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와 본성에 초점을 두는 코칭

「대학」 책에 보면 본本과 말末에 대한 말이 나오는데 본(本)은 존재(being)에 해당합니다. 코칭은 존재와 사고방식에 집중합니다. 이것은 철학이 존재론과 인식론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것과 유사합니다.

코칭에는 [삼중고리헉습 triple loop learning ]이라는 모델이 있습니다. 이것은 결과가 좋지 않을 때 존재방식-사고방식-행동방식의 사이클에서 어디에 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일깨워줍니다. 가정이나 직장에서 피드백을 할 때 행동을 문제삼고 변화를 도모하지만 실패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행동을 문제 삼으면 상대의 행동은 문제행동이 되고, 그 사람은 문제행동을 하는 사람으로 낙인 찍고 대처하게 됩니다.

우리가 변화시키고자 하는 것은 행동이지만 행동에 초점을 맞추면 실패하기 쉽습니다. 행동은 말 그대로 말단(末端)에 해당합니다. 존재에 대한 인식, 예컨대 원래 좋은 사람, 원래 잘하려고 하는 사람으로 인식을 하면서 상대하면 상대방의 사고방식도 활짝 열리면서 의식이 확장되면서 자신의 행동을 바꾸려 합니다.

<사례> 존재방식에 초점을 두는 코칭

코칭고객 : 지금 본부장님이 저를 픽업해서 이곳으로 왔는데, 지내다 보니 너무 힘드네요.

코치 : 같이 일하자고 픽업하셨다니 눈에 잘 띄셨나보네요. 본부장님이 팀장님의 어떤 점에 높이 평가하셨나요?

코칭고객 : 제가 강단도 있고 물불 안 가리면서 일을 끝까지 해내는 정신력이 좋다고 하셨어요.

코치 : 그렇다면 윗 분들이 좋아하실만 하겠네요. 지금은 어떤가요?

코칭고객 : 제가 일하는 방식이 마음에 안 드는지 자꾸 지적을 하네요. 저는 분석을 거쳐 그에 맞는 최적의아이디어를 결합해서 완벽하게 제안서를 만들어야 타당하다고 생각하는데 무조건 빨리빨리 해내라고만 하니 답답하네요.

코치 : 팀장님은 완벽을 추구하시는 분이시네요. 그러다 보니 시간이 필요하구요.

코칭고객 : 제가 분부장님에게 속은 것 같아요.

코치 : 무슨 말씀인가요?

코칭고객 : 인간성도 좋고 사람들에게 잘 대해주는 사교적인 스타일인데 같이 일을 해보니 그게 아니었어요. 사람은 어쩔 수 없나봐요?

코치 : 어떻게 되기를 바라시나요?

코칭고객 : 저도 스트레스를 안 받고 본부장님과 소통방식이나 관계도 좋아지면 좋겠어요.

코치 : 혹시 본부장님 스타일이 변했다면 어떤 이유가 있었을까요?

코칭고객 : 매출압박이 심할 거에요. 지난 반기동안 실적이 많이 추락했거든요. 하지만 우리회사만 그런 건 아니구요, 이쪽 분야 시장이 환경적 요인으로 많이 위죽됐거든요.

코치 : 그렇다면 책임자로서 정신적 압박감이 크겠네요.

코칭고객 : 그렇긴하죠. 그러니까 더욱 분석이 필요하고 최적의 제안을 해야 하는데, 본부장은 제안서 양을 늘려 시장을 확보하자고 하는 겁니다.

코치 : 그러면 어떻게 대응하시나요.

코칭고객 : 설득하려고 애는 쓰지만 말을 듣지 않아요. 계속 푸시를 가할뿐이에요. 참 매정한 사람이에요. 직원들 고생하는 것에 대해서는 알아주기는 커녕 주말도 없이 일을 하라며 매몰차게 밀어붙이거든요. 직원들이 탈진하는 상태인데도 위로나 격려는 없어 인정머리도 없는 사람이에요. 그런 사람인걸 제가 몰랐던 겁니다.

