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를 알아주는 동기부여 코칭

코칭이나 티칭이나 리더십이나 공통적인 것은 사람을 살리는 일입니다. 사람의 기운을 살아나게 하는 것을 흔히 동기부여라고 합니다. 사람을 살리는 마음을 한자로 생물지심(生物之心)이라고 합니다. 이 말은 인(仁) 즉 사랑이란 만물을 살아나게 하는 마음으로 이해하면 좋겠습니다. 자기가 자기를 살아나게 하는 것을 자기동기부여(Self motivation)라고 합니다. 리더입장에서는 구성원 스스로 동기가 충만하기를 바라지만 쉽지 않습니다. 그렇게 만드는 것이 리더십의 정수가 아닐까 합니다.

논어에 본립도생을 다시 생각해봅니다. 본(本)이 서야 길이 난다, 다시 말해 본(존재, Being)이 확실해지면 도(道, 좋은 감정이나 기운, 길)이 생긴다고 하겠습니다. 따라서 동기부여는 존재(정체성, 가치관, 신념, 욕구 등)를 알아주는 데서 시작한다고 하겠습니다.

<사례> 나이가 많은 팀원을 리딩하기 어려워 하는 리더 코칭

팀장 : 요즘은 팀장을 서로 하려고 하지 않거든요. 그런 이유 중 하나가 나이가 더 많은 선배팀원들이 세명이 있는데 함께 일을 하기가 힘든 것도 있어요. 입사 선배니까 신경도 쓰이고 특히 어떤 사안이 문제가 될 때 말하기도 쉽지가 않네요.

코치 ; 그러시겠네요.

팀장 : 잘한 것에 대해서는 고맙다고 말하면 되는데, 피드백을 했는데도 나아지지 않으면 여간 불편한 게 아닙니다.

코치 ; 정말 고충이 많겠습니다. 직접 말하지 않고도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팀장 : 그렇네요. 그 선배랑 친한 분에게 넌지시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좋겠네요. 진작 이런 생각을 할 수도 있었는데 이제 생각이 나네요.

코치 ; 도움을 청할 분이 계시다니 다행입니다. 주변에 우호적인 분들이 많이 계신가 봅니다.

팀장 : 많지는 않지만 통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선배 팀원들을 동기부여하는 방법 때문에 고민하고 있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코치 ; 지금 상태는 어떤가요?

팀장 : 자기 할 일만 하고 선배로서 좋은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 같지는 않아요.

코치 ; 그 분들이 존재감을 갖기를 바라는 마음이 느껴지네요.

팀장 : 그런가요? 맞아요. 그러면 좋겠어요.

코치 ; 어떤 역할을 기대하시나요?

팀장 : 존재감이라고 하니 떠오르는 생깁니다. 경험도 많고, 판단력도 좋으니까 후배들이 능력면에서 인간적인 면에서 고참선배들을 보다 믿고 따른다면 육성차원에서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코치 ; 말씀 들어보면 팀장님이 사람들을 정말 소중하게 생각하는 분이시네요. 언제까지 그런 모습이 이루어지면 좋을까요?

팀장 : 한달 후면 좋겠네요.

코치 ; 혹시 그렇게 되길 바라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팀장 : 더 큰 일에 도전해보고 싶어요. 그 분들이 중심역할을 해주면 나머지 팀원들은 쉽게 따라올 것 같네요.

코치 ; 한달 후에 선배팀원이나 팀 분위기가 원하는 모습 그대로 이루어졌다고 상상해보면 기분이 어떤가요?

팀장 : 너무 좋습니다. 팀 호흡이 잘 맞아지니까, 본부장님에게 새로운 목표에 도전하겠다고 제가 선제적으로 말씀드리는 것을 상상하니까 저도 당당하고 기분이 좋아지네요. 제가 존경하는 분이니까 기쁘게 해드리고 싶거든요.

코치 ; 정말 생각이 아름답습니다. 상상을 더 해보겠습니다. 어떤 것이 결정적으로 선배팀원들 마음을 움직이게 만들었는지 꼽아본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팀장 : 글쎄요. 에~ 금방 떠오르지는 않으니 생각할 시간이 더 필요하네요.

코치 ; 그 분 입장이 되어본다면 그 분들 심정이 어떨 것 같나요?

팀장 : 후배 팀장 밑에서 일한다는 것을 받아들이긴 하지만 자존심이 상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저도 그걸 건드리지 않으려고 했고요. 생각해보니 선배팀원이 저나 후배들로부터 존중 받는다는 느낌을 갖게 된 것이 포인트인 것 같아요. 제가 공개적으로 선배팀원을 자주 추켜세우는 것이 중요하고요. 그리고 따로 만나 풍부한 경험을 나누어 달라고 부탁하고 어려운 상황에 대해 조언도 부탁하면 존재감을 느낄 것 같네요.

코치 ; 제가 들어보니 감동입니다. 언제 시작하실 건가요?

팀장 : 바로 내일부터 시작할 겁니다. 제게 답을 주어서 감사합니다.

코치 ; 스스로 만족할만한 답을 쉽게 찾아내신 걸 보면 생각하는 힘이 파워풀합니다. 축하드립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6

강의를 시작하실 때 1학기동안 들었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이 새록새록 생각났습니다.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이 힐링 수업인 이유가 ‘이론수업을 통해서 사람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마음을

완전한 존재로 인식하는 코칭

# “코치님, 저는 문제가 많은 사람인가 봐요?” “무슨 말씀이세요?” “구성원이 시키는 대로 하지 않으면 화가 나고 화 내고 나면 후회스러우면서도 이런 일이 반복되니 감정 조절하지

영화 <미나리>와 <미생> 속 갈등

영화 를 보면 부부 갈등 장면이 여러번 나온다. 부부가 다투는 원인은 아직 살만하니까 그렇다는 점이다. 맞는 말이다. 왜냐하면 영화 후반부를 보면 알 수 있다. 오히려

『오정근의 커리어 코칭』 출판사 리뷰

■ 출판사 리뷰 저자의 커리어 코칭 강의 이론, 실제 커리어 코칭 경험으로 집대성한, 커리어 코칭 바이블! 코칭이 대세다. 코칭은 티칭, 컨설팅, 멘토링과 다르다. 코치는 참가자와

수업소감 40

나는 내성적인 사람이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게 쉽지 않다. 그래서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강의를 듣고 관련 정보를 얻고 싶었다. 오늘 강의를 듣고 많은 것을

자신을 나타내는 키워드 3개는?

나의 강점은? 3가지 이상 써볼까요? ​ 1) 통찰 – 단순화하거나 꿰뚫어 보려합니다. 관점전환도 잘하여 예컨대 학생들이 자신을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