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답이다, 내 안에 답있다

많은 학문이 추구하는 바는 밖에서 구해 안을 채우려 하는데 있습니다. 그 이유는 사람을 결핍한 존재 혹은 결핍한 세상에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쟁을 가르칩니다. 반면에 스스로를 완전자임을 깨닫도록 돕는 학문은 베푸는 사람으로 혹은 사랑을 주며 살아가도록 돕습니다. 하지만 자신이 왠지 부족해 보이고 불완전하다고 생각들기도 할 겁니다. 만일 그런 생각이 든다면 그것이 바로 완전의 증거입니다. 완전자이기에 더 알고 더 채우고 싶어하는 것이 아닐까요?

학문이란 자신에게 문제가 있을 때, 또는 막다른 골목에 몰려 있을 때 알아보며 물어보는 과정입니다. 학(學)이란 글자는 알아본다는 뜻이며 문(問)은 묻는다는 뜻입니다. “내가 왜 이러고 있지? 왜 이렇게 안 풀리지? 왜 기분이 안 좋지? 어떻게 하면 좋지?” 이런 답을 밖에서만 찾을 것인지 아니면 내 안에서 나를 돌아보고 찾을 일인지 자기가 결정할 문제입니다. 혹은 어떤 일의 실패를 나 전체의 실패로 간주할 것인지, 잘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답은 내 안에 있습니다.

<인식 전환 사례>

코칭고객 : 왜 이렇게 일이 안 풀리는지 모르겠습니다.

코치 : 의도대로 풀리지 않아 답답하신가 보네요.

코칭고객 : 이 일을 더 한다는 것이 아무래도 한계이고 무리인가 보네요.

코치 : 뭔가 부족함을 느끼시나 보네요. 전에 일이 잘 풀릴 때와는 무엇이 다른가요?

코칭고객 : 글쎄요. 환경이 달라진 것 같네요.

코치 : 그때는 어려운 환경이 아니었나요?

코칭고객 : 그건 아니죠. 이 일을 시작할 때도 쉽지는 않았습니다.

코치 : 그동안 많은 경험이 쌓였을 텐데 그렇다면 어떤 능력이 줄어들었나요?

코칭고객 : 생각해보니 그것도 아니네요. 하는 만큼 실적이 안 나오니 위축감이 들었나보네요.

코치 : 한계이고 무리라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는 말씀이군요. 이것을 시련이라고 할 때 이런 시련은 사장님만 겪는 것일까요?

코칭고객 : 누구나 겪는 일입니다.

코치 : 그렇다면 자신이 부족하다는 생각이나 위축감은 어떤 긍정적 신호일까요?

코칭고객 : 그렇네요. 부진의 원인을 돌아보고 새롭게 시도하라는 신호겠네요.

코치 : 아~ 그렇게 볼 수 있네요. 혹시 가지고 있는 강점 가운데 아직 덜 사용하고 있는 강점을 꼽는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코칭고객 : 음… 끈기와 추진력이네요. 한 번 마음 먹으면 물고 늘어지는 성격인데, 그 질문을 들으니 제가 반성이 되네요.

그동안 너무 안일했고, 나태했다는 생각이 밀려옵니다.

코치 : 말씀하시면서 이를 꽉 깨무시던데, 어떤 마음이신지 여쭤봐도 될까요?

코칭고객 : 다시 시작하려구요. 부진한 데는 그럴 이유가 있었던 것인데, 그에 앞서 제 정신력이 무너져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저를 다시 찾게 되어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오정근의 감정 코칭

AI 시대, AI는 위기이면서 기회다. AI보다 인간이 더 잘 할 수 있는 영역이 코칭이며, 그 중 감정을 다루는 일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사회적으로도 우울증,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4)

네 번째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미리하는 감사도 감사를 부른다는 것이다. 안 좋은 일이 예상될 때였습니다. 아내에게 핀잔을 들을 게 뻔한 일이었습니다. 아내 눈에는 제가 부족하게

감사일기를 쓰게된 계기는 무엇인가?

젊고 유능한 한건수코치가 인천공항공사 등 우리나라에 보급한 라는 세계적 캠페인 성격의 프로그램의 강사과정을 이수하면서, 자연스레 에 참여했고 효과적으로 습관 만드는 방법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 Complaint

코칭, 그 아름다운 동행

돌아가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에 대한 일화다. 용인에 위치한 그룹 연수원은 현대그룹 가족 휴양지이기도 했다. 휴양지에는 동물원에 있을법한 커다란 조류장과 목장 등이 있었다. 45만평에 대한 총괄관리책임을

사람의 마음 속에는 무엇이 있나?

​ 맹자는 마음의 움직임을 보면 자기 안의 네 가지 덕이 원래부터 있음을 알게 된다고 하였습니다. 인, 의, 예, 지 네 가지 덕은 마치 자기 몸에

<놀면 뭐하니> 에 등장한 파워 퀘스쳔

에 고등래퍼 이영지가 초대손님으로 출연하여 올해 스무 살이 되었다고 하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갸할지 지혜를 구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같은 초대손님으로 출연한 장항준 감독이 연극영화과 학생들로부터 진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