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끝그림을 먼저 챙기는 코칭

모든 일에는 끝과 시작이 있습니다. 차를 운전할 때에도 목적지를 먼저 정하고 풀발합니다. 차를 운전하면서 뒤를 보고 운행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대화도 마찬가지입니다. 대인관계에서도 함께 좋은 관계유지가 목표라면 앞을 봐야 합니다. 지나간 것은 지나간 겁니다. 잘잘못을 따지면 상처가 생기기 쉽습니다.

무언가 불편한 일이 벌어진다면 사유종시(事有終始) 라는 말을 새기면 좋습니다.. 「대학」 책에 나오는 말로써 밀 그대로 “모든 일에는 끝과 시작이 있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시작과 끝이 있다고 하질 않고 끝과 시작이 있다는 말입니다. 선후를 아는 것이 올바른 도(道)라고 했으니 종(終), 즉 끝그림을 먼저 그려보는 것이 순리에 맞다는 말입니다. 집을 지을 때에도 조감도를 먼저 그리듯이 말입니다.

인사평가를 하고 난 후 불만이 가득한 구성원이 찾아와서 따지는 경우 리더들이 이런 이슈를 다루기가 곤란하다고 합니다. 인사평가를 공정하게 열심히 해봐야 결과를 받아 들고 기분이 좋은 사람은 10%밖에 안되는데 이런 걸 굳이 왜 하느냐며 볼멘소리가 나옵니다. 따라서 앞서 나가는 기업들은 인사평가제도를 폐지하기에 이릅니다.

<사례> 평가결과를 납득시키지 못하는 리더 코칭 사례

팀장 : 제가 공정하게 평가했는데 그걸 인정하지 않고 계속 따지는 겁니다.

코치 : 난처하셨겠네요. 어떻게 대처하셨나요?

팀장 : 자기 고과가 왜 낮은지 제가 솔직하게 말해주었거든요. 너는 너를 보지만 나는 전체를 본다고 했거든요. 그랬더니 제3자랑 비교하면서 수긍할 수 없다는 거에요.

코치 : 납득시키느라 애쓰셨겠네요.

팀장 : 그래서 업무 비중이 다르다고 말해주었어요. 그랬더니 뭐라고 말하는지 아십니까? 그럼 왜 처음부터 그런 비중 있는 일을 자기에게는 왜 안 주었냐는 겁니다. 기가 막히더군요. 일 잘하는 친구에게 비중 있는 업무를 맡기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닙니까?

코치 : 그 직원과의 관계가 어떻게 되길 바라시나요?

오해없이 서로 신뢰하는 사이가 되면 좋겠어요.

코치 : 궁금해서 그러는데 그 직원이 그동안 잘 해온 것은 무엇인가요?

팀장 : 그 친구도 자기 업무에 충실하게 잘 하긴 했어요. 누구도 맡지 않으려는 업무도 처리해주었고, 때로 분위기 메이커로 역할도 잘 했고요.

코치 : 혹시 그런 이야기는 하셨는지요?

팀장 : 아뇨. 그런 말을 할 틈이 없었어요.

코치 : 지금 이런 말부터 시작했더라면 어땠을까요?

팀장 : 아~ 그렇네요. 그렇게 시작했더라면 이야기가 달라졌을 것 같네요. 왜 그런 생각을 못했을까요? 이제서야 후회가 되네요.

코치 : 제가 볼 때 팀장님이 그 직원에 대해 신뢰하는 마음이 충분한데 그 마음이 전달되자 못했나 봅니다. 그래서 안타까워하시는 것 같구요.

팀장 : 예 맞습니다.

(2부 추후 계속)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고전 속에 담긴 코칭의 원리

[불교공뉴스-대전교육] 대전광역시교육청(교육감 설동호)은 6월 8일(목) 15:30, 시교육청 대강당에서 에듀-코치와 에듀-코칭 연구·선도학교 교직원 등 220여명을 대상으로 에듀-코칭 보급과 코칭 문화 확산을 위한‘제3회 에듀-코칭 아카데미 특강’을 실시했다.

코칭의 효과, 변화의 확산

코칭의 효과는 고객의 인식 전환에 있고, 가장 이상적인 것은 고객의 주변사람들이 고객의 모습을 보고 따라서 변화되어 가는 것입니다. 예컨대 코칭고객이 잘 하고 있으면서 스스로 보잘

수업소감 24

마음을 얻는 말하기가 무엇인지 깊게 생각해볼 수 있는 특강이었다. 쉽게 말을 먼저 걸지 못하는 나를 돌아볼 수 있었고, 첫인사와 첫인상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수업에서 배우고

호문호찰과 공감적 경청

​ 『논어』의 가장 마지막 구절이 부지언(不知言)으로 끝을 맺는데, ‘사람의 말을 못 알아들으면 사람을 안다고 할 수 없다’고 했다. 이처럼 말(言)을 알아야 그 사람에 대해 바로

앎을 다루는 감정코칭

코치 : 그래서 정말 화가 많이 나셨던 것이군요. 코칭고객 : 예. 그렇죠. 제 이야기를 잘 들어서 아시겠지만, 그 사람이 그렇게 행동하는데 제가 화가 안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