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글말특강을 듣고 난 후 나는 자신있게 “YES”라고 답할 수 있을 것 같다. 평소 나는 조형대학교를 다니며 매 학기 자주 있는 발표와 프로젝트에 말하기에 자신이 있다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한 학기동안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수강하고 오늘 특강을 들으며 내가 내 얘기를 하기에 급급했고 마음을 얻는 말하기에는 조금 부족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강의를 들으면서 좋은 점은 나의 부족한 점을 지적의 방법이 아닌 피드백을 통해 스스로 얻게하고 그 부족한 점을 좋은 점으로 개선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기존에 나는 발표가 나의 작품과 생각 등을 전달하는 것이니 긴장하지 말고 내 머리속에 있는 것만 잘 전달하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이 특강을 듣고 발표는 마음을 전달하는 것보다도 마음을 얻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무엇보다 인상 깊은 것은 말을 통해 심리적으로 안심이 되고 믿음을 주는 가까운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돌이켜보니 나도 그런 경험이 있었다. 상대방은 나와 친해지고 싶은 것 같은데 각종 질문과 관심이 공격적으로 들어오니 오히려 심리적으로 불편하고 쫓기는 듯한 기분이 들어 질문에 바른 대답을 할 수 가 없었다. 어쩌면 그때 나에게 말을 걸어준 상대방이 조금 더 나의 이야기를 들어주려고 하고 믿음을 주는 사람으로 다가와줬다면 더 친해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고, 나도 때로는 다른 사람에게 나의 마음만 전달하려고 하는 공격적인 사람이 아니었을까 반성하게 되었다.

최근 스몰토크, 아이스브레이킹, 플러팅 등등 대화와 관련된 각종 용어의 사용이 유행이었던 적이 있었다. 어쩌면 코로나가 시작되고 온라인과 비대면 생활이 시작되며 대화의 중요성이 더 부각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줌을 통해 사람을 만나고 시공간을 가리지 않고 이야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이 생겼음에도 사람들은 눈을 마주치고 대화하는 것에 갈증을 느낀다. 나 또한 그에 갈증을 느끼던 중이었는데,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수강하며 그 갈증을 해소할 수 있었다. 비록 줌으로 만난 것은 아쉽지만, 기존에 줌으로 사람을 만나던 것과는 다르게 눈을 마주치듯 이야기하고 내 이야기를 하기위해 미리 시간을 쓰고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경청하던 순간은 나에게 너무 소중한 순간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시간이 조금 더 흐른다면 오늘 특강에서 배운 이야기들을 늘 마음에 새기며 모니터를 통해서만 눈을 마주치는 것이 아닌 진짜 숨결을 느끼며 함께 학우들과 이야기 해보고 싶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가정 불화를 평화로 전환시킨 코칭

코치는 경청을 하되 맥락적 경청에 신경 쓸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기 생각을 100% 완벽히 표현하는 사람은 드뭅니다. 생략도 되고 왜곡도 된 상태로 전달이 됩니다. 따라서

수업소감 32

자신있게 말하기 첫 수업시간에도 중요하게 생각했던 what why how의 논리구조에 다시 한번 복기할 수 있었고, 메타인지의 중요성 또한 다시 느낄 수 있었습니다. 내가 한 말에

코칭, 그 아름다운 동행

돌아가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에 대한 일화다. 용인에 위치한 그룹 연수원은 현대그룹 가족 휴양지이기도 했다. 휴양지에는 동물원에 있을법한 커다란 조류장과 목장 등이 있었다. 45만평에 대한 총괄관리책임을 연수원장이 맡고

수업소감 45

평소 인간 관계에 고민이 많았던 터라 말하기 수업에 흥미가 있었다. 특히 나는 남들에게 공감을 잘 해주지 못하거나 감정 표현에 미숙한 것 같다는 자각이 있어 늘

선한 의도 읽기로 인식을 전환하는 코칭

「대학」 책에는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라는 말이 나옵니다.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중 평천하라는 말 뜻을 풀이한 내용을 보면 윗사람 모시면서

자신을 나타내는 키워드 3개는?

나의 강점은? 3가지 이상 써볼까요? ​ 1) 통찰 – 단순화하거나 꿰뚫어 보려합니다. 관점전환도 잘하여 예컨대 학생들이 자신을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