 : 화가 나가나 짜증이 나도 아이가 미워서 그런 게 아니라 사랑해서 그런 것이다, 라는 생각을 하면 저도 참을 수 있겠어요. 좀 기다려줄 수 있겠네요.

코치 : 하하 마음에 여유가 좀 생기시나 봅니다.

코칭고객 : 예. ㅎㅎ

코치 : 따님이 엄마 말을 잘 받아들이도록 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코칭고객 : 제가 이제부터 조급하게 생각하지 않으려고 해요. 아이도 공부하느라 스트레스가 많을 텐데 제가 제 방식대로 하려고 했던 것 같네요. 저도 공감해주고 위로나 격려의 말을 해주어야 한다는 걸 알면서도 제가 그런 것들을 놓쳤었네요.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영화 <미나리>를 통한 깨달음

미나리는 아무 데서나 잘 자란다. 미나리는 김치를 해 먹어도 좋고 찌개에 넣어 먹어도 되고 국에 넣어 먹어도 좋다. 미나리라는 영화는 70~ 80년대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2)

두 번쩨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감사는 당연했던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저는 그동안 제 힘으로 사는 줄 알았습니다. 세상 돌아가는 모든 것을 당연하게 생각해왔지

코치로서 가치와 소명은 무엇?

코칭은 앎을 다룹니다. 코치다운 코치로서 앎이 소중하기에 배움을 귀하게 여깁니다. 저도 그렇지만 누구나 더 잘 알면 더 잘 할 수 있습니다. ‘앎을 사랑’하기에 ‘배워서 남

[오정근 코치의 질문의 힘] 뭐라고 불러드릴까요?

[한국강사신문 오정근 칼럼니스트] 호기심이 많던 둘째 딸아이가 초등학생이던 어느 날 내게 이렇게 물었다. “목사는 목사님, 신부는 신부님이라고 하면서, 왜 중은 중님이라고 부르지 않아?” 그 질문

알아차림과 직관을 활용하는 코칭

우리가 앎을 챙기는 방식 가운데 가장 고차원적인 것이 직관입니다. 코칭을 할 때 특히 자신의 직관을 믿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직관은 추리적 사고 과정을 뛰어 넘습니다.

집기양단으로 코칭주제 전환(2)

이상은 양단(양쪽 끝)을 잡아서 이야기한 사례입니다. 수업 중 대놓고 조는 학생을 형편없는 학생으로 보는 것은 왜곡된 시각일 수 있습니다. 대놓고 졸았다고 판단하는 것은 나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