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3)

세 번째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감사는 감사를 부른다는 것이다.

신학기가 되어 학생들에게 혹은 어떤 단체 모임에서 자기 소개를 할 때가 생깁니다.

그 때마다 저는 저의 키워드로 감사를 꼽습니다.

물론 감사일기도 소개하는 편입니다.

그러면 반응이 감사일기를 어떻게 그렇게 오래 써왔냐고 대개 묻습니다.

그럴 때마다 저는 자신 있게 말하는 것이 바로 감사는 감사를 부른다는 저의 체험을 이야기합니다.

가장 큰 기적도 만났습니다.

난치라고 여겨졌던 간경변이 사라진 것을 알고나서 저는 달리 설명할 방도가 없었습니다.

30대 초반부터 늘 조심조심 살아왔기에 저에게는 너무 큰 선물이었는데,

1년 반 전에 우연히 검진을 통해 이상이 없다는 말로 확인했습니다.

특별히 약을 먹은 것도 아니고, 건강식을 챙겨 먹지도 않았지만 몸에 변화가 생긴 것은

아마 몸과 정신이 연결되어 하나가 되어 그렇게 된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 밖에 상상할 수 없던 좋은 일들이 거푸 제게 생기는 걸 보면 감사가 감사를 부른다는 걸 실감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당신에게 행복은 어떻게 다가오나요?

내게 행복을 전해주는 주체는 ‘나’입니다. 왜냐하면 행복은 내 안에 있고 나 스스로 꺼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행복이 다가와도 내가 인식하지 못하면 행복감에 머물지 못할 겁니다.

원하는 것을 얻도록 돕는 생각 코칭

코칭은 고객 스스로 과제해결을 위한 답을 찾아가는 대화 과정입니다. 코칭은 흔히 마중물로 비유되곤 합니다. 한 바가지의 마중물을 펌프 속으로 들어 붓는 이유는 그 안에 물이

수업소감 12

처음 초반에 교수님께서는 ‘상대 마음을 얻는 것이 쉬울까, 내 마음을 주는 것이 쉬울까’에 대한 질문을 하셨다. 나는 내 마음을 주는 것이 조금 더 쉽겠지만 이것이

<미스 트롯 2>와 감동스토리

저는 대학 교양수업에서 자기 스토리, 그 중에서도 자기를 사랑할만한 스토리를 말하도록 기회를주고 있고, 대학원 철학수업에서도 이론 자체보다 학습주체자인 자기이야기를 더 많이 하도록 합니다. TV조선의 미스트롯2는

존재와 본성에 초점을 두는 코칭

「대학」 책에 보면 본本과 말末에 대한 말이 나오는데 본(本)은 존재(being)에 해당합니다. 코칭은 존재와 사고방식에 집중합니다. 이것은 철학이 존재론과 인식론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것과 유사합니다. 코칭에는 [삼중고리헉습