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에게 마음을 얻는 말하기는 정말 어려운 것인 것 같다. 하나부터 열까지 쉽지 않다. 사람들에게 호감을 얻으려면 말을 할 때 눈을 맞추거나 끄덕여주거나 공감을 해주는 등 맞장구를 해주면 좋다고 했는데 다른 건 괜찮지만 나에게는 눈을 마주치면서 말하는 건 정말 어렵다. 부끄러운 것 같다. 하지만 노력하면 이것도 익숙해질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 다른 것도 많았지만 사람에게 마음을 얻는 말하기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What-Why-How의 구조로 말하기인 것 같다. 이 구조는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들으면서 수도 없이 들었던 말인데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 왜 중요한지 , 어떻게 할 수 있는지 이 세 가지를 꼭 생각하면서 말을 하는 습관을 들인다면 상대방이 들었을 때 깔끔한 말하기가 될 것 같다.

그리고 글말수업을 들으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은 상대방의 의도를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평소 나에게 친절했던 사람이 오늘 나에게 갑자기 화를 내면서 툴툴거리는 말을 한다라고 했을 때 나한테 왜 저러지 라고 화를 내는 것이 아니라 오늘 안 좋은 일이 있는 것이겠구나라고 생각을 하면 더 배려심 있는 말하기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말 명심 해야 하는 좋은 말이지만 실천하기란 정말 쉽지 않다. 나는 평소 사람을 함부로 판단하거나 상대방에게 나쁜 말을 하지 않으려고 매우 노력하지만 막상 나한테 안 좋은 소리를 들으면 정말 참거나 흘려보내기가 쉽지는 않다. 그래도 최대한 그렇게 해야 하는 것이 맞는 것 같다.

그 이외에도 좀 더 상대방에게 공감이 될 수 있는 감정표현을 많이 하면 좋다는 내용도 도움이 많이 되었다. 상대방에게 호감을 얻는 말하기는 쉬운 것 같으면서도 어렵다. 마치 이론을 알고 있지만 실전은 힘든 것과도 같다. 그렇지만 나는 앞으로 살아가면서 최대한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사용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정말 좋은 수업이었고 자신감도 많이 얻은 수업이었다. 긍정적인 마인드를 장착할 수 있었던 시간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18

자신있게 말하기 강의에서도 잠깐 들었던 내용을 더 자세히 들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군대에서 배울 점이 많았던 선임. 후임도 생각이 났습니다. 제가 통신병으로 있을 때, 저는

가장 빈번히 느끼는 감정은?

단연코 감사입니다. 야구는 인생과 같다고 하는 말이 재미 있습니다. 왜냐하면 둘 다 ‘집에서 출발해서 집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제가 저 혼자만의 힘으로 집으로 돌아오거나 밥을

커리어 코칭 모델

​ 커리어 코칭 모델은 주요 요소뿐 아니라 코칭 전개의 프로세스 와도 밀접한 연결성을 보여준다. 1. Love myself.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분석 2. Love

겉말보다 속말에 집중하는 코칭

「대학」 책 서두에 물유본말 (物有本末)이란 말이 나옵니다. 만물에는 본(本이 있고 말(末)이 있다는 뜻입니다. 본은 사람이고 말과 행동은 말에 해당합니다. 말은 끝이어서 흔히 조직에서 말단사원이라는 표현을

기분 좋게 주고 받는 피드백 코칭

흔히 피드백을 하다가 상처를 주고 받는 일이 생깁니다. 그런 일을 몇 차례 겪다 보면 피드백을 주고 싶은 사람은 망설이게 되고, 주변사람의 성장을 돕고자 하는 의욕이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4)

네 번째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미리하는 감사도 감사를 부른다는 것이다. 안 좋은 일이 예상될 때였습니다. 아내에게 핀잔을 들을 게 뻔한 일이었습니다. 아내 눈에는 제가 부족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