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속에 담긴 코칭의 원리

[불교공뉴스-대전교육] 대전광역시교육청(교육감 설동호)은 6월 8일(목) 15:30, 시교육청 대강당에서 에듀-코치와 에듀-코칭 연구·선도학교 교직원 등 220여명을 대상으로 에듀-코칭 보급과 코칭 문화 확산을 위한‘제3회 에듀-코칭 아카데미 특강’을 실시했다.

이번 특강은 오정근 국민대학교 교수가 고전 속에 담긴 코칭의 원리’라는 주제로 강의했다. 특히, 코칭의 기원을 공자나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에서 찾고 있으며, 공자나 맹자가 제자나 왕이 궁금한 것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할 때, 제자나 왕이 스스로 문제에 대해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하고 답하는 과정으로 코칭을 설명했다.

이번 특강을 통해 참석자들은 전문가와 함께 코칭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실제를 접했고, 이를 바탕으로 각급 학교, 교실, 가정에 맞는 에듀-코칭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스스로 탐구할 수 잇는 시간을 가졌다.

특강에 참석한 에듀-코치(교장)은 “에듀-코치로써 다문화·탈북학생이나 시설아동을 위한 에듀-코칭 봉사활동 연구회를 운영하고 있다”며 “오늘 특강에서 알게 된 공자나 맹자, 순임금의 코칭 대화가 인상적이었고, 일부러 시간을 내어 코칭을 하기 보다는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코칭 대화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대전교육청 설동호 교육감은 “행복이 인생의 유일한 목표이자 최종 목표라는 샤하르 교수의 말처럼 우리 교육청은 행복한 학교, 행복한 학생, 행복한 선생님, 행복한 학부모를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며 “매월 실시하는 에듀-코칭 아카데미 특강에서 행복의 씨앗을 심어 더욱 풍성한 행복나무를 거두어 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불교공뉴스(http://www.bzeronews.com)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영화 <미나리>와 <미생> 속 갈등

영화 를 보면 부부 갈등 장면이 여러번 나온다. 부부가 다투는 원인은 아직 살만하니까 그렇다는 점이다. 맞는 말이다. 왜냐하면 영화 후반부를 보면 알 수 있다. 오히려

코칭효과에 대한 사례

첫 번째 코칭의 효과는 인식의 변화다. 다음은 학교와 전공을 세 차례 옮긴 대학생과의 대화다. ​ 사례 1 인식의 변화 참가자 저는 부족한 게 많고 도피하는

수업소감 40

나는 내성적인 사람이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게 쉽지 않다. 그래서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강의를 듣고 관련 정보를 얻고 싶었다. 오늘 강의를 듣고 많은 것을

수업소감 30

강의를 통해 지금까지 저의 말하기를 돌아보며 가장 크게 느낀 것은 제가 저의 마음을 전하는 말하기를 하는 데 급급해서 상대의 마음을 얻는 것을 놓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도록 돕는 코칭

우리가 욕구불만이나 스트레스에 빠지는 이유는 대체로 지각에 의존할 때 그렇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인줄 착각하면 그렇습니다. 그럴 리가 없다, 그런 사람이 아니다는 믿음이 앞서 있으면,

수업소감 18

자신있게 말하기 강의에서도 잠깐 들었던 내용을 더 자세히 들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군대에서 배울 점이 많았던 선임. 후임도 생각이 났습니다. 제가 통신병으로 있을 때, 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