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잘 한 일을 꼽는다면?

감사일기 쓰기가 가장 꾸준히 잘 해온 일입니다.

9년째 매일 감사일기를 쓰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래 쓰게 된 배경은 두가지인데,

하나는 저와의 원칙을 갖고 시작했었습니다.

오늘의 감사일기 일련번호는 3335번입니다.

하루라도 거르면 다시 1번으로 돌아가기로 정해 놓다보니

일기를 쓰지 않으면 일련번호가 중단되는 것이 아깝기 때문입니다.

두번째 이유는 ‘감사가 감사를 부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누가 강제로 시킨 일도 아닌데 왜 이렇게 오래도록 하는가 하면

바로 제게 상상할 수 없을만한 좋은 일이 계속 생겨왔습니다.

예컨대 좋은 분들을 많이 만나게 된 일,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좋은 반응을 얻게 된 일,

철학을 공부하고 박사학위를 마치고는 대학원 3곳에서 강의를 하게 된 일,

코칭봉사단체에서 회장으로 활동하게 된 일

난치병이 회복된 일 등등

너무나 감사한 일들이 많았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집기양단으로 코칭주제 전환(2)

이상은 양단(양쪽 끝)을 잡아서 이야기한 사례입니다. 수업 중 대놓고 조는 학생을 형편없는 학생으로 보는 것은 왜곡된 시각일 수 있습니다. 대놓고 졸았다고 판단하는 것은 나 중심

수업소감 35

비교과 활동 6주차 강의 수강신청을 통해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강의를 신청하여 듣게 되었습니다. 사람을 만나는 것을 좋아하고, 인간관계를 잘 유지하기 위해 매우 노력하는

수업소감 44

언젠가부터 타인과 나누는 대부분의 대화가 노동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좋지 않은 변화였다. 모든 대화가 즐겁고 편안할 수만은 없다는 걸 잘 알지만, 문제는 내가 진정으로 사랑하고 세상에

알아차림과 직관을 활용하는 코칭

우리가 앎을 챙기는 방식 가운데 가장 고차원적인 것이 직관입니다. 코칭을 할 때 특히 자신의 직관을 믿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직관은 추리적 사고 과정을 뛰어 넘습니다.

발생된 미래를 다루는 코칭

피터 드러커는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자신을 미래학자라고 부르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았다. 그는 오직 관찰할 뿐이라고 하며 사회생태학자로 불리길 좋아했다. 미래는 아직

살면서 얻은 가장 큰 교훈은?

“죽을 뻔 했네” “오래 사세요” 하는 말은 내가 사는 세상이 좋은 세상임을 증명하는 것이고, 우리는 억지로 사는 것이 아니라, 항상 선택지 중 가장 나은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