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으로서 이전부터 항상 해오던 고민이 있다. 바로 어떻게 하면 상대방이 공감을 하면서 내 마음을 상대방에게 온전히 전달하여 상대방의 마음을 얻고 설득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서이다. 또한 상대방이 말할 때 내가 이 말을 완벽하게 공감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내가 자신의 이야기를 공감하고 있음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 일단 내가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 다른 사람의 공감을 살 수 있는 방법으로는 바로 메타인지 말하기가 있다. what why how 기법으로 말하는 것이다.

자말 시간에도 교수님과 함께 수없이 연습한 경험이 있다. 사실 처음에 교수님께서 이러한 기법으로 말하라고 하셨을 때 과연 이러한 기법으로 말하면 효과가 있을까?라는 의문이 존재했었다. 하지만 발표를 하면서 실제로 이 기법을 사용하니 내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의 반응만 보더라도 메타인지 말하기를 사용하기 전보다 사용했을 때의 청자들의 반응이 훨씬 좋았고 내 이야기에 훨씬 더 공감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대방의 이야기에 내가 잘 공감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그 무엇보다 리액션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달았다. 나도 여러 발표 수업을 진행하면서 발표를 하고 난 뒤 기분이 좋을 때와 기분이 좋지 않을 때가 존재했다. 과연 같은 발표를 해도 기분이 달라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고민을 해보니 기분이 좋았을 때는 상대방이 내 이야기에 크게 크게 리액션을 해주면서 내가 지금 너의 이야기에 집중을 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였을 때였고 기분이 좋지 않았을 때는 상대방이 내가 이야기를 하더라도 듣는둥 마는둥 하면서 아무런 반응 없이 내 이야기르 넘겼을 때였던 것 같다. 이러한 나의 경험에 빗대어 나도 앞으로 다른 사람의 말하기를 들을 때 내가 지금 너의 이야기를 집중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많은 리액션을 해야겠다고 다짐하게 되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생의 마지막 날에 무슨 말을 남길 것인가?

가족에게는 “부족하여 미안하고, 참아주어 고맙다.”는 말을 할 것 같고, ​ “나는 육체의 옷을 벗게 되어 홀가분하다. 이제 영혼을 가꿀 수 있게 되어 너무 좋다. ​

2021년 기대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2021년 기대하고 있는 일은 새로운 영역으로 저를 확장하는 것입니다. 피터 드러커는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전쟁의 주체이었던 국가로서는 사회작동이 어렵다고 보고 새로운 축으로

코칭, 피할 수 없는 매력

코치들끼리 친해지면 어떻게 해서 코칭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는지 진솔하게 얘기를 나눈다. 강의를 하다가 코칭으로 영역을 넓히거나, 전혀 색다른 동기로 입문하기도 한다. 예컨대 코칭을 배운

수업소감 43

교수님이 말씀해주신 마음을 여는 말하기들의 예시들의 주체가 저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여서 그런지 저도 쉽게 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수업 중 ‘설득은 논리보다 감정이

코칭, 그 아름다운 동행

돌아가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에 대한 일화다. 용인에 위치한 그룹 연수원은 현대그룹 가족 휴양지이기도 했다. 휴양지에는 동물원에 있을법한 커다란 조류장과 목장 등이 있었다. 45만평에 대한 총괄관리책임을 연수원장이 맡고

수업소감 21

상대방과의 대화에서 공감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특히나 요즘 사회관계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만 하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정작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