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성적인 사람이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게 쉽지 않다. 그래서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강의를 듣고 관련 정보를 얻고 싶었다. 오늘 강의를 듣고 많은 것을 깨달았다. 내성적이어서 말을 별로 하지 않아도 고개를 끄덕이는 등 나름대로 대화에 참여만 해도 주변 사람들과 천천히 어울릴 수 있다는 점이 가장 뜻깊은 말씀이었다. 나도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지만, 모르는 사람들에게 말을 거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그래도 대학교에 들어와서 천천히 주변 사람들과 말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그 사람들도 나에게 긍정적인 말들을 해준다. 별 건 아니지만, 그런 말들이 사람과 사람을 연결시켜준다고 생각한다.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는 오히려 많은 사람들이 있을 때 발표를 잘하는 스타일이다. 고등학교 때까지만 해도 그랬으니까. 완전히 내성적이라곤 볼 수 없는 성격이다. 나도 사람들과 친해지고 싶고, 말하고 싶은 욕구가 있는 것이다. 발표할 때도 듣는 사람들과 소통하려고 노력하면서 발표를 진행한다. 떨리기도 하지만 재밌었다. 그런 것처럼 나도 주변 사람들과 얘기를 하다보면 긴장감도 풀리고 그 상황이 재밌어지는 것이다. 오늘 들은 강의 내용대로 대화를 시작할 때 이름이 뭔지, 관심있는 건 뭔지 등을 물어보며 기초적인 내용부터 말하면서 사람들에 대해 알아가다 보면 나도 언젠가는 나를 인정해주고, 많은 내용을 공유할 만한 사이인 사람들이 많을 것이라 믿는다.

이 수업에서 도움이 되었던 것은 what-why-how 방법으로 이야기를 하는 것과 대화를 이끌어가는 과정에서 질문과 대답이었습니다. what-why-how로 이야기를 하면 글의 짜임새와 내용이 풍부해지기 때문에 발표하는데 있어서 자신감이 생겨나며 듣는 사람은 말하는 사람에게 신뢰감을 느껴 오해없이 소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다른 사람과 이야기 하는 것이 어색한 저는 이야기 거리를 찾으려고 많은 노력을 했는데 small talk 질문의 다양한 방법을 제시해주어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듣는 사람이 호감을 느낄 수 있도록 공감하는 방법, 설득하는 방법, 인정하는 방법 등을 통해 다른 사람과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법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특강 이후에 전공 수업인 캡스톤 다학제 디자인과 수소 및 신에너지 자동차 시간에 다른 사람들 앞에서 논문을 발표하는 자리가 있었습니다. 위의 가르침을 통해 말하기에 자신감이 붙을 수 있었고 논문의 내용을 what-why-how방식으로 발표함으로써 논리적인 발표를 할 수 있었고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인식오류를 바로잡는 코칭

​ 피터 드러커는 라는 책에서 ‘우리 사회가 어떻게 지식사회와 지식경제로 이동하게 되었는가?’ 하고 질문합니다. 그리고는 사람들이 “일이 더 복잡 고도화되기 때문이다,”고 하는 답을 듣고는 틀린

좋은 피드백과 더 좋은 피드 포워드 코칭

성과평가를 마치고 나면 성과면담코칭을 반드시 하도록 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종의 피드백을 하라는 취지입니다만 저항이 만만치 않습니다. 고과에 대해 만족해 할 사람은 최고 고과를 받은

왜 어린소녀에게 감동하나?

나는 미스트롯 2를 보고 놀랐습니다. 김태연양의 소리에 놀랐고, 내 눈물샘이 흐르면서 느꼈고, 점수를 보면서 또다시 놀랐습니다. 이런 감정은 나만의 것이 아니었습니다. 마스터 심사위원들도 그랬고, 수많은

수업 소감 1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은 2022-1학기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What, Why, How의 절차에 걸쳐 말하기, 상황에

감정이 원하는 것

대부분 사람들은 걱정을 키우며 삽니다. “돈 없으면 어떻게 살지?” 하며 가난하면 살 수 없을 것같이 생각합니다. 애 낳기도 두려워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조건이 충족되어만 행복해진다 생각으로

발생된 미래를 다루는 코칭

피터 드러커는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자신을 미래학자라고 부르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았다. 그는 오직 관찰할 뿐이라고 하며 사회생태학자로 불리길 좋아했다. 미래는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