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성적인 사람이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게 쉽지 않다. 그래서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강의를 듣고 관련 정보를 얻고 싶었다. 오늘 강의를 듣고 많은 것을 깨달았다. 내성적이어서 말을 별로 하지 않아도 고개를 끄덕이는 등 나름대로 대화에 참여만 해도 주변 사람들과 천천히 어울릴 수 있다는 점이 가장 뜻깊은 말씀이었다. 나도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지만, 모르는 사람들에게 말을 거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그래도 대학교에 들어와서 천천히 주변 사람들과 말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그 사람들도 나에게 긍정적인 말들을 해준다. 별 건 아니지만, 그런 말들이 사람과 사람을 연결시켜준다고 생각한다.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는 오히려 많은 사람들이 있을 때 발표를 잘하는 스타일이다. 고등학교 때까지만 해도 그랬으니까. 완전히 내성적이라곤 볼 수 없는 성격이다. 나도 사람들과 친해지고 싶고, 말하고 싶은 욕구가 있는 것이다. 발표할 때도 듣는 사람들과 소통하려고 노력하면서 발표를 진행한다. 떨리기도 하지만 재밌었다. 그런 것처럼 나도 주변 사람들과 얘기를 하다보면 긴장감도 풀리고 그 상황이 재밌어지는 것이다. 오늘 들은 강의 내용대로 대화를 시작할 때 이름이 뭔지, 관심있는 건 뭔지 등을 물어보며 기초적인 내용부터 말하면서 사람들에 대해 알아가다 보면 나도 언젠가는 나를 인정해주고, 많은 내용을 공유할 만한 사이인 사람들이 많을 것이라 믿는다.

이 수업에서 도움이 되었던 것은 what-why-how 방법으로 이야기를 하는 것과 대화를 이끌어가는 과정에서 질문과 대답이었습니다. what-why-how로 이야기를 하면 글의 짜임새와 내용이 풍부해지기 때문에 발표하는데 있어서 자신감이 생겨나며 듣는 사람은 말하는 사람에게 신뢰감을 느껴 오해없이 소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다른 사람과 이야기 하는 것이 어색한 저는 이야기 거리를 찾으려고 많은 노력을 했는데 small talk 질문의 다양한 방법을 제시해주어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듣는 사람이 호감을 느낄 수 있도록 공감하는 방법, 설득하는 방법, 인정하는 방법 등을 통해 다른 사람과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법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특강 이후에 전공 수업인 캡스톤 다학제 디자인과 수소 및 신에너지 자동차 시간에 다른 사람들 앞에서 논문을 발표하는 자리가 있었습니다. 위의 가르침을 통해 말하기에 자신감이 붙을 수 있었고 논문의 내용을 what-why-how방식으로 발표함으로써 논리적인 발표를 할 수 있었고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진짜 원하는 것을 찾아내는 코칭

우리가 음식점에 가서 무얼 먹을까 하며 망설이듯이 사실 코칭고객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잘 모를 때가 많습니다. 다루고 싶은 이슈가 있기는 하지만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수업소감 15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글말특강을 듣고 난 후 나는 자신있게 “YES”라고 답할 수 있을 것 같다. 평소 나는 조형대학교를 다니며 매 학기 자주 있는

살면서 얻은 가장 큰 교훈은?

“죽을 뻔 했네” “오래 사세요” 하는 말은 내가 사는 세상이 좋은 세상임을 증명하는 것이고, 우리는 억지로 사는 것이 아니라, 항상 선택지 중 가장 나은 것을

인식전환의 단서

“안다,의 반대말이 무엇인가요?” 이렇게 질문하면 대부분 뜸을 들인 후 “모른다, 입니다”고 대답합니다. “모른다는 것은 아는 건가요? 모르는 건가요?” 재차 질문하면 모른다는 걸 아는 거네요” 합니다.

수업소감 9

자신 있게 말하기를 수강하면서, 그리고 이 글말 교실 특강을 들으면서 들었던 생각이 있다. 나는 내가 게으르다는 성격과 함께, 꾸준함 없이 작심삼일을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수업소감 42

상대방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에 대한 강의였다. 평소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서 고민이 많은 상태였기에 정말 도움이 되는 강의였다. 특히 상대방과의 대화 방법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