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있게 말하기 강의에서도 잠깐 들었던 내용을 더 자세히 들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군대에서 배울 점이 많았던 선임. 후임도 생각이 났습니다. 제가 통신병으로 있을 때, 저는 제가 너무 못미더웠었는데 간부님들과 선임들이 저를 신뢰를 주었던 게 큰 힘이 되었었는데 그 때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계기였습니다.

말을 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감정표현으로 시작하는 힘이 있다는 걸 느꼈습니다. 저도 돌이켜 보았을 때 “재미있었어”와 같은 단어보다는 “정말 마음이 떨리게 재미있었어”와 같이 얘기했을 때 조금 더 풍부한 표현으로 좋은 이미지를 남길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small talk 얘기 중에서 수업시간에 배웠던 커다란 집 – 황금문패 ~ 자격증 책이 생각이 나면서 호감이 가는 ice breaking도 생각이 났습니다. 공감능력에 관해서도 크게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친구와도 얘기할 때 아무런 생각없이 끄덕이는 것보다는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말하고 같이 공감해주었을 때 정신적인 교감이 긍정적으로 다가왔고, 사회적 동물이라는 말이 맞듯이 정말 같이 있을 때 얘기하며 나누는 말들이 헛되이지 않았음을 느꼈던 경험이 생각났습니다.

그리고 제가 말할 때는 what why how 순서대로 말하려고 노력하진 않았던 것 같은데 수업시간에서 경험해 봤을 때 제가 말하고자 하는 말이 명확하게 들릴 수 있는 기법임을 알 수 있었던 게 생각났습니다. 카카오톡과 같은 메신저로 친구와 말을 할 때 친구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고 다퉜던 경험이 있는데 상대방의 의도를 파악하고 제가 말할 때는 표현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에 정말 끄덕이게 됐습니다. 제가 하고자 하는 말은 그게 아니였는데 표현이 잘못되어서 전달이 이상하게 됐을 때 억울한 점이 있었고 또 친구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해서 서먹해진 사건이 생각납니다.

수업시간에서는 설명, 주장, 면접, 설득 등에서 다양한 기법들이 있었는데 곰곰히 따져보면 맞는 말인데 인식의 전환이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설득에서도 득실기법과 같은 기법을 제가 사용하여 설득하기 발표에서 투표를 하러가자와 같은 설득을 해봤던 경험이 있는데, 득실 기법을 통해서 단순하게 끌어내는 설득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듣는 이가 득과 실을 듣고 좋게 판단하여 이끌어낼 수 있는 이러한 방법들이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으면서 좋은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또한 이야기를 하면서도 자신의 이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공감과 이해를 하면서 상대방과의 대화에서 호흡을 맞춰가는 것이 얼마나 좋은 대화방법인지 알 수 있었습니다.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오해만 쌓여가는 경우도 많고 상대방의 마음을 얻는 다는 것이 정말 어려운 일인데, 여태껏 수업으로 배워왔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다시 한번 정리하며 들을 수 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앞으로 사회에 나가서도 정말 크게 써먹을 수 있는 방법들을 배워가서 행복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칭, 그 아름다운 동행

돌아가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에 대한 일화다. 용인에 위치한 그룹 연수원은 현대그룹 가족 휴양지이기도 했다. 휴양지에는 동물원에 있을법한 커다란 조류장과 목장 등이 있었다. 45만평에 대한 총괄관리책임을 연수원장이 맡고

‘나다울 때’는 언제였나요?

​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나다울 때를 회상해본다면 어떤 기억이 떠오르나요? ~~~*~~~ ‘나 답다’라는 말은 참 듣기 좋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의 존재를 의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 나다울 때는

<다 좋은 세상>을 읽고

전헌선생님의 책을 읽으며 종래와는 전혀 다른 류의 인식변화를 얻게 된다. 경험과학이나 해석학, 행동철학의 한계를 꼬집으며 그 동안 불모지와 다름없었던 감정의 영역을 깊게 다룬 감정학이라는 또

판매 현장에서 질문의 힘(1)

좋은 질문은 듣는 사람에게 집중하게 만들고, 생각하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사례가 왜 제게 의미가 있을까요? 저는 ‘설득하지 말고 질문으로 납득시켜라’, 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호문호찰과 공감적 경청

​ 『논어』의 가장 마지막 구절이 부지언(不知言)으로 끝을 맺는데, ‘사람의 말을 못 알아들으면 사람을 안다고 할 수 없다’고 했다. 이처럼 말(言)을 알아야 그 사람에 대해 바로

수업소감 25

일단 기본적으로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들으면서 알게 되었던 말하기 방법 혹은 글쓰는 방법에 대해서 한 번 더 확실하게 정리를 해주는 강의였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