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것을 얻도록 돕는 생각 코칭

코칭은 고객 스스로 과제해결을 위한 답을 찾아가는 대화 과정입니다. 코칭은 흔히 마중물로 비유되곤 합니다. 한 바가지의 마중물을 펌프 속으로 들어 붓는 이유는 그 안에 물이 있다는 것을 믿기 때문입니다. 그 사람 내부에 답이 있다는 믿음이 있기에 코치는 코칭

고객에게 질문을 합니다. 코칭을 줄탁동시로도 비유합니다. 문제상황에서 벗어나려고 싶어하는 코칭고객과 밖에서 질문으로 생각을

두드려주는 것이 마치 알 속의 새끼 병아리와 어미 닭이 안팎으로 부리로 쪼는 그것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맹자가 ‘생각하면 얻고 생각하지 않으면 얻지 못한다 (사즉득지 불사즉부득야, 思則得之 不思則不得也) ’고 하였듯이 질문은 생각을 열어주는 열쇠와 같습니다. 질문은 생각을 열어주기에 코칭에서의 꽃은 질문이라고 합니다. 소크라테스가 그랬던 것처럼 코칭은 질문을 통한 대화 과정입니다. 소크라테스가 집요하게 질문을 했던 이유는 부지(不知 : 잘못 앎)를 밝혀내어 앎에 이르도록 돕기 위해서 였습니다. 다시 말해 그는 무지(無知 : 모름)를 공략한 것이 아니라 잘못(不) 알고 있는 지(知)을 캐내어 앎에 이르는 길을 도와준 현인이었습니다.

<사례>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코칭사례

코치 : 지금 하는 일이 힘들어 사표를 내고 다른 직장을 알아보고 싶으시단 말씀이죠? 직장을 그만두고 새로운 걸 찾아보겠다는 말씀이네요.

코칭고객 : 예

코치 : 사표는 아무 때나 낼 수 있으니까, 사표 내는 대신에 다른 생각도 해보면 좋을 것 같네요.

코칭고객 : 무슨 생각을 하면 좋을까요?

코치 : 다른 직장에 가도 일이 힘들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지 않을까요?

코칭고객 : 예 그렇겠죠(한숨)

코치 : 그만두는 것을 잠시 멈추고 찾아보기를 다른 차원에서 해보면 어떨까요? 예를 들면 지금 하던 일을 멈추고 다른 직무를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코칭고객 : 그건 지금 쉽지 않을 것 같아요.

코치 : 아~ 그러시군요. 그럼, 멈추고 찾아보기를 이렇게 해보면 어떨까요? 지금 하던 생각을 멈추고 다른 방법을, 그러니까 업무에 적응을 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찾아보면 어떨까요?

코칭고객 : 해도 안되는 것 같아요. 지금은 터널에 갇혀 있는 기분이에요.

코치 : 터널에 갇혀 있던 기간이 얼마나 되어있다고 생각이 드나요?

코칭고객 : 예. 6개월 정도 된 것 같아요.

코치 : 예~. 몇 발자국만 걸어 나가면 터널 밖이라고 생각해 보시죠. 기분이 어떨 것 같나요?

고 날아갈 듯한 기분일 것 같아요.

코치 : 아! 참 좋으네요. 그런 기분 상태가 계속 유지되면 좋겠습니다.

코칭고객 : 저도 그렇게 되면 좋겠어요.

코치 : 적응을 잘 하기 위해 누군가에게 도움을 청한다면 누가 좋을까요?

코칭고객 : 음…그동안 혼자서만 끙끙댔었지, 선배들의 도움을 얻어 적극적으로 해결하려고 하질 않았네요. 그런 방법을 더 찾아보고 그래도 안되면 사표를 검토하는 것이 맞겠습니다.

코치 : 아직 시도해보지 않은 방법 가운데 또 해볼만한 것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2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고 이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을 들었습니다. 특강에서 우리들이 수업시간에 했던 답변이 나왔던 것이 굉장히 신기했고 아~ 그 때 교수님이

코치의 철학과 코칭의 원리

수업참여 소감은 프로그램 소개 아래에 있습니다. ​ 수업은 Zoom으로 진행이 되었고 37명의 코치님이 참석하셨는데 마치면서 수업 소감을 아래와 같이 작성해주셨습니다. ​ – 오늘 좋았던 걸

존재와 본성에 초점을 두는 코칭

「대학」 책에 보면 본本과 말末에 대한 말이 나오는데 본(本)은 존재(being)에 해당합니다. 코칭은 존재와 사고방식에 집중합니다. 이것은 철학이 존재론과 인식론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것과 유사합니다. 코칭에는 [삼중고리헉습

수업소감 30

강의를 통해 지금까지 저의 말하기를 돌아보며 가장 크게 느낀 것은 제가 저의 마음을 전하는 말하기를 하는 데 급급해서 상대의 마음을 얻는 것을 놓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선한 의도 읽기로 인식을 전환하는 코칭

「대학」 책에는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라는 말이 나옵니다.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중 평천하라는 말 뜻을 풀이한 내용을 보면 윗사람 모시면서

질문을 통해 피드백을 전하는 코칭

우리는 피드백을 할 때 행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왜냐하면 행동의 변화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상대의 행동에 초점을 두고 변화를 요청하면 상대방은 자칫 간섭이나 통제로 느껴지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