코치 : 그렇다면 많이 실망스러우시겠네요.

코칭고객 : 예 맞아요. 실망스럽고 그만둘까 싶기도 해요.

코치 : 제가 말씀 들으면서 한가지 드리고 싶은 것이 있는데 괜찮을까요?

코칭고객 : 예? 무슨…

코치 : 원래 안 좋은 사람인데 그걸 몰랐고, 이제 알게 되었다고 하셨잖아요?

코칭고객 : 예 그랬죠.

코치 : 원래 나쁜 사람이 있을까요? 아니면 원래 좋은 사람인데 스트레스 받다 보니 변형된 행동을 하는 걸까요?

코칭고객 : 사람들이 사회적 행동을 하니까 포장된 모습으로 자기 생동을 속일 수 있잖아요? 그런데 스트레스를 받으면 원모습이 나오는 것 아닌가요?

코치 : 그렇다면 누군가 팀장님을 보고 원래 나쁜 사람이라고 이야기한다면 어떤 기분일까요?

코칭고객 : 기분이 안좋겠죠.

코치 : 그렇죠? 일부러 나쁜 의도로 일을 하거나 사람을 대해본 적이 있으신가요?

코칭고객 : 별로 없네요. 다만 스트레스 받으면 나도 모르게 좀 거칠어지기는 하죠.

코치 : 그렇다면 팀장님의 본성이 거친 사람일까요? 아니면 좋은 사람일까요?

코칭고객 : 그렇게 질문하시니 본성은 좋은 것이라는 것을 인정할 수가 있네요. 그래도 우리 본부장님은 좀 이상한 사람이에요.

코치 : 좋습니다. 본부장님 성격이 이상한 사람이라는 그 말씀이 맞다고 할게요. 그러면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코칭고객 : 기분이 안 좋죠.

코치 : 그런데 만약 본부장님이 실적 때문에 압박감으로 스트레스가 심해져서 살아남으려고 밀어붙인다고 생각하면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코칭고객 : 그렇다면 안타깝고 안쓰럽네요.

코치 : 어떤 느낌으로 지내시는 게 좋을까요?

코칭고객 : 후자네요. 제 마음 안에 긍휼히 여기는 마음이 사라졌었다는 생각으로 반성이 올라오네요. 본부장님도 많이 힘드셨을 텐데 내가 더 힘들다고만 생각하고 있었네요. 제가 먼저 변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저를 깨우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집기양단과 코칭 주제 전환 (1)

3) 집기양단 (순임금의 지혜 중 세번째) 순임금은 집기양단(執其兩端)하는 사람입니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양쪽을 다 취한다는 말입니다. 양단(兩端)이라 함은 한쪽 끝을 잡으면 반대편 쪽 끝을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짧은 시간에 코칭고객의 인식 변화를 돕는 게 핵심입니다. 인식전환은 세가지 관점에서 접근하면 수월합니다. 철학에서 다루는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 이 세가지 관점에서 고객이 어떻게 말을

커리어코칭의 기본 질문

아래 그림은 폴 고갱의 ‘우리는 어디서 왔으며. 누구이고. 어디로 가는가?’라는 제목의 작품이다. 이 제목 자체는 우 리에게 큰 울림을 준다. 삶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이기 때문이다.

AI와 함께하는 미래의 글쓰기

안녕하세요. 오정근입니다. 요즘은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우리 일상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죠. 그 중에서도 글쓰기에도 AI가 도움을 주고 있는데요. 오늘은 저희가 어떻게 AI와 함께 글을 쓸

기분 좋게 주고 받는 피드백 코칭

흔히 피드백을 하다가 상처를 주고 받는 일이 생깁니다. 그런 일을 몇 차례 겪다 보면 피드백을 주고 싶은 사람은 망설이게 되고, 주변사람의 성장을 돕고자 하는 의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