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있게 말하기 과목은 수강하지 않고 특강만 수강)

비교과 강좌 신청을 통해 글말교실 6회차 강의를 수강하게 되는 계기가 만들어졌다. 항상 바쁘게 살고 남한테 관심없는 나에게 정신을 차릴 수 있게 되었다. 이 강의에서 우선적으로 인상 깊었던 이야기는 “지금 약속은 미래의 나와의 약속이다” 라고 말했던 이야기이다. 이 말은 자신은 자신이 믿어야 한다는 내용인데, 나의 상황과 매우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나는 무언가를 도전하기 전에 극도의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겪곤 한다. 나를 못 믿으며 새로운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 몰라 불신하게 된다. 하지만 이야기에서 누구보다 나 자신을 아는 건 나이며 나를 믿어야 한다는 내용이 나에게 조금이라도 용기를 주었기 때문에 가장 인상이 깊지 않았나 싶다.

더불어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 방법을 여러가지 배울 수 있어 유익했다.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 항상 배려와 예의를 갖춰야 하고 상대를 존중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시킬 수 있었고, 첫 대화를 이어 나가기 위해선 호감이 가는 멘트로 첫인상을 좋게 만들어야 하며 질문으로 대화를 시작해야 좋은 말하기를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좋은 예시들을 보며 배울 수 있었고 예를 들어 어디로 여행을 갈거냐, 진로가 무엇이냐 라던지 좋은 시작 멘트를 익혔다. 또한 나의 경험이 가장 녹아 있는 상황에 사용하기 좋은 말하기 방법을 배울 수 있었는데 그 방법은 말할 때 자신의 말 표현을 보고 상대방의 선한 의도를 듣자 라는 내용이었다.

고등학교 시절에 항상 날이 서 있는 말투로 의도치 않게 상대방에게 말을 꺼냈고, 때문에 싸움이 일어나는 일이 잦았다. 또한 상대방이 충고나 조언을 하더라도 좋지 않게 들려 비꼬면서 말하기 일수였다. 이러한 경험들이 내 머릿속을 스쳐 지나가면서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상대의 말에 공감해주는 건 정말 크나큰 힘이 되며, 나 또한 그 힘을 느꼈다. 누군가와 처음 대화를 시작할 땐 소소한 주제로 얘기를 하더라도 공감을 할 수 있는 요소들이 생기면 매우 쉽게 친해지고 돈독해지는 관계를 이어나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기 때문에 다시 한번 명심을 하게 됐다.

다 듣고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었고 여유를 찾고 주변 친구들과도 이야기를 많이 나누어 소소한 행복을 느끼고 싶다. 유익한 강좌를 통해 얻은 것을 실전에서 사용하기 위해 노력하며 다른 글말 강좌를 또 신청하려는 의지도 생겼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마음이 힘들 때 어떻게 하나요?

1) 힘들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난능(難能)이란 단어입니다. 어렵고 힘드니까 능해진다, 는 뜻입니다. 2)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은 좋은 질문을 제게 던지는 겁니다. 이런 고난에도

선후를 챙기도록 돕는 코칭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생각이 좁아지고 위축감이 들면서 자신감도 약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럴 때 누군가 그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주면 마음이 열리고 편안해집니다. 코칭의 목적이 힐링은 아니지만

10년 후 어떤 모습이면 좋을까?

‘다 좋은 세상’이라는 인문철학과 코칭을 함께 공부하는 모임을 만들고 싶습니다. 각자 자기 삶을 이야기하면서 지혜와 사랑을 확충하는 학당을 운영하여 누군가에게 기여하는 삶에 기여하고, 세계시민정신으로 살아가는

코칭, 그 아름다운 동행

돌아가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에 대한 일화다. 용인에 위치한 그룹 연수원은 현대그룹 가족 휴양지이기도 했다. 휴양지에는 동물원에 있을법한 커다란 조류장과 목장 등이 있었다. 45만평에 대한 총괄관리책임을

수업소감 47

글말교실 6주차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를 듣고 많은 도움이 됬다. 특히 공감하는 것이 약간 어렵고 나의 마음을 표현하는 것도 어려웠던 나에게 정말 도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