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치 : 그래서 정말 화가 많이 나셨던 것이군요.

코칭고객 : 예. 그렇죠. 제 이야기를 잘 들어서 아시겠지만, 그 사람이 그렇게 행동하는데 제가 화가 안 날 수 있겠습니까?

감정의 원인은 자기 안에 있지 밖에 있지 않습니다. 납득이 안 되는 상대 행동은 촉발된 요인일 뿐이요, 화가 났다면 그 이유는 자기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논어」에는 생각을 챙기는 말 가운데 ‘분사난(忿思難)’’이란 말이 나옵니다. 화가 날 때는 화풀이로 인해 더 곤란하게 되는 상황을 생각하라고 가르쳐줍니다. 그렇다면 아래 두 가지 중 어느 것이 바람직할까요?

• 화가 나니까 화를 낸다.(A)

• 무엇이 납득이 안 되어 화가 나는지 알아 본다.(B)

감정은 곧 이성입니다. 감정과 이성은 다른 것 아닌가? 싶겠지만, 사실 둘을 나눠서 이야기할 뿐이지 감정과 이상은 원래가 하나인 셈입니다. 감정 속에 이성이 있고, 이성 속에 감정이 있습니다. 감정은 논리에 따르기에 화가 나는 것은 자연스런 일입니다.

위의 코칭 대화사례는 (A)에 해당합니다. 저도 그렇습니다만 화 내고나서 나중에 알고 보면 오해(잘못 알)일 때가 종종 있습니다. 상대가 왜 그랬는지 이해가 되면 화가 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B)와 같이 무얼 몰라서 화가 나는지 그 감정이 더 알아보면 관계를 해치지 않고 보다 지혜롭게 대처할 수 있겠습니다. 모르는 것은 두 가지로 구분해볼 수 있는데 내가 상대를 모르거나 혹은 상대가 나를 모르거나 하는 경우입니다.

<사례> 불편한 감정 상태에서 앎을 확인하는 사례

코치 : 만일 이유를 충분히 안다면 화가 안 나겠죠?

코칭고객 : 그렇죠.

코치 : 그렇다면 지금 무언가 덜 아니까 화가 계속 나는 건 아닐까요?

코칭고객 : 제가 확실히 압니다. 그 사람이 그런 사람이라니까요.

코치 : 그 사람은 이런 상황에서 김선생님이 이렇게까지 싫어한다는 걸 알고 있는 걸까요?

코칭고객 : 글쎄요… 모를 수도 있네요.

코치 : 상대가 모르고 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까 어떠세요?

코칭고객 : 그렇게 생각하니까 제 화가 좀 가라앉네요. 제가 다음에는 의사표현을 분명히 해야겠네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가장 빈번히 느끼는 감정은?

단연코 감사입니다. 야구는 인생과 같다고 하는 말이 재미 있습니다. 왜냐하면 둘 다 ‘집에서 출발해서 집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제가 저 혼자만의 힘으로 집으로 돌아오거나 밥을

사람의 마음 속에는 무엇이 있나?

​ 맹자는 마음의 움직임을 보면 자기 안의 네 가지 덕이 원래부터 있음을 알게 된다고 하였습니다. 인, 의, 예, 지 네 가지 덕은 마치 자기 몸에

영화 <미나리>와 <미생> 속 갈등

영화 를 보면 부부 갈등 장면이 여러번 나온다. 부부가 다투는 원인은 아직 살만하니까 그렇다는 점이다. 맞는 말이다. 왜냐하면 영화 후반부를 보면 알 수 있다. 오히려

수업소감 28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으로서 이전부터 항상 해오던 고민이 있다. 바로 어떻게 하면 상대방이 공감을 하면서 내 마음을 상대방에게 온전히 전달하여 상대방의

정체성에서 출발하는 코칭

코치들은 대개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뜻을 두고 코칭에 입문합니다. 코치로서 정체성이나 가치관이 확고할수록 자신의 역할이나 상황에 대한 판단을 제대로 하는 것인지 의심이 적어집니다. 왜냐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