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지 않은 것까지 들을 줄 안다면

코칭을 하면서 고객이 스스로 인식전환을 하는 말을 하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대학>책을 보면 시이불견하고 청이불문하다 (視而不見 聽而不聞)는 말이 있습니다. 코칭고객이 큰사람(大人)답게 상대에게서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줄 알고, 말하지 않는 것까지 들을 줄 알도록 하는 것이 저의 코칭목표이기도 합니다.

<사례> 표현이 적은 리더 사례

코치 : 제가 쭈욱 말씀 나누면서 느꼈던 점이 하나 있는데 말씀드려도 될까요?

코칭고객 : 예. 말씀해 주시죠.

코치 : 제가 드린 질문에 대해 비교적 짧게 대답을 하시는 걸 보아, 혹시 상사와 대화 나누실 때에도 팀장님에게 좋은 의견이 있어도 표현을 절제하는 편이 아닐까 싶고, 그래서 혹시 손해 보시지는 않을까 싶은데… 어떠세요?

코칭고객 : 예. 사실 그런 편입니다. 의견이 거의 같으면 끄덕이고 마는 편이에요. 의견차이가 크게 다르지 않으면 상대의견을 존중하고 그냥 따라가는 편이에요.

코치 : 그런 것 때문에 구성원이 불평하는 적이 있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어떤가요?

코칭고객 : 아~! 생각이 납니다. 일 좀 받아오지 마라, 팀 업무 경계를 확실하게 해달라는 말을 듣곤합니다.

코치 : 그런 말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나요?

코칭고객 : 구성원들이야 일을 적게 하고 싶은 것 아닌가요? 그냥 그 말을 들어주지만 그렇다고 일을 피할 수는 없으니까요.

코치 : 이런 일이 반복되면 어떻게 될까요?

코칭고객 : 글쎄요. 좀 불만이 커지겠네요.

코치 : 구성원이 불평을 말하는 걸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코칭고객 : 방어적이고 소극적이다, 이런 생각이 들어요.

코치 : 만일 구성원이 그렇게 말할 만한 좋은 이유가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코칭고객 : 현재 하던 일에 집중하고 싶다, 팀 성과목표달성에 주력하고 싶다, 이런 뜻이 있을 수있네요.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회피하려는 게 아닐 수 있네요. 더 잘하려는 마음이 들어있는데 그걸 못 알아차렸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치의 철학과 코칭의 원리

수업참여 소감은 프로그램 소개 아래에 있습니다. ​ 수업은 Zoom으로 진행이 되었고 37명의 코치님이 참석하셨는데 마치면서 수업 소감을 아래와 같이 작성해주셨습니다. ​ – 오늘 좋았던 걸

코칭, 피할 수 없는 매력

코치들끼리 친해지면 어떻게 해서 코칭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는지 진솔하게 얘기를 나눈다. 강의를 하다가 코칭으로 영역을 넓히거나, 전혀 색다른 동기로 입문하기도 한다. 예컨대 코칭을 배운 사람에게 낚여서 우연한

수업소감 16

나는 말을 많이 하지 않는 내 성격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고 어떻게 고쳐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다. 이번 특강을 듣고 나서 꼭 그렇게 여기지 않아도 되겠다고

자신을 나타내는 키워드 3개는?

나의 강점은? 3가지 이상 써볼까요? ​ 1) 통찰 – 단순화하거나 꿰뚫어 보려합니다. 관점전환도 잘하여 예컨대 학생들이 자신을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오늘

<오정근의 커리어코칭> 책에 대하여

출판사 대표님이 정해준 제목이라 저는 좀 어색하고 낯뜨겁기도 합니다. 책 제목에 이름을 걸고 나니, 더 조심스러워집니다. 코치들의 봉사모임인 해피포럼의 김건중고문님의 “너의 이름을 아름답게 하여라”하는 감명깊은

수업소감 21

상대방과의 대화에서 공감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특히나 요즘 사회관계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만 하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정작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