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얻는 말하기가 무엇인지 깊게 생각해볼 수 있는 특강이었다. 쉽게 말을 먼저 걸지 못하는 나를 돌아볼 수 있었고, 첫인사와 첫인상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수업에서 배우고 소그룹 활동으로 자주 해왔던 small talk에 대해 한번 더 들으며 정리할 수 있는 기회였다. 추가적으로 말문을 여는 것에 대한 다양하고 구체적 방법들을 예시를 통해 설명해주셔서 막연하기만 했던 말하기에 도움이 정말 많이 되었다. 말을 많이 하지 않더라도 표정과 눈 맞춤 등의 제스처들로 사람들의 말에 공감하는 것의 중요성을 느꼈고, 말을 잘 하지 않는 내가 실천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되었다. 또한 공감은 좋은 것라는 당연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공감을 어떻게 하고 어떤 것이 공감인지 잘 알지 못했는데 다양한 예시와 방법을 통해 자세히 알게 되었고, 앞으로 더 적극적인 감정 표현을 해야겠다고 느꼈다.

자신감 있게 말하기 수업에서 늘 강조하신 부분인, 핵심을 전달하는 what, why, how의 말하기를 한번 더 들으며 복습할 수 있었고, 핵심만 골라 말하기가 어려웠는데 체계적으로 정리가 잘 되었다. 또한what, why, how를 사용하여 말할 때 구체적 방법과 예시를 통해 많이 알려주셔서 실생활에서 적용을 많이 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좋은 말하기는 나의 선한 의도가 오해를 불러 일으키지 않게 말하기 전에 명확하게 의도를 표현할 수 있는 표현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듣는 사람도 상대방의 서툰 표현에 담긴 진실된 의도를 알려고 노력해야 한다. 설득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구체적 예시를 통해서 우리가 실천할 수 있도록 잘 설명해주셔서 부족했던 말하기가 많이 채워졌다. 특강을 통해 서툴러도 좋은 말하기가 무엇인지, 말 한마디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또한 나의 취약한 부분이 무엇인지 생각해볼 수 있었고, 그 부분을 어떻게 보완할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정말 늘 힐링되며 얻어가는 것이 많은 수업인 것 같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집기양단과 코칭 주제 전환 (1)

3) 집기양단 (순임금의 지혜 중 세번째) 순임금은 집기양단(執其兩端)하는 사람입니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양쪽을 다 취한다는 말입니다. 양단(兩端)이라 함은 한쪽 끝을 잡으면 반대편 쪽 끝을

코칭에서 존재와 존재감

제가 존경하는 코치선배님의 특강을 들으며 코치다움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 바를 적어봅니다. 그 분은 “코치로서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자기 물음에 「청소부 밥」에 나오는

10년 후 어떤 모습이면 좋을까?

‘다 좋은 세상’이라는 인문철학과 코칭을 함께 공부하는 모임을 만들고 싶습니다. 각자 자기 삶을 이야기하면서 지혜와 사랑을 확충하는 학당을 운영하여 누군가에게 기여하는 삶에 기여하고, 세계시민정신으로 살아가는

가장 빈번히 느끼는 감정은?

단연코 감사입니다. 야구는 인생과 같다고 하는 말이 재미 있습니다. 왜냐하면 둘 다 ‘집에서 출발해서 집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제가 저 혼자만의 힘으로 집으로 돌아오거나 밥을

수업소감 31

말씀하시는 표정과 음색, 음정에서부터 자신감이 있고 또 그런 모습에서 신뢰도가 생긴다는 것을 교수님을 통해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말을 할 때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들이 무엇인지,

고전 속에 담긴 코칭의 원리

[불교공뉴스-대전교육] 대전광역시교육청(교육감 설동호)은 6월 8일(목) 15:30, 시교육청 대강당에서 에듀-코치와 에듀-코칭 연구·선도학교 교직원 등 220여명을 대상으로 에듀-코칭 보급과 코칭 문화 확산을 위한‘제3회 에듀-코칭 아카데미 특강’을 실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