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관찰, 성찰, 통찰입니다.

아시다시피 찰(察)은 살핀다는 말입니다.

살피기를 가장 잘 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엄마가 어린 아이 살피기를 잘하듯이

코칭 장면에서 저도 그래야 하는데 아직 부족하고 연습이 더 필요합니다.

관찰은 보면서 살피는 것이고

성찰은 돌아보면서 살피는 것이요

통찰은 꿰뚫어보면서 살피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ICF에서는 2번째 역량 “2. 코칭마인트 셋을 구현한다”에서

마인드셋에 대한 정의 가운데 “호기심이 많으며”라는 표현과 함께

구현하는 핵심요소로 “성찰 훈련을 개발한다(Develop reflective practice) 고 했습니다.

살피기를 잘 해낸 사람의 모델이 있다면 누구를 꼽을 수 있을까요?

바로 순임금입니다.

순임금은 묻기를 즐겨했습니다. 호기심이 아주 많았나 봅니다.

또한 순임금은 살피기를 좋아했습니다.

<중용> 6장을 보면 공자님이 순임금이 엄청 지혜로운 분이라고 일컫습니다.

순임금이 잘 한 것을 3가지 꼽는데,

그 가운데 첫번째 키워드가 호문호찰입니다.

호문(好問-묻기를 좋아함) 호찰(好察-살피기를 좋아함)의 단어를 보고

코칭의 원리가 우리의 고전 속에 있었구나, 하며 반가웠었습니다.

순임금은 무얼 살폈을까요?

이언(邇言)이라 하여, 대수롭지 않은 말조차 살폈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코칭하다가

“지금 한숨을 쉬셨는데 지금 어떤 마음이 느껴지시나요?”

이렇게 말할 때가 바로 이언을 살피는 중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들어보니까 ~”

“제가 보니까~”

와 같은 표현도 코치가 관찰한 바를 나누는 것이어서

코치가 살피고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신호라 생각합니다.

잘 살피면 눈치코치가 있는 사람이겠죠?!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커리어 코칭 산출물

커리어 코칭은 시각적 혹은 서술적 결과물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커리어 준비 과정은 실제 커리어 실행과 연결된다. 취업이나 이직 등에는 자기 확신이나 자신감이 필요하다. 충분한

좋은 피드백과 더 좋은 피드 포워드 코칭

성과평가를 마치고 나면 성과면담코칭을 반드시 하도록 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종의 피드백을 하라는 취지입니다만 저항이 만만치 않습니다. 고과에 대해 만족해 할 사람은 최고 고과를 받은

호문호찰의 지혜

고객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정답을 제공하는 컨설팅과 달리 코칭은 코치의 질문에 의해 코칭고객 스스로 최적의 답을 찾아내어 실천하도록 돕는 지혜를 다루는 대화과정입니다. 학문이라는 단어는 원래

‘나다울 때’는 언제였나요?

​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나다울 때를 회상해본다면 어떤 기억이 떠오르나요? ~~~*~~~ ‘나 답다’라는 말은 참 듣기 좋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의 존재를 의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 나다울 때는

수업소감 46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라는 수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교수님께서 자신의 단점, 즉 약점은 다른 관점에서 보면 자신의 강점일 수도 있다고 하신 점이 굉장히 인상